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별 기후

Search Result 1,03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f Regional Relative Humidity Environment for Dehumidification System Efficiency of Suspension Bridge Cable (현수교 케이블 송기시스템 효율화를 위한 지역별 상대습도 환경 분석)

  • Seo, Dong-Woo;Kim, Ga 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7
    • /
    • pp.88-94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safety of a cable stayed bridge caused by damage to the cable system. Many cable-supported bridges, including cable-stayed bridges and suspension bridges, have been constructed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requires efficient maintenance and management because this structure has complex structural components and systems. This large structure also often faces risks either from manmade causes or natural phenomena. In 2015, the cables on one cable-stayed bridge in South Korea was struck by lightning, which led to a fire on the cables. These cables were damaged, which put the bridge at risk. This bridge was back in use after a few weeks of investigations and replacements of the cables but this was done at enormous social and economic expense. After this event, risk-based management for infrastructure is required by public deman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risks on the cable system due to potential damage. In this paper, a one cable-stayed bridge in South Korea was selected and its safety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damage scenarios of cable system for efficient and prompt management, and to support decision making. FEM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bridges after damage to the cable system.

A Study on the Water Strategy for European Water Market Entry (유럽 물시장 진입 전략 연구)

  • Jin Suhk Suh;Shang Mo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75-75
    • /
    • 2023
  • 글로벌 물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① 첨단 기술기반의 글로벌, ② 운영관리 시장의 확대, ③ 물기업의 토털 솔류션화(제조+건설+엔지니어링+운영관리), ④ 기후변화 대비 신규시장 형성 등 글로벌 물산업의 트렌드가 전환되고 있다. 특히 4차산업 혁명 기술과 코비드19의 영향으로 이러한 변화는 물산업 선도국가 및 선도기업의 정책·전략에 있어 지역별 특성과 분야별 물시장의 특성을 반영한 전략목표 재설정 및 재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국내 물시장은 2020년 기준 상·하수도 보급률, 각각 98.7%, 94.5% 수준을 달성했음에도 불구하고. 해외시장 진출에 있어서는 미미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국내 물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서는 포화된 국내 시장을 벗어난 신시장 발굴이 필요한 상황이며, 국가별 상황에 대한 실태조사와 목표 시장별 분석을 통해 국가별, 분야별 맞춤 진출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물기업의 유럽지역(프랑스/스페인) 진출 활성화를 위해 각 국가별 상황에 부합하는 목표 시장별 차별적 전략 도출을 위해 국가별 물시장 동향 및 전망, 진출목표 분야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물기업의 프랑스/스페인 물시장 진입전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easonal Occurrence of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ricius and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übner Using Sex Pheromone Traps at Different Locations and Regions in Yeongnam District (영남지방 지역 및 지대별 담배거세미나방과 파밤나방 성충의 발생소장)

  • Bae, Soon-Do;Kim, Hyun-Ju;Lee, Geon-Hwi;Park, Sung-Tae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6 no.1 s.145
    • /
    • pp.27-35
    • /
    • 2007
  • Seasonal occurrences of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and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were observed using sex pheromone traps at different locations and climatic regions in Yeongnam district. In Gyeongnam province, S. litura male adults kept occur from mid or late March to mid or late November Whereas in Gyeongbuk province, S. litura occurred from mid or late April to early or mid November with exception at Uljin where it was late May to late October. According to the climatic regions, the peak occurrence of S. litura was middle September at the southern coast region, late August at the inland and the basin region, middle August at the inland mountainous region, and early September at the eastern middle coast region. The occurrence rate of S. litura was the highest at Jinju with 20.0% and the lowest at Changyeong with 8.6% in Cyeongnam province, while it was the highest at Sungju with 3.3% and the lowest at Uljin with 0.8% in Gyeongbuk province. In accordance with the climatic regions, the occurrence rate of S. litura was the highest at the inland region with 43.7%, and followed by the southern coast region (36.3%), the basin region (8.4%) and the inland mountainous region (7.0%), and was the lowest at the eastern middle coast legion with 4.6%. On the other hand, S. exigua occurred from early March to middle November with the exception of the eastern middle coast region including Pohang, Yeongdeog and U]ien in Cyeongbuk province where it occurred from mfd April to middle November. The peak occurrence of s. exigua was early August at the inland region, the basin region and the inland mountainous region, and was late of August at the southern coast region and the eastern middle coast region. The occurrence of S. exigua was the highest at Changyeong with 1.6% and the lowest at Busan with 0.4% in Gyeongnam province, while it was the highest at Sungju with 37.2% and the lowest at Uljin with 2.7% in Gyeongbuk province. The climatic regional occurrence rate of S. exigua was the highest at the basin region with 54.3%, and followed by the inland mountainous region (29.9%), the eastern middle coast region (9.3%) and the inland (3.9%), and was the lowest at the southern coast region with 2.6%. As a whole, S. litura occurred more in Gyeongnam province than Cyeongbuk province, while S. exigua occurred more in Gyeongbuk province than Gyeongnam province. According to the regions grouped by climatic differences, the occurrence of S. litura and S. exigua was the highest at the inland region in Gyeongnam province and at the basin region in Gyeongbuk province. The total number of S. litura captured by sex pheromone trap was 2.4 times higher than that of S. exigua. However, the first occurring time and the peak occurrence of S. exigua were slightly earlier than those of S. litura.

