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별 교육격차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munity Staged Education Program for the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High-risk Patients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을 위한 지역사회 단계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 Lee, Hye-Jin;Lee, Jung-Jeung;Hwang, Tae-Yoon;Kam, Si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7 no.3
    • /
    • pp.167-180
    • /
    • 2012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n education program for cardiocerebrovascular high-risk patients. Methods: This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yler's model for curriculum development.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we measured clinical outcome change (weight, waist circumferenc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behavior change stages (checking blood pressure, blood sugar levels, doing physical activity, consistent maintenance of food intake, eating low amounts of salt, abstention from tobacco and alcohol) before and 4 weeks after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program. The group of subjects consisted of High-risk group patients who attended basic program(32 patients), and staged program(37 patients) during KHyDDI meetings from Oct. 2009 to May 2010. Results: The staged educational program was developed three aspects(disease, nutrition and exercise)and three stages(basic, in-depth and individual education). In the staged education program, the evaluations were made by measuring clinical outcome and stage of behavior before and after educ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waist circumferenc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consistent maintenance of food intake(p<0.05), and eating low salt(p<0.001)and their self efficacy. Conclusion: In the practice-oriented staged education program,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linical outcomes and stage of behavior before and after education. Possible limitations of the study include the small number of participating subjects and the short follow-up management period, but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tinued application of this program could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for the elderly patients with long periods of chronic diseases.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Establishment of Marine Fisheries Safety Education Facilities (해양수산안전 교육시설 설립을 위한 입지평가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 Shin-Young Ha;Bo-Young Kim;Sung-Ho Par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30 no.4
    • /
    • pp.340-347
    • /
    • 2024
  • In this study, an expert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Delphi technique to select items and indicators for evaluation before installing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marine fisheries safety field, in which the educational infrastructure gap between regions is wide. Seven indicators were selected as geographic, social, and administrative factors. In order to objectively evaluate each indicator, evaluation indicators that could be evaluated using public data such as the "Comprehensiv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Information System" and "National Statistical Portal" were develope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was applied to select the weight for each indicator, resulting in 10 most important influencing factors on the selection of the location of educational facilities of the Marine Fisheries Safety Education Facilities: the distribution of marine officers, access to high-speed railways, the number of small ships less than 5 tons, access to highways interchange, the distribution of fishing boats, the close relationship of related industries, the planned new port, the distribution of commercial ports, the number of marine leisure riders, and the availability of long-term land leases in local government councils. The location evaluation index of marine and fishery safety education facilitie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evaluate each region using national public data, and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objective evaluation.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is evaluation index can be us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installing marine fisheries safety education facilities as well as other marine-related facilities.

An Analysis of the Result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Science at Grade 9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분석)

  • Kim, Hyun-Kyung;Jeong, Jin-Su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6 no.2
    • /
    • pp.394-407
    • /
    • 2012
  •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n a Grade 9 Science class. The study first found that the ratio of below basic achievement was 8.1 percent. This means that a large number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not reached basic scientific literacy. Second, the ratio of male students in the below basic level was 10.4 percent, which was double the ratio of female students at 5.5 percent.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chievement by gender, female students outperformed male students. In addition, the female students' standard deviation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male students, and their scaled scores were distributed nearer the average than that of the male students. Furthermore, analysis of achievement by content domains indicated that females outperformed in all content domains including motion and energy, materials, life, and earth sciences. Showing a similar tendency in the behavior domains, females outperformed males in all behavior domains except the understanding domain. Last, for achievement by living area, students living in the middle and small cities showed the highest scaled score, 196.81. Whereas the average scaled score of the students living in the big cities was 196.15; that of the students living in rural areas was 194.86. With respect to the standard deviation, big cities had the largest, 33.73. That of middle and small cities was 33.70, and of rural areas was 32.92. Although students in cities showed higher achievement in science compared to students in rural areas, they had a bigger gap in academic achievement.

  • PDF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Student Transfer in Southern Area of Gyeonggi Province (경기도 남부지역 학생이동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Hyung-Mi;Joo, Ky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7 no.6
    • /
    • pp.679-697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s to and from which middle school students transfer, especially centering around the school districts of Southern area in Gyeonggi Province such as Suwon, Osan, Yongin, and Hwaseo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suggestions regarding educational policies such as the positioning to appropriate school districts, improving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implementing of educational equity, by analyzing, based on the empirical data, the educational spaces of four cities showing rapid population growth due to recent suburbanization. The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variables such as schools for each district affecting the student transfer, housing development, and socioeconomics in the research object region are mainly analyz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there is shown a distinct spatial difference between school districts of the cty downtown and urban fringe, and between school districts of the conventional cities(cities that have been from the past: note of translator) and new land development regions. First, the school districts in the city downtown showed lots of transfers between neighboring school districts, while the school districts in the urban fringes showed transfer-out tendencies strongly. Second, it was the new land development regions where the transfer-in rate is the highest in the Southern area of Gyeonggi Province. Third, the said new land development regions required the supply of educational installations and educational support that can meet educational demands, since these regions have relatively lower qualitied educational environment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ities where the fluidity of students is lower. Fourth, in the summary of all of the said three results, the student transfer in the southern area of Gyeonggi Province was shown in the spaces centering around the multi-core area by reflecting the restructuring of suburban area.

