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별 분포

Search Result 2,36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태백산지역에서는 고도별 Karst Terrain의 비교 연구

  • 윤영숙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5 no.6
    • /
    • pp.31-39
    • /
    • 1980
  • 우리나라에는 캠브로-오오도비스(Cambro-Ordovician)기에 속하는 조선누층군의 대석회암통이 넓게 분포되어 있어 석회암지대 특유의 Karst지형을 이루는 곳이 많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지역은 고생대 캠브로-오오도비스기의 조선계 대석회암통에 속하는 옥천지향사의 북부태백산지구를 중심으로 한 석회암 분포지역 중에서 Sinkhole terrain이 비교적 잘 발달되고 해발고도가 상이한 3개 지역을 선정하였다.(중략)

  • PDF

Minimum Wages and Employment of Youth, Old, and Woman by Region : With Special Reference to Use of Wage Distribution Differentials among Regions (최저임금과 지역별 청년·장년·여성 고용 - 지역 간 임금분포 격차 활용을 중심으로 -)

  • Bai, Jin Ha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42 no.1
    • /
    • pp.1-42
    • /
    • 2019
  • In this study we find that relatively high minimum wages should make the employment ratios of youth, old, and woman lower very significantly in those regions concerned, futhermore, make the overall employment ratios of those regions lower also by using a proxy variable, the Regional Minimum Wages-Half Median Wages Ratio which represents well the very stable differential structure of wage distributions among regions in Korea. In large Cities those effects become much stronger. But we find also that those effects on the rates of regional unemployment are somewhat double-faced except the case of youth because of the probable generating of many discouraged unemployed among the old and women. So, we can conclude that because of the differential regional economic situations it is not sustainable to increase the overall minimum wages uniformly and excessively and strongly necessary to explore ways toward introducing the proper system of regional minimum wages.

  • PDF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Air Temperature and Thermal Amplitude of Alpine Plants on Mt. Halla, Cheju Island, Korea (한라산의 수직적 기온 분포와 고산식물의 온도적 범위)

  • 공우석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4
    • /
    • pp.385-39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한라산의 고도별, 사면별, 계절별 기온(일평균, 일최고, 일최저) 분포와 고산식물의 수직적 분포역을 기초로 고산식물별 온도적 범위를 분석한 후 제주도의 온난화에 따른 한라산 고산식물의 미래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고산지에서의 고도별 기온 분포와 수직적 기온 체감이 환산되어 산악지역에서의 기온 분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확보되었다. 한라산에서의 100m당 기온체감율은 일평균기온이 -0.58$^{\circ}C$, 일최고기온이 -0.53$^{\circ}C$ 범위내에서 분포가 주로 결정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최고기온 체감율이 고산식물의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온난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의 모니터링과 경관 보전 측면에서 유용한 생태적 정보를 축적하여, 한라산에 분포하는 희귀하거나, 멸종위기 상태에 있는 고산식물들의 보전과 관련된 지식이 수립될 수 있다.

  • PDF

Analysis of Soil Erosion Hazard Zone by R Factor Frequency (빈도별 R인자에 의한 토양침식 위험지역 분석)

  • Kim, Joo-Hun;Oh, Deuk-K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7 no.2
    • /
    • pp.47-5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soil loss amount according to the rainfall-runoff erosivity factor frequency and to analyze the hazard zone that has high possibilities of soil erosion in the watershed. RUSLE was used to analyze soil loss quantity. The study area is Gwanchon that is part of Seomjin river basin. To obtain the frequency rainfall-runoff erosivity factor, the daily maximum rainfall data for 39 years was used. The probability rainfall was calculated by using the Normal distribution, Log-normal distribution, Pearson type III distribution, Log-Pearson type III distribution and Extreme-I distribution. Log-Pearson type III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accurate of all, and used to estimate 24 hours probabilistic rainfall, and the rainfall-runoff erosivity factor by frequency was estimated by adapting the Huff distribution ratio. As a result of estimating soil erosion quantity, the average soil quantity shows 12.8 and $68.0ton/ha{\cdot}yr$, respectively from 2 years to 200 years frequency. The distribution of soil loss quantity within a watershed was classified into 4 classes, and the hazard zone that has high possibilities of soil erosion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se 4 classes. The hazard zone represents class IV. The land use area of class IV shows $0.01-5.28km^2$, it ranges 0.02-9.06% of total farming area. Especially, in the case of a frequency of 200 years, the field area occupies 77.1% of total fanning area.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soil loss can be influenced by land cover and cultivation practices.

  • PDF

나주지역 대기중 벤젠의 계절별 농도 분포 특성

  • 김조천;김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0.05a
    • /
    • pp.99-10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교외지역인 전남 나주에 소재한 동신대학교 1공학관 주변의 환경 대기중의 VOC중 벤젠을 계절별로 그 농도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벤젠과 톨루엔의 계절별 농도 평균값이 봄(늦봄), 여름, 가을 순으로 농도가 높게 나타나 온도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나주지역의 벤젠농도가 여천지역이나 서울지역에 비해 봄에 8배, 3배 그리고 여름철에 14배, 5배 정도로 각각 낮게 나타나 나주 지역이 비교적 청정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바람의 강도에 따른 강하먼지와 불용성 성분의 조성 특성

  • 김유근;박종길;문덕환;황용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42-45
    • /
    • 2001
  • 연안도시인 부산에서 상업지역을 제외하면, 모든 지역에서 북풍계열의 바람이 우세하였으며, 풍속의 빈도분포는 l~3 $^{m}/_{s}$에서 상업지역, 공업지역, 해안지역 그리고 농업지역순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으나, 또한 지역별 평균풍속과 최대풍속은 해안지역, 상업지역, 농업지역 그리고 공업지역 순으로 관측되어 공업지역의 경우 국지적인 영향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각농축계수는 토양기원인 Ca, K, Si는 1.0 이하의 분포를 보였으나, Cd, Cu, Pb 그리고 Zn은 10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Pb는 공업지역, 해안지역, 상업지역 그리고 농업지역 순으로 조사되었다.

