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별 기후

Search Result 1,03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preliminary spectral library development for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toxic chemicals using hyperspectral technique (초분광 기법을 활용한 유해화학물질 감지 및 분류를 위한 분광라이브러리 구축)

  • Gwon, Yeonghwa;Kim, Dongsu;You, Hojun;Kim, Se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31-131
    • /
    • 2019
  • 최근 기후변화와 여름철 고온 등으로 인한 녹조현상, 각종 사고로 인한 화학물질 및 유류 유출 등 수질오염과 관련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화학사고로 인한 유해화학물질 유출은 접촉시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며, 대기 수질 토양을 오염시키고 주변 농작물의 변색이나 괴사를 유발하는 등 발생 시 적절한 조치와 대응이 필요하다. 환경부에서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해 화학물질관리법과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유해화학물질을 관리하고 사고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화학사고 발생 시 현장인력에 의존해 공장 인근의 먼지, 악취 등을 감시하거나 화학물질의 유출이 우려되는 곳에 제한적으로 검출센서를 설치해 사고를 감시하고 있으나 미설치 지역에 대한 능동적 탐지가 어렵고, 공간적 분포 탐지가 불가능하여 초동 대응에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 초분광 영상을 활용하여 물질 고유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토지피복, 식생, 수질 등의 식별에 활용되고 있어 화학물질 감지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초분광 센서를 활용한 하천의 화학물질 감지를 위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유해화학물질의 일종인 황산, 염화티오닐, 톨루엔을 대상으로 지점 분광복사계로 촬영하여 각각의 화학물질이 갖는 분광특성을 수집하여 초분광 영상으로 상호 구분이 가능한 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상치 검출 및 신뢰도 높은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다회 반복촬영하였으며 반사도의 표준화를 위해 백색판을 동시에 측정하고 이를 정규화하여 분광 라이브러리를 구축한 결과, 대상 화학물질 별 식별이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가능성에 기반하여 추가적인 유해화학물질 분광 라이브러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면, 사고물질의 식별 및 농도를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에 적용하여 신속하게 화학사고 발생여부 감지 및 대응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Optmized Design for Flood Mitigation at Sea Side Urban Basin (해안 도시유역의 수재해 저감설계 최적화 기법 연구)

  • Kim, Won Bum;Kim, Min Hyung;Son, kwang Ik;Jung, Woo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7-267
    • /
    • 2016
  • Extreme events, such as Winnie(1987), Rusa(2002), Maemi(2003) at sea-side urban area, resulted not only economic losses but also life losses. The Korean sea-side characterisitcs are so complicated thar the prediction of sea level rise makes difficult. Geomophologically, Korean pennisula sits on the rim of the Pacific mantle so the sea level is sensitive to the surges due to earth quake, typoon and abnormal climate changes. These environmetns require closer investigation for the preparing the inundatioin due to the sea level rise with customized prediction for local basin.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provide the information of inundation risk so the sea side urban basin could be more safe from the natural water disastesr.

  • PDF

Correlates between Urban Land Use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Characteristics and Energy Consumption - A Case of Busan Metropolitan Area (토지이용 및 제조업 특성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과의 상관성 분석 - 부산광역도시권 사례를 중심으로)

  • Lee, Yun Ju;Choi, Yeo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5
    • /
    • pp.637-645
    • /
    • 2019
  • Global warming and a new energy policy request the energy saving and pollutant emission control in municipal level. Previous studies focus on transport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can easily meet the policy goal by reducing it. This study expands the area of urban energy planning to the industries and land use which takes up most of energy use of the city. We empirically study the Busan metropolitan area's 5 years natural gas and electricity consumption data by the industries and land use. Results show that energy usage significantly depends on not only population but also urbanizing intensity and industrial category. This paper address that the policy maker need to pay attention on energy usage pattern of each sectors during the planning.