  • PDF

Cervical Cancer Screening Factors in Women With Disabilities Using Big Data Analysis -Focused on National Cancer Screening Subjects-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여성 장애인의 자궁경부암 수검 요인 -국가암 검진 대상자 중심-)

  • Jong-bae Park;Young-bok Cho;Min-Hee Park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5 no.2
    • /
    • pp.495-502
    • /
    • 2023
  • Despite the fact that Korea has supported national cancer screening worldwide for a long time, the cancer screening screening rate is low compared to other health screenings and infant screening. In particular, women with disabilities show a lower screening rate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compared to women without disabilities. Therefore, from 2011 to 2019,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s in cervical cancer screening rat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women aged 30 and older, and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cervical cancer screening of women with disabilities at the individual and regional level through the cervical cancer screening rates among reg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regional variation by dividing into regions. From 2011~2019, the cervical cancer screening rat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the highest in Daejeon and the lowest in Sejong and Jeju, and the gap in cervical cancer screening rat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y region was analyzed to be up to 13.1%.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An Analysis of Impact of Urbanization on Income Inequality in Korea: Considering Serial Correlations, Spatial Dependence and Common Factor Effect (우리나라 소득불평등에 도시화가 미치는 영향 분석: 지니계수의 시차 자기상관, 공간의존성, 공통요인 효과를 고려하여)

  • So-youn Kim;Suyeol Ryu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3
    • /
    • pp.310-323
    • /
    • 2023
  • Urbanization and income distribution issues are global interest, and the results of studies on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income inequality are different for each country and period.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income inequality using regional data from 2000-2021. In particular, serial correlation, spatial dependence, and common factor effects of the Gini coefficient are confirmed and analyzed through a dynamic spatial panel regression model. As a result, urbaniz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income inequ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promote regional urbanization to improve the income distribution problem. Areas with already high urbanization rates should reduce income inequality by narrowing the wage gap by expanding training opportunities for low-skilled workers, and nee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prevent counter-urbanization.

Spatial Pattern and Cluster Analysi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ompetency of Korean Universities (대학 산학협력 역량의 공간적 패턴 및 군집분석)

  • HEO, Sun-Young;JANG, Hoo-Eun;LEE, Jo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5 no.2
    • /
    • pp.59-71
    • /
    • 2022
  • This study considered regional differences in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of Korean universities and performed cluster analysis to identify the spatial range with high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onnectivity. By university establishment type, it was found that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apacity of the major national university was superior overall, especially in the technology transfer & commercialization sector and the infrastructure sector, compared to private universities and general national universities. The spatial pattern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apacity showed relatively clear differences by city and province. In term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apacity by sector, it was confirmed that the regional gap was not large in the talent training sector and the infrastructure sector, but the regional gap was relatively large in the technology transfer & commercialization sector and the start-up sector.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to identify a spatial range with high connectivity in terms of similarity and spatial proximity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patterns, it is divided into 15 clusters. It is found that most of major national universities are included in one of 15 clusters where all sector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are strong. Therefore, as a policy measure to achieve regional innovative growth through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we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hub & spoke network-type collaboration system in which a major national university acts as a hub and nearby local universities play a spoke role.

A Qualitative Analytic Study on Job Skill Elements and its Training Demand of the Display Industry (디스플레이 산업의 직무기술요소에 대한 정성적 훈련수요 분석 연구)

  • Lee, Jae-Won;Yoon, Seock-Chu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3 no.1
    • /
    • pp.127-135
    • /
    • 2011
  • The past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demand for job skill training had mainly focused on personnel shortage and oversupply, so it has the problems of the qualitative discrepancies called skill mismatch. As a supplementary study relating to specific industries and occupations, a discussion to improve the job skills training programs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is needed. This study provide the analysis of urgency evaluation using the relative importance and gap of the job skill elements in the display industry. And renewal possibilities of the training program based on this qualitative bottom-up approach will be discussed. We carried out a job skill demand survey in the display industry as research methods. Industry related jobs and each job task, the qualitative demand for each job skills, and procurement methods for each job skills were analyzed. Adequate supply of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have tried to find ways by illustrating some related training courses.

  • PDF

News Big Data Analysis of 'Media Literacy' Using Topic Modeling Analysis (미디어 리터러시 뉴스 빅데이터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 Han, Songlee;Kim, Taej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4
    • /
    • pp.26-37
    • /
    • 2021
  • This study conducted a big data analysis on news to identify the agenda of media literacy, which has been socially discussed, and on which relevant policy directions will be proposed. To this end 1,336 articles from January 1, 2019 to September 30, 2020 were collected and a topic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four periods. Five topics for each period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implement a nation-level systematic approach to media literacy education according to life cycle stages to generate economic and cultural value. Second, local communities and schools should provide systematic support and education guidance activities to ensure a sustainable ecosystem for media literacy and prevent an educational gap and loss in learning. Third, efforts should be made in various aspects to minimize the side effects resulting from constantly providing media literacy education; furthermore a culture of desirable media appl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Finally, a research environment for scientific research on media literacy, active exchange of experience and value obtained in the field, and long-term accumulation of research results should be encouraged to develop a robust knowledge exchange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