• Title/Summary/Keyword: 지역사회기반참여연구

Search Result 21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rategy of Smart City Growth through Social and Living Lab (사회-참여 중심의 스마트도시 성장 전략)

  • Lee, Kum-Ji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2
    • /
    • pp.291-298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mart city strategy through smart growth considering the human, social and cultural meaning. It seeks opportunities to develop the cities that has not grown by integrating the ICT, a new growth tool for smart cities, into the spatial and physical renewal project. Method: Analyzing policy and strategy of smart living lab and digital cultural contents on the smart growth process under the experience in Amsterdam and Paris. Results: Smart city is expected to be reflected not only the technical aspects but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city in order to enhance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citizens by embracing diverse viewpoints throughout the city. It examines the smart growth plan in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citizens. Conclusion: Planning smart city is to discover the smart city adaptability that can enhance the capability of cities to improve the life condition and quality of citizens by applying the core strategies and specialized programs with community service and urban marketing, which are emerging as smart cities based on ICT technologies.

동아리 활동을 통한 감성마을 사례 연구

  • Jeong, Bong-Seon;Song, In-Bang;Kim, Yeon-J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23-2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의 한 사례로 경상남도 화동군 화개면 대성리 의신마을의 노인주민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문화유산 개발과 자발적(생산적) 문화주체발굴 및 양성을 하고자 한 사례연구이다. 2017년부터 2019년의 3년차 사업으로 지역의 마을회(영농회, 부녀회, 청년회, 노인회)와 체험시설 관리운영, 체험행사 관리, 가공시설장 활용, 체험 프로그램 기획/운영, 마을기반조성사업 및 관광체험을 주요활동으로 하는 영농조합법인의 유기적 협력을 통하여 주변의 특산물, 자연환경, 산업환경 및 지리산을 중심으로 구성된 지역역사 문화환경이 연계되어 진행되는 생활문화공동체 만들기 사업이다. 특히 농악/낙차 동아리, 사진동아리, 그림동아리, 압화동와리와 같은 동아리 활동을 통하여 산골의 지역적인 약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문화예술을 향유하려는 시대적인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실질적인 문화예술프로그램을 통한 공동체 발전을 지속하고자 함이 취지이다. 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들의 감성지능의 변화에 의한 지역공동체의식과 6차산업 기업가 정신 및 노인들의 사회참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 Qualitative Research of the Residents Participated Welfare Network - Grounded theory Approach - (주민참여복지 네트워크에 대한 질적 연구 - 근거이론 방법론 -)

  • Kim, Young-Sook;Lim, Hyo-Yeo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2 no.4
    • /
    • pp.223-248
    • /
    • 2010
  •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ents and interaction of residents voluntary network and propose the strategies to promote residents voluntary network. The grounded theory was utilized to attain our object. Total of seven social worker and 17 resi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rauss and Corbin's method. Results are the followings. In open coding 13 categories, 32 subcategories and 133 concepts were constructed. In axial coding causal conditions were qualitative ascent of needs, emergence of the right welfare consumer. Phenomenon was agitation of praxis ground and grope of exist. Contextual conditions were crisis resources, skepticism of welfare. Intervention conditions were maturation of welfare cognition and proliferation of the sense of community responsibility. Strategy were resocialization of voluntary organization and construction of field related service delivery system. Consequence were grass routing welfare strategic fitting service system. In selective coding we constructed the core category: The praxis revolution from bottom for break social welfare environment.

  • PDF

중소기업구조개선(中小企業構造改善)과 지역기술혁신체제(地域技術革新體制)