Analysis of the Sensitivity and Future Changes in Runoff Characteristic of the Urban Stream Using SWMM (SWMM모형을 이용한 도시하천의 민감도 및 미래 유출특성 분석)

  • Hwang, Sung-Hwan;Lee, Bo-Ram;Yoon, Tae-Hyung;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04-604
    • /
    • 2015
  •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보수 및 유수기능이 감소하였고,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국지성호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기존 우수관망시스템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최근 발생하는 도시유역의 홍수 피해는 대부분이 내수에 의한 침수 피해로 이러한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도시하천에 적합한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하여 침수 위험 유역을 정확히 예측하여 사전 보강 및 예 경보를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들어 잦은 침수피해가 발생한 도림천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모형인 XP-SWMM을 이용하여 민감도 및 미래 유출 특성변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로, 지형자료 및 관거 자료, 2014년에 완공된 저류지 및 펌프시설 자료를 모두 적용하여 유역의 특성을 최대한 반영한 모형을 설계하고 실측유량과 모형유량을 비교하여 최적화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최적화된 모형의 매개변수를 기준으로 인자별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현재 도림천의 유출특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미래 경향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인 강우량과 불투수율의 경향성을 반영하여 도림천 유역의 미래 유출특성(첨두유출량, 침수심, 침수면적, 홍수위)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민감도 분석결과 강우량을 20% 감소시켰음에도 최대 침수심과 침수면적이 3.772m, 침수면적이 $5.027km^2$로 여전한 내수침수가 발생하고 있어 도림천 유역이 치수로 부터 취약한 지역임을 확인하였다. 비정상성 빈도해석으로 강우를 산정하고 log형 회귀식으로 불투수율을 산정하여 도림천 유역의 미래 유출특성을 모의한 결과 2020년과 2030년의 최대침수심이 각각 4.9352m, 4.9954m로 현재의 최대 침수심(4.8093m)보다 평균 0.156m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와 미래의 홍수위와 여유고를 이용하여 제방안전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현재에도 전체구간이 안전구간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2030년으로 갈수록 안정단면은 평균 8.5% 감소하고 위험단면은 평균 17%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여 추후 침수피해 저감을 위한 대응방안 및 효과적인 대피소, 대피경로 수립 등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nsity of Chigger Mites as Tsutsugamushi Vectors Collected from Jinan, Jeollabuk-do (전북 진안에서 채집한 쯔쯔가무시 매개 털진드기 밀도)

  • Lee, Hyeok Jae;Park, Chul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 v.52 no.4
    • /
    • pp.364-371
    • /
    • 2020
  •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s conducting surveillance of climate change vectors across all regions in Korea to counteract the spread of these vectors. As a part of this surveillance project, wild rodents were captured using traps to investigate the spread of chigger mites, the vector of Tsutsugamushi disease, across Jeonbuk, Jinan region, and to conduct studies on pathogens. Twenty samplers were used to sample chigger mites weekly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four different locations. Six hundred and eleven chigger mites of eight varying types were captured. The largest number of captured chigger mites was N. tamiyai, with 434 samples (71.0%). With the addition of 66 wild rodents captured from traps, 3,050 chigger mites were sampled, which yielded a Chigger index of 46.2. The monthly Chigger index was highest in November with a value of 206.1. the result of the test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pathogens showed two positive results, each from May and September, out of all 85 pools. This result was aligned with the increased frequency in tsutsugamushi disease cases in spring and fall seasons.