Development of dam inflow forecasting method using VARX model (VARX 모델을 이용한 댐 유입량 전망기법 개발)

  • Kwon, Yoon Jeong;Kim, Jinyoung;Yu, Jaeung;Kang, Subi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06-406
    • /
    • 2022
  • 댐은 물을 담아두어 강수량에 따른 유량을 조절하거나, 하천의 물을 끌어와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역할 또는 모래, 자갈 등을 막아 걸러주는 역할 등을 수행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별, 계절별 강수량의 차이가 크며, 그로 인해 유량이 지역과 계절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런 변동성을 조절하기 위해 치수와 이수, 두 분야 모두에서 댐의 중요성이 크다. 이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한 변동성의 극대화로 인해 그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댐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강수량에 따른 댐 유입량의 예측을 하여, 적절한 방류 시기 및 방류량을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변동성의 증대로 홍수와 가뭄과 같은 재해의 빈도와 심도가 커지면서 댐 유입량의 예측이 어려워지고 있다. 댐의 설계나 유지관리를 위해 홍수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갈수기의 경우 물 부족으로 인해 유량이 적어져 댐 유입량에 대한 정확한 산정이 어려워 가뭄 시 댐 유입량에 관한 연구가 홍수 시에 비해 적게 연구된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가뭄 시 댐 연구를 위해 갈수기의 댐 유입량에 대한 정확한 산정 및 예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댐 주변의 지하수위와 하천수위의 관계성을 보이고 각각 다른 변량 간의 시간적 종속성을 고려하는 동시에 상호연관된 변량의 시간적 종속성을 동시에 고려한VARX(vector autoregressive-exogenous) 모델을 이용하여 정확한 댐의 유입량을 산정 및 예측하고 그에 대한 검증을 시행하여, 댐 분야에서 가뭄에 대비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하였다.

  • PDF

Introduction of Small-Scale Pumped-Storage Generation Technology to solve the Problem of Renewable Energy Volatility (재생에너지 변동성 문제 해결을 위한 소규모 양수발전 활용 기술 소개)

  • Tae Gyu Hwang;Jong Seok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78-78
    • /
    • 2023
  • 기후변화 위기는 유사 이래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으로 범정부적 글로벌 문제로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범국가 차원 혹은 세계적 기업들에 의해 발표 혹은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위기와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대표적인 대응 방안 중 하나가 바로 재생에너지의 확대·보급 노력이다. 그러나 재생에너지는 날씨와 계절 등 자연환경의 영향을 받는 에너지원으로써 간헐성, 변동성을 가지므로, 시간대별 발전량 예측과 전력공급 안정성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재생에너지 발전은 석탄화력 발전과 달리 전력의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위한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이하 ESS)가 있어야 한다. ESS는 전력공급 안정성 향상과 전력 수급의 유연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지만, 초기 설치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특히, 배터리 기반 ESS의 경우 높은 구축 비용과 한정적인 충. 방전수명으로 인하여 대용량 ESS로써의 역할 수행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ESS로 양수발전댐을 활용할 경우 장주기, 장수명, 대용량 에너지 저장에 매우 합리적인 수단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양수발전 댐 구축에는 토목공사로 인한 환경 훼손이라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본 고에서는 지역 분산형 소규모 양수발전(Pumped Storage Hydropower, 이하 PSH)댐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을 통해 지역 전력공급과 전력 수급을 조절하면서 변동성 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해당 기술은 지역별 특성에 맞춰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대규모 토목공사로 의한 환경적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소규모 PSH는 지역의 저수지 및 수자원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함으로써 변동성 큰 재생에너지의 유연화 대응과 동시에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 본 고에서는 재생에너지의 확대·보급에 따른 문제점과 대표적 ESS 기술들을 분석·소개한다. 지역분산형 소규모 PSH 기술개발 연구기획 내용 소개를 통하여 전력 생산 및 공급의 탈중앙화를 달성하고, 지역별 변동성 재생에너지의 안정적 활용과 지역 전력공급 특성 및 전력 수급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Study on Improvement of Frost Occurrence Prediction Accuracy (서리발생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방법 연구)