  • PDF

Patterns of the Appearances and Distributions of the Genus Hotaria in Korea (한국산 Hotaria 속 반딧불이 2종의 고도별 출현 및 분포양상)

  • Sim, Ha-Sik;Kwon, Oh-Ki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3 no.3
    • /
    • pp.211-215
    • /
    • 2000
  • We have collected two species of firefly, Hotaria papariensis and Hotaria unmunsana to investigate their patterns of appearances and distributions from May to July in 1999 at 18 localities in Korea. A total of 1,096 individuals of these two species were collected: H. papariensis 584 and H unmunsana 512. The highest appearance level of adult firefly was different from each altitude. They appeared from the beginning of June to the end of June at 200 m sea level, the middle of June to the end of June at 200∼400 m, the end of June to the beginning of July at 400∼600 m and the beginning of July to the middle of July at 600∼800 m, respectively, All regions of these two species were cohabit, but Cheju-do region is the exceptional case. H papariensis was dominant at the northern parts and H unmunsana was the southern parts of Korean peninsula.

  • PDF

Assessment of the Bivariate Regional Frequency analysis for The Extreme Rainfalls of South Korea (이변량 지역빈도해석의 한국 극한강우에 대한 적용성 평가)

  • Shin, Ju-Young;Ahn, Hyunjun;Jeong, Changsam;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2-12
    • /
    • 2018
  • 수공구조물 설계의 기준을 정하기 위해서 수문자료의 빈도해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수문자표의 빈도해석 기법으로는 자료의 차원과 기법에 따라서 총 네 개로 구분할 수 있다. 그 네 개의 빈도해석은 다음과 같다 1) 단변량 수문자료와 지점별로 확률분포형 모형을 구축하는 단변량 지점빈도해석, 2) 다변량 수문자료와 지점별로 확률분포형을 구축하는 다변량 지점빈도해석, 3) 단변량 수문자료와 동일지점내의 확률분포모형을 구축하는 단변량 지역빈도해석, 4) 다변량 수문자료와 동일지점내의 확률분포모형을 구축하는 다변량 지역빈도해석. 현재는 다변량 지역빈도해석에 대한 연구사 수문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현재 다변량 지역빈도해석에 대한 한국의 극한 강우 자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변량 극한강우자료에 대한 다변량 지역빈도해석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 PDF

Growth and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Society in Metro Atlanta, Georgia, USA (미국 조지아 주 메트로 애틀랜타 한인사회의 성장과 공간적 분포)

  • Lee, Sung-Cheol;Lee, Eui-Ha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2
    • /
    • pp.225-239
    • /
    • 2011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the growth process of new emerging Korean society in Georgia, the USA by investigating changes i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Korean business located in metro Atlanta region. More specifically, it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business in metro Atalanta through their locational trends since 1980s. To this end, it has explored the history of Korean migration into Georgia and the locational trends of Korean firms in metro Atlanta by industries. As a result, the main location of Korean firms has expanded into the northeastern regions of Atlanta d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new regional development, education environment and changes in residential distribution by ethnic. Also, the main Korean business has transformed from retails and restaurant to real estate and finance because of changes in market strategies, institutions and Korean local migration.

  • PDF

A survey on the Minimum Time Scale by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for Daily SPI Application (일 단위 SPI 적용을 위한 한반도 남부지역별 최소 시간 척도 조사)

  • Chae Lim Lee;Ji Yu Seo;Jeong Eun Won;Sang Da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28-328
    • /
    • 2023
  •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는 강수량 변동의 정도를 표준화하여 나타낸 지수로, 가뭄 평가에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SPI를 산정할 때는 월 단위의 시간 척도를 적용하며, 장기간의 가뭄에 대해 평가한다. 그러나 시간 척도가 길어질수록 가뭄 발생 후 가뭄을 감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더 길어지기 때문에 대처가 더욱 어려워진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 빈도가 증가하고, 그 정도가 더욱 심화되면서 일 단위의 적용이 필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반도 남부지역을 대상으로 일 단위의 SPI 적용을 위한 최소 시간 척도를 조사하였다. 대상 지역을 강원권, 수도권, 부울경, 대경권, 호남권, 충청권의 총 6개 지역으로 분리하여, 각 지역별, 계절별 최소 시간 척도를 조사하였다. SPI 산정을 위해 후보 분포형으로 Gumbel, Gamma, GEV, Loglogistic, Lognormal, Weibull을 적용하였으며, 시간 척도는 5일부터 365일까지 총 10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선 크게 적합도 검정과 정규성 검정으로 진행하였다. 적합도 검정에서는 Chi-square test를 적용하였으며, 이때 일 단위의 짧은 시간 척도를 적용할 경우 누가 강수 시계열의 값이 0으로, 0값이 시계열에 포함되면 SPI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누가 강수 시계열의 0값을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후보 분포형을 적용하여 산정된 SPI가 표준정규분포에 합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Anderson-Darling test를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봄과 여름의 경우 최소 15일 정도의 시간 척도까지는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겨울의 경우는 최소 30일 정도의 시간 척도를 적용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지역별로 차이가 크진 않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각 지역별로 더 나은 가뭄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