  • Park, Jun-Gy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8 no.2
    • /
    • pp.3-61
    • /
    • 1996
  • 80년대초 이후 기술혁신의 가속으로 중소기업에서도 기술변화에 대한 적응이 경쟁력의 유지를 위한 핵심과제가 되면서, OECD 국가는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科學技術情報)의 이전(移轉)을 촉진하는 정부지원을 확충하였다. 경제성과의 개선을 위해서는 기술혁신만이 아니라 기술혁신의 성과를 확산시키는 것도 중요하다는 인식으로 중소기업의 경쟁력향상에 기여하는 과학기술정보의 공급확대를 위하여 연구개발사업(硏究開發事業)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동시에 중소기업에 대한 과학기술정보의 이전을 촉진하기 위하여 과학기술정보의 공급원(供給源)(대학, 시험연구기관 등)과 중소기업을 연결하는 다양한 중개(仲介)(촉매(觸媒))기관(機關)의 설립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연구개발과 과학기술정보이전에 관한 과학기술공급원과 중소기업간의 인식의 차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정보교환(情報交換)과 인적교류(人的交流)를 확대하고 과학기술공급원이 제공하는 지식을 중소기업이 이용하기 쉬운 기술로 변환하기도 한다. 이러한 기능을 중개기관이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 사업자와 신뢰관계(信賴關係)를 구축하는 것이 긴요하며, 기술변화를 인지 수용하도록 유도하는 초기단계에서는 중소기업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기술확산과정(技術擴散過程)의 특성으로 인하여 지역혁신체제(地域革新體制)의 구축과 기술혁신정책(技術革新政策)의 지역화(地域化)가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 통상산업부와 과학기술처도 기술혁신정책의 지역화를 시도하고 있다. 연구기반과 산업기반을 고려하여 지역별로 다양한 유형의 산학연 공동연구기반이 구축될 계획이다. 기술혁신정책의 지역화는 시도단계에 불과하며 효율적인 지역혁신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여건도 불리하다. 선진국에 비하여 대학과 연구기관의 연구자원(硏究資源)에서도 현격한 차이가 있으나, 네트워크의 혁신성을 좌우하는 지식집약형 중소기업의 비중과 중소기업기술개발의 혁신성에서도 선진국에 비하여 절대열위에 있다. 이러한 불리한 여건을 극복하기 위하여 중소기업의 혁신현장에 밀착된 지역의 전문가집단이 지역경제의 비전과 지역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역연구개발사업(地域硏究開發事業)을 전략적으로 기획하고 효율적으로 추진하며, 기획 추진과정에 참여하는 지역대학 지역시험연구기관 지역산업단체 등이 구성하는 지역사회(地域社會)의 협의체(協議體)가 정보공유(情報共有)와 공동학습(共同學習)을 통하여 지역혁신체제의 형성을 주도하고 경쟁과 협력의 조화를 통하여 기술혁신을 가속시키는 지역사회(地域社會)의 규범(規範)과 문화(文化)가 정착되도록 노력하며 중앙정부는 지역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지원에서 투명하고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지역산업의 혁신성과에 의하여 지원을 차등화(差等化)하는 경쟁원리를 도입하여 지역사회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유도해야 한다.

  • PDF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uicide Prevention Gatekeeper Activity Participation of Community Grassroots Organizational Leaders in Gangwon Province (지역사회 풀뿌리조직의 자살예방 게이트키퍼 활동 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강원도 이장·통장 자살예방 게이트키퍼를 중심으로-)

  • Kim, Jung-Yoo;Hwang, Jung-Woo;Lee, Dong-Ha;Lee, Kang-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4
    • /
    • pp.223-233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e prevention gatekeeper participation of 299 grassroots organizational leaders in Gangwon province. For this purpose, participation of activities of suicide prevention gatekeeper was classified into performance intention and intervention level. Perform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etting participation motives which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articipation of suicide prevention gatekeeper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articipation motives affecting performance intention were a sense of mission as a leader, benefits or rewards for activities, the meaning and purpose of suicide prevention, government policy. And participation motives affecting intervention level were invitation of public officials, the meaning and purpose of suicide prev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participation of suicide prevention activities in community grassroots organiz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activation.

On Study of Rural Regional Development Planning by using GIS (GIS를 활용한 농촌지역개발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 Kim, Sang-Bum;Rhee, Sang-Young;Kim, Eun-Ja;Kim, Y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96-96
    • /
    • 2009
  • 최근 이상적인 계획안 수립을 위한 주요 요건은 대상지역의 물리적 비물리적 현황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검토에서 출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차별화된 계획 혹은 아이디어는 지역이 지닌 특성과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현재 상황에 대한 철저한 인식을 바탕으로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안은 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해당 지역의 구성원이자 대표적인 이해당사자인 거주민들은 해당지역의 주요 속성정보 제공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기존 계획수립과정에서 활용되어 왔던 자료는 주로 지자체 등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이러한 공공데이터의 활용은 최신정보의 제공 및 디테일한 지역의 특성을 포괄적으로 반영하는 데 일정부분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GIS 기법과 양방향 인터넷 등 다양한 첨단 IT기술을 활용한 주민참여형 계획수립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GIS를 활용한 해외사례를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도출된 지역분석기법을 예산군에 적용함으로서 향후 주민참여형 지역기본 계획수립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Ecological Factors and Strategies for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Targeting Vulnerable Children: Using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취약계층 아동집단의 비만예방을 위한 생태학적 요인과 해결전략 탐색: 지역사회 기반 참여연구 기반으로)