  • Kim, Yongseok;Choi, Wonjun;Shim, Kyo-moon;Hur, Jina;Kang, Mingu;Jo, Sera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3 no.4
    • /
    • pp.295-305
    • /
    • 2021
  •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using Random Forest(RF) by selecting the meteorological factor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frost. As a result, when constructing a classification model for frost occurrence, even if the amount of data set is large, the imbalance in the data set for development of model has been analyzed to have a bad effect on the predictive power of the model. It was found that building a single integrated model by grouping meteorological factors related to frost occurrence by region is more efficient than building each model reflecting high-importance meteorological factors. Based on our results, it is expected that a high-accuracy frost occurrence prediction model will be able to be constructed as further studies meteorological factors for frost prediction.

An analysis of regional photovoltaic using GIS in the Korean Peninsula (GIS를 이용한 한반도의 지역별 태양광 자원 분석)

  • Jeon, Sanghee;Choi, Youngjean;Jee, Joonbum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58.2-58.2
    • /
    • 2011
  • 국립기상연구소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11년)의 위성자료와 수치모델의 재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영역에 대해서 $4km{\times}4km$ 해상도의 태양-기상자원지도를 계산하였다. 이러한 태양-기상자원지도를 기반으로 GIS 분석도구를 이용하여 지역별 태양에너지의 분포와 지역별 태양광의 기후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의 행정구역을 구분하고 각 지역별 에너지분포 및 변화특성을 쉽게 분석하기 위하여 GIS 분석도구를 사용하였다. 평균 연누적 태양에너지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반도에서는 경상도가 가장 풍부한 태양광에너지를 받고 있었으며 특히 대구광역시(5047MJ), 부산광역시(5019.4MJ)가 높게 나타났다. 북한지역에서는 함경남도(4719.1MJ)가 가장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분포를 분석한 결과 대체로 연누적과 동일하게 남부지방의 경상도가 높은 태양광 에너지를 나타났다. 특히 7월 등의 여름철은 1월에 비해 절대적으로 에너지양이 많았다. 그러나 위도 38도를 중심으로 빈번한 장마전선을 동반한 구름의 이동으로 중부지방이 남부지방과 북부지방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2000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월별 시계열 변화를 분석해본 결과 한반도 전역에서 태양광의 증가추세가 나타났다. 특히 부산광역시는 10년간 3.75MJ이 증가하였으며, 서울특별시는 3.645MJ/decade, 함경북도는 3.499MJ/decade의 증가경향을 보였다. 월별 시계열 그래프를 보면 2003년 8월과 2005년 4월을 기준으로 3부분에서 다른 특성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각 구간별로 구름산출을 위하여 사용된 정지기상위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각 구간에서 사용된 위성은 GMS-5(2003년 8월 이전), GOES-9(2003년 8월~2005년 3월) 그리고 MTSAT-1R(2005년 4월이후)이다. 추후에는 태양광 자원이 풍부한 지역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태양광 에너지의 분포와 변화를 분석해보자 한다. 이러한 지역별 자원분석 자료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신재생에너지 개발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Assessment of Global Data Application on the South Korea (전지구 자료의 국내 적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 Son, Kyung-Hwan;Lee, Byung-Ju;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4-168
    • /
    • 2010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 엘니뇨 및 라니냐 등의 현상은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기상재해를 유발시키고 있으며, 피해규모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기후변화가 국지적이 아닌 전지구적인 형태로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한 수자원 영향 평가를 위해서는 인접 국가들과의 연계분석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일찍이 국내에서는 국가규모의 수문해석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나, 국외 지역의 지형특성 및 기상조건에 대한 자료 획득과 전구수문해석이 가능한 적정 수문모형활용의 어려움으로 그동안 등한시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규모의 유출해석에 필요한 전지구 자료를 구축하고 자료의 가용성을 판단하기위해 국내를 대상으로 유출해석을 수행하여 모의 결과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모의를 위해 전세계적으로 국가규모의 해석에 있어 적용성이 검증된 지표수문해석모형을 활용하였으며, 관측유량 대비 모의유량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일별 유출해석 시 정확도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간별(10일 및 월별 등) 분석 에서는 신뢰할 만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전지구 자료를 활용하여 국외 수문해석을 수행할 경우 사전에 자료 품질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며, 기간별 수문해석을 통해 모의 결과를 활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causes of heavy rainfall considering climate conditions and socio-economic factors (기후조건 및 사회·경제적 인자를 고려한 호우피해 원인 분석)

