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imum Wages and Employment of Youth, Old, and Woman by Region : With Special Reference to Use of Wage Distribution Differentials among Regions

최저임금과 지역별 청년·장년·여성 고용 - 지역 간 임금분포 격차 활용을 중심으로 -

  • Bai, Jin Han (Dept. of Economics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8.12.25
  • Accepted : 2019.02.14
  • Published : 2019.03.31

Abstract

In this study we find that relatively high minimum wages should make the employment ratios of youth, old, and woman lower very significantly in those regions concerned, futhermore, make the overall employment ratios of those regions lower also by using a proxy variable, the Regional Minimum Wages-Half Median Wages Ratio which represents well the very stable differential structure of wage distributions among regions in Korea. In large Cities those effects become much stronger. But we find also that those effects on the rates of regional unemployment are somewhat double-faced except the case of youth because of the probable generating of many discouraged unemployed among the old and women. So, we can conclude that because of the differential regional economic situations it is not sustainable to increase the overall minimum wages uniformly and excessively and strongly necessary to explore ways toward introducing the proper system of regional minimum wages.

이 연구에서 우리는 매우 안정적인 지역 간 임금분포의 격차구조를 잘 나타내는 지역별 최저임금/중위임금50%비율의 격차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최저임금이 지역의 청년층, 장년층, 그리고 여성노동력의 고용률을 매우 유의하게 낮추며 나아가서 지역 전체 노동력의 고용률도 유의하게 하락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있다. 대도시지역일수록 이 효과는 보다 강하게 나타난다. 그렇지만 실망실업자의 가능성 때문에 실업률에 대한 그 효과는 청년층을 제외하고는 다소 이중적이라는 점도 발견된다. 그리하여 최저임금의 과도한 일률적 인상을 시도하는 것은 지역 경제여건 상 결코 지속가능하지 않으며 아울러 적절한 지역별 차등 최저임금제도 등의 도입을 모색하는 것도 매우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승복. 2019년 최저임금 심의를 위한 임금실태 등 분석. 최저임금위원회, 2018.
  2. 김대일. 최저임금의 저임금 근로자의 신규 채용 억제효과. 노동경제논집 35권 3호 (2012. 12): 29-50.
  3. 김대일. 최저임금의 경제효과. 경제논집 정책논단 57권 1호 (2018): 95-113.
  4. 김민성.김영민.박태수. 최저임금 변화가 지역고용에 미치는 효과 분석. 산업관계연구 23권 2호 (2013. 6.): 37-73.
  5. 김준영.김하영. 최저임금 인상의 고용효과 추정: 고용보험통계 시군자료를 이용한 분석. 지역고용 위기극복 방안 모색: 한.일 사례 비교 분석. 2018년 (사)한국지역고용학회 하계학술대회. (2018. 7. 5): 1-21.
  6. 노응원. 참여정부 기간 가구소득 분배는 과연 악화되었는가? - 우리나라 가구소득 지니계수 변화의 통계적 유의성 검정 -. 경제발전연구 15권 1호 (2009. 3.): 95-132.
  7. 배진한. 시장형 지역일자리 창출 방안. 행정안전부.국회일자리만들기특별위원회 주최 지역일자리 창출 100인 포럼 제4차 대국민토론회 (2010. 12.9.): 33-76.
  8. 이정민․황승진. 최저임금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노동경제논집 39권 2호 (2016. 6.): 1-34.
  9. 이정민.전현배. 최저임금의 고용효과. 2018 전반기 금융경제연구원 정책심포지엄 최저임금의 소득.고용효과 발표 논문 (2018. 5.25.). 서울대학교 금융경제연구원, pp.1-31.
  10. 최경수.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에 미치는 효과. KDI FOCUS 통권 90호 (2018.6.4.): 1-8.
  11. 홍민기. 2018년 최저임금 인상의 고용 효과. 월간 노동리뷰 통권 158호 (2018. 5.): 43-56.
  12. 황선웅. 최저임금 인상의 경제적 효과 분석. 최저임금 인상 효과 분석 정책토론회.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정의당대표 이정미 국회의원 (2018. 6. 18.): 15-35.
  13. 통계청. KOSIS (http://kostat.go.kr). 지역별고용조사 2008-2017년 III분기 또는 하반기원자료 (2018. 5. 3. 접속).
  14. 통계청. KOSIS (http://kostat.go.kr). 경제활동인구조사와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 (2018. 6. 3. 접속).
  15. 통계청. KOSIS (http://kostat.go.kr). 전국사업체조사 (2018. 6. 20. 접속).
  16. Card, David. "Using Regional Variation in Wages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Federal Minimum Wage." Industrial and Labor Relations Review 46 (1) (Oct. 1992): 22-37. https://doi.org/10.1177/001979399204600103
  17. Dube, Arindrajit., William Lester, and Michael Reich. "Minimum Wage Effects Across State Borders: Estimates Using Contiguous Counties."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92 (4) (Nov. 2010): 945-964. https://doi.org/10.1162/REST_a_00039
  18. Fuchs, V.R.. "Redefining Poverty and Redistributing Income." The Public Interest 14 (8) (Jan. 1967): 88-95.
  19. Lerman, R. and S. Yitzhaki. "Improving the Accuracy of Estimates of Gini Coefficients." Journal of Econometrics 42 (1) (Sept. 1989): 43-47. https://doi.org/10.1016/0304-4076(89)90074-2
  20. Malamud, O. and A. Wozniak. "The Impact of College on Migration: Evidence from the Vietnam Generation." Journal of Human Resources 47 (4) (Fall 2012): 913-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