  • Park, Sooyeon;Choo, Jina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31 no.3
    • /
    • pp.256-26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cological factors and strategies for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targeting vulnerable children using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BPR) methodology. Methods: The CBPR was conducted by following basic process steps. Participants were 12 community stakeholders such as community child center directors (n=4), vulnerable children's mothers (n=3), community health center officials (n=2), and lay health advisors (n=4); they were purposively sampled from K municipal county in Seoul, South Korea.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main themes of the ecological factors and strategies by using data obtained from 5 times of focus group interview. Results: Twelve ecological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were identified: Intrapersonal factors including emotional overeating; interpersonal factors including permissive parenting style of children's eating behaviors; organizational factors including social workers' less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community/policy factors including less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Four ecological strategies for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were addressed: Developing obesity prevention programs targeting vulnerable children' lifestyles; promoting parents' active participation in education; building healthy meal service environments through empowering social workers; and building supportive community environment and securing community resources for child obesity prevention. Conclusion: Our findings may be informative in terms of provid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multi-level ecological barriers against vulnerable children' obesity prevention and, moreover, guiding multi-level strategies for preventing childhood obesity targeting children enrolled in community child centers.

Critical Approach to Community-Based Health Program: A Case of Paraguay Dengue Prevention Program (지역주민참여 보건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접근: 파라과이 뎅기열 예방 프로그램 '밍가 암비엔탈'의 사례)

  • Gu, Gyoung-Mo
    • Iberoamérica
    • /
    • v.21 no.2
    • /
    • pp.1-23
    • /
    • 2019
  • This study analyzes how the health program is implemented by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in the case of Minga Ambiental program in Paraguay. In the field of critical medical anthropology, the practice of health care programs explains that socio-cultural and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can be the main variables besides the primary purpose of preventing and eradicating the disease. In the same vein, this study also analyzed how community-based health programs operate by various external factors. As a result, the Minga Ambiental program is a health program called Dengue Fever, which has been tended to be sustained and expanded by various actors, including politicians and corporations in countries and communities, despite concerns about effectiveness. In this case, this study found that health programs can be operated by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different from their original purpose, and are intertwined in various social contexts by various actors in constructing health programs.

Development of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Global Health Project Model for Primary Health Care Capacity Development: A Case Study from a Rural Community in Ecuador (일차보건의료 역량 개발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참여형 국제보건사업 모델 개발: 에콰도르 일개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 Shin, Hye-Jeong;Kim, Eui-Sook;Yoo, Byung-Wook;Lee, Hyeon-Kyeong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21 no.1
    • /
    • pp.31-42
    • /
    • 2010
  •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successful strategies and propose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global health project model for primary health care capacity development. Methods: The study used case study methodology. A The unit of analysis was an international cooperation health project entitled "Community-based Primary Health Care Improvement in San Lorenzo, Ecuador" using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onducted in 2007~2008. Data were collected through windshield surveys, focus group discussion, key informant interviews, and provider surveys. Results: Identified successful strategies for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health project were reciprocal partnership between researchers and community, partners' capacity building, south-to-south cooperation, and continuous monitoring and feedback. Community participation was found to be an essential tenet to guarantee the improvement of primary health care in the underserved rural community. Evidence from the activities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Korea was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for primary health care providers in Ecuador. Conclusion: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primary health capacity may be tailored depending on socio-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al situations of each country. The model, however, would be applicable to the entire process of community-based global health projects in underserved rural communities of other countries.

A Study on Culture art education method of lens based media literacy (문화예술 교육방법으로서 렌즈기반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연구)

  • Ryu, ki-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7-428
    • /
    • 2011
  • SNS(Socal Network Service)미디어로 회자되는 지금의 미디어 환경에서 소통은 미디어 접근성의 중요성과 함께 어떠한 이야기를 가지고 네트워크에 참여해야 하는가에 선택과 집중이 되고 있다. 최근의 미디어 환경은 문화예술 교육안에서도 시각정보 전달을 기반으로 하는 소통구조의 미디어와 예술, 문화, IT가 결합한 컨버전스 형태의 뉴 컬처 미디어에 대한 교육적 인식을 시작하였다. 좋은 교육은 규율과 친밀성에 기반하는데 그 두 가지 모두를 가지고 있는 렌즈기반미디어리터러시는 창의적인 자기표현과 소통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문화활동가와 교육생, 교육생의 가족 등 지역사회구성원들에게 사회 참여를 확장시켜 소통의 격차를 줄이는데 일정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모델은 개별 사용자를 넘어 미디어 생산자, 수용자, 유통자 간의 새로운 관계를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