  • Kim, Dong Hyun;Oh, Seung Hyun;Kim, Jong Sung;Choi, Chang Hy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53-153
    • /
    • 2017
  • 최근 10년간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 피해는 심각한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어 호우피해액의 경우 3조3111억원의 손실을 입었다(국민안전처, 2015). 이를 대비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홍수피해에 취약한 지역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다양한 측면으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사례에서는 취약성 평가를 위한 인자를 구성함에 있어 연구자의 주관이나 선행연구 사례를 토대로 선정하였기 때문에 실제로 호우피해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다. 만약 호우피해에 대한 원인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직접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면, 향후 지역별 취약성 평가나 복원탄력성 평가 등에 관련한 연구에 있어 기존의 비해 더 확실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특성이 상이한 5개의 지역을 선정하여 호우피해가 발생되었던 사례를 토대로 기후조건과 사회?경제적 인자를 고려하여 직접적인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호우피해가 가장 빈번하게 일어난 5개의 지자체를 선정하여 재해기간에 따른 강우패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사한 강우패턴으로 호우피해가 발생하여도 그로 인한 피해액은 상이한 결과를 나타낸 사례가 있었다. 이는 지자체별 재해유형과 재산정도, 도시화율, 인구밀도 등의 지역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특성이 다른 5개의 지역에 대한 재해유형 등을 파악하여 호우피해에 대한 원인을 도출하였고, 그 결과를 통해 취약성 평가 등과 같은 다양한 분석의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향후 방재예산을 투자하는데 있어 확실한 판단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anging Trends of Climatic Variables of Agro-Climatic Zones of Rice in South Korea (벼 작물 농업기후지대의 연대별 기후요소 변화 특성)

  • Jung, Myung-Pyo;Shim, Kyo-Moon;Kim, Yongseok;Kim, Seok-Cheol;So, Kyu-Ho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5 no.1
    • /
    • pp.13-19
    • /
    • 2014
  • In the past, Korea agro-climatic zone except Jeju-do was classified into nineteen based on rice culture by using air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unshine duration etc. during rice growing periods. It has been used for selecting safety zone of rice cultivation and countermeasures to meteorological disasters. In this study, the climatic variables such as air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unshine duration of twenty agro-climatic zones including Jeju-do were compared decennially (1970's, 1980's, 1990's, and 2000's). The meteorological data were obtained in Meteorological Information Portal Service System-Disaster Prevention,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temperature of 1970s, 1980s, 1990s, and 2000s were $12.0{\pm}0.14^{\circ}C$, $11.9{\pm}0.13^{\circ}C$, $12.2{\pm}0.14^{\circ}C$, and $12.6{\pm}0.13^{\circ}C$, respectively. The precipitation of 1970s, 1980s, 1990s, and 2000s were $1,270.3{\pm}20.05mm$, $1,343.0{\pm}26.01mm$, $1,350.6{\pm}27.13mm$, and $1,416.8{\pm}24.87mm$, respectively. And the sunshine duration of 1970s, 1980s, 1990s, and 2000s were $421.7{\pm}18.37hours$, $2,352.4{\pm}15.01hours$, $2,196.3{\pm}12.32hours$, and $2,146.8{\pm}15.37hours$,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in Middle-Inland zone ($+1.2^{\circ}C$) and Eastern-Southern zone ($+1.1^{\circ}C$) remarkably increased. The temperature increased most in Taebak highly Cold zone ($+364mm$) and Taebak moderately Cold Zone ($+326mm$). The sunshine duration decreased most in Middle-Inland Zone (-995 hours). The temperature (F=2.708, df=3, p= 0.046) and precipitation (F=5.037, df=3, p=0.002) increased significantly among seasons while the sunshine duration decreased significantly(F=26.181, df=3, p<0.0001) among seasons. In further study, it will need to reclassify agro-climatic zone of rice and it will need to conduct studies on safe cropping season, growth and developing of rice, and cultivation management system etc. based on reclassified agro-climatic z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