Assessment of rainfall-runoff performance using corrected satellite precipitation products b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합성곱신경망을 이용한 보정 위성강수자료 강우-유출 성능 평가)

  • Young Hun Kim;Le-Xuan Hien;Sung Ho Jung;Gi Ha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65-65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 가뭄 등 수재해가 세계 곳곳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정확한 강우-유출 해석의 중요도는 높아지고 있으며 강우-유출 해석에 따라 수자원 관리 및 계획수립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 대상 지역인 메콩강 유역은 중국과 동남아시아 5개국(라오스, 태국, 미얀마, 베트남, 캄보디아)을 관통하는 국가공유하천으로 기초자료의 획득이 어렵고 국가별로 구축된 자료가 질적, 양적 품질이 상이하여 수문해석에서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기에 불확실성이 있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글로벌 격자형 강수자료 획득이 용이함에 있어 미계측 대유역에서의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지만, 지점강수자료와 시·공간적 오차로 인한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격자형 강수자료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점 격자형 강수자료(APHRODITE)와 4개의 위성강수자료(CHIRPS, CMORPH, PERSIANN-CDR, TRMM)를 수집하고 합성곱 신경망 모형인 ConvAE 기법을 이용하여 위성강수자료의 시·공간 편의 보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하천 수위에 대한 장기간 정보 수집이 가능한 메콩강 본류 4개 관측소(Luang Prabang, Pakse, Stung Treng, Kratie)를 선정하였으며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 보정(2004~2013)과 격자형 강수자료의 보정 전·후의 유출모의(2014~2015)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격자형 강우를 이용한 보정 및 유출 분석 결과 4개의 위성강수자료 모두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그 중 보정된 TRMM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 해당 유역에서의 APHRODITE를 대체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ConvAE를 이용한 보정기법과 이를 이용한 강우-유출 해석은 향후 다양한 격자형 강수자료를 활용한 미계측 대유역에서의 수문해석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ase Study on the Parameters Applied to the Estimation of the Peak Flood in a Small Watershed (소규모유역 첨두홍수량 산정시 적용된 매개변수 사례 연구)

  • Jin Keun Song;Jae Sung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80-380
    • /
    • 2023
  • 기후변화와 도시화에 따른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재해 위험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한 재해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종 개발사업 시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사전에 자연재해에 따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재해영향평가 협의가 시행되고 있다. 재해영향평가 협의에서 홍수로 인한 재해예방을 위해 개발사업으로 인한 홍수유출 증가량 검토하고 저감 대책을 제시하게 된다. 이중 소규모 재해영향평가는 면적 5천m2 이상 5만m2 미만의 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첨두홍수량 산정 방법으로는 합리식, clark단위도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소규모 유역의 첨두홍수량을 합리식, 단위도법 등으로 산정할 경우 도달시간이 매우 짧아 홍수량이 과다하게 산정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합리식에서는 강우지속기간을 늘리기 위해 일정 유입시간을 고려하고 있으며, 단위도법에서는 유역반응시간을 조정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clark단위도법에서 저류상수 매개변수 보정을 7 ~ 10분으로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성, 양주, 청주지역의 소규모 재해영향평가협의 대상인 공장부지 조성사업의 홍수량 산정시 저류상수 매개변수 조정 사례를 조사하고 그 중 유역의 상황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개발 후 매개변수 조정을 10분으로 적용한 10개 사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 후 매개변수 보정량을 10분을 7분으로 변경하여 홍수량을 산정하였다. 10개 사업 홍수량 산정결과 「재해영향평가등의 협의 실무지침 (2021.01, 행정안전부)」에서 제시하는 소유역 비홍수량의 범위인 25 ~ 35m3/s/km2에 8개 사업이 만족되었고, 2개 사업은 개발 후 비홍수량이 제시 범위를 다소 초과하였고, 홍수량의 증가는 4.7 ~ 16.3% 범위로 나타났다. 소규모 유역에서 저류상수 보정량이 홍수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이 큰것을 감안하면 유역의 도시화등 상태변화 비율 및 소유역 면적별로 매개변수 조정량을 정량화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n Analysis of Execution Patterns of Weather Forecast Application in Constraints Conditions (제약 조건에서의 예보를 위한 기상 응용의 실행 패턴 분석)

  • Oh, Jisun;Kim, Yoonhee
    • KNOM Review
    • /
    • v.22 no.3
    • /
    • pp.25-30
    • /
    • 2019
  • For meteorological applications, meaningful results must be derived and provided within time and resource limits. Forecasts through numerous historical data are time-consuming and still have resource limitations in the case of disaster safety-related analyses/predictions such as local typhoon forecasts. Suitable forecasts should be provided without any problems caused by limited phys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when results are to be drawn under time constraints, such as typhoon forecasts and forecast services for flooded areas by roa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application of weather and climate forecasting to provide a suitable forecasting service in both temporal and resource condi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execution time according to mesh sizes, it was confirmed that a mesh adjustment can cope with the case of the temporal constraint.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execution time through memory resource control, we confirmed the minimum resource condition that does not affect the performance and the resource usage pattern of the application through the swap and mlock analysis.

A standardized procedure on building spectral library for identifying hazardous chemicals mixed in rivers using UAV-based hyperspectral technique (드론 기반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하천수 혼합 유해화학물질 식별을 위한 분광라이브러리 구축 표준화 방안)

  • Gwon, Yeonghwa;Kim, Dongsu;You, Ho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61-161
    • /
    • 2020
  • 최근 기후변화와 여름철 고온 등으로 인한 녹조현상, 화학물질 및 유류 유출 등 화학사고로 인한 하천의 수질오염과 관련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화학사고로 인한 유해화학물질 유출은 인체에 접촉 시 악영향을 끼치며, 대기·수질·토양을 오염시키고 주변 농작물의 변색이나 괴사를 유발하는 등의 피해를 야기하기 때문에 적절한 조치와 대응이 필요하다. 환경부에서는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기 위해 화학물질관리법과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유해화학물질을 관리하고 화학사고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화학사고 발생 시 공장 인근의 먼지, 악취 등을 감시하기 위해 현장인력에 의존하거나 화학물질의 유출이 우려되는 곳에 제한적으로 검출센서를 설치해 사고를 감시하고 있어 검출센서 미설치 지역에 대한 능동적 탐지가 어렵고, 화학물질의 공간적 분포 탐지가 불가능하여 초동 대응에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 초분광 영상을 활용하여 물질 고유의 분광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토지피복, 식생, 수질 등의 식별에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초분광 센서를 활용한 화학물질 감지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지만, 초분광 센서를 활용한 하천의 화학물질 감지를 위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해화학물질 18종을 대상으로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상호 구분이 가능한 지 확인하고자 해당 유해화학물질의 초분광 영상을 촬영하여 분광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또한 물질별 특성을 보이는 분광밴드의 범위를 지정해 특성 분광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으며, 해당 과정에 대한 표준 및 절차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절차에 따라 18종의 유해화학물질 분광라이브러리와 특성 분광라이브러리를 구축한 결과, 유해화학물질의 식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를 통해 유해화학물질 분광라이브러리 데이터베이스를 확대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에 적용할 경우 신속한 화학사고 발생여부 감지 및 대응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Quaternary Environmental Research Trend of the Korea and Future Issues -Focused on Last Interglacial~Holocene Environmental Study of Physical Geographers- (한국의 제4기 환경연구 - 최종간빙기~홀로세 환경연구를 중심으로 -)

  • PARK, Ji-Hoo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8 no.4
    • /
    • pp.97-126
    • /
    • 2011
  • This paper has identified the Quaternary Environmental research trend of the Korea that has become the center of physical geographers and analyzed its performance by topic. As a result, we could see that most studies are accepted as research topics of restoring topography-climate-vegetation-sea level-soil environment during 'Last Interglacial ~Holocene' targeting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surrounded area. However, the situation is that it is difficult to restore the Quaternary Environment of the Korea in general only with their study performance. In the future, I hope the Quaternary Environmental research of the Korea would play more leading role than the researchers of other field by selecting more wide ranged and in-depth study topics in terms of the Quaternary Environmental research to furthermore introduce a new analytic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