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발전 파급효과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Analysis of Linkage by Industrial Ripple Effect among Regions (산업의 지역간 파급효과에 의한 연계성 분석)

  • Kim, Sung-Ro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3
    • /
    • pp.424-436
    • /
    • 2012
  • While local autonomy is settled, each local government plans and fulfills policy to foster local industry for local development so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industry location and economic foundation which is fitting to local conditions. Local development requires the development of local industry and it is necessary that this industry fits to the local conditions in order to be focused and developed.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s contain very useful data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local industry and interregional industry and also the analysis of linkage by industrial ripple effect among regions is needed. The study divided the country into 7 units and conducted factor analysis by using sum data of inducement coefficients in 78 parts of 2005's regional input-output tables, and as conclusion extracted 8 factors.

  • PDF

체계동태기법을 이용한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 전략 평가모형의 정립과 적용 - 담양군 대나무 신산업 육성전략의 파급효과 분석

  • Jeong, Hoe-Seong;Jeon, Dae-Uk;Kim, Byeo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6.04a
    • /
    • pp.79-100
    • /
    • 2006
  • 지역개발과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의 수립을 위해 지역의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통합한 지속가능발전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발전 전략의 모색과 관련정책의 파급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러한 통합모델의 개발과 적용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높은 환경질을 유지하고 대나무와 같은 생태자원을 육성함으로써 생태관광과 대나무신산업 등의 새로운 지역개발 정책을 수행하는 전라남도 담양군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 체계동태모형을 구축한다. 담양군 사례분석의 결과는 죽림육성 정책과 대나무신산업과 같은 지역특화산업에 대한 기술개발 및 각종 재원의 병행이 인구유입과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매우 효과적임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지역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시스템적 사고를 통해 지역개발에 있어서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살린 생태자원의 육성과 적절한 산업정책을 병행하는 생태발전 전략이 지역의 지속가능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Regional Economic Impact of Potential Utilization of Ligneous Biomass (목질계 바이오매스에너지의 지역별 잠재적 파급효과 추정)

  • Bae, Jeong-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217-220
    • /
    • 2006
  •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신재생에너지원에 비해 국내 잠재량이 가장 풍부한 에너지원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주요 공급원인 간벌목 부산물의 10%, 폐목재의 1/3 정도만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향후 관련법제도 개선 및 지원을 통해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경우 잠재적 기여도는 2005년 신재생에너지 공급량의 29.4%에 달하며, 신재생에너지의 일차에너지 소비대비 2.13%에서 2.76%로 증가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 16개 시도별로 잠재되어 있는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 가능량을 추정하고 이를 바이오열병합발전소의 주연료로 이용할 경우 지역별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경기, 서울, 전남, 경북, 강원, 충남 등에서 파급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지역별 파급효과를 합할 경우 부가가치 파급효과가 15,736억원, 고용효과가 2,630명으로 나타났다.

  • PDF

행중심복합도시 개발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 Im, Jae-Yeong;Sin, Dong-Ho
    • 열린충남
    • /
    • s.34
    • /
    • pp.110-113
    • /
    • 2006
  • 임재영.신동호 박사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발의 파급효과를 생산효과, 부가가치효과, 고용효과의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행정중심복합도시가 국가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핵심대안이라고 주장하였다. 발표논문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전재한다.

  • PDF

원자력발전소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분석 - 월성원자력발전소지역을 중심으로 -

  • 양광남
    • Nuclear industry
    • /
    • v.15 no.5 s.147
    • /
    • pp.59-66
    • /
    • 1995
  • 우리나라에서 원전관련시설이 어느 지역에 들어설 경우, 그 지역의 생산, 소득, 고용효과 및 산업구조의 변화 등 경제적 파급효과는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월성원전 지역과 미국의 필라델피아원전, 영국의 UKAEA원전, SSEB원전 지역 사례연구, 기타 여러 지역의 연구결과를 비교하였는데, 월성원전 지역이 상대적으로 지역발전에 큰 혜택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 PDF

An Analysis of the Regional Economic Impact of Korea Shipbuilding Industry by Use of the Regional Input-Output Model: Case in Jeonnam, Korea (지역산업연관분석을 통한 한국 조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 Chai, Jong-Hu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4 no.1
    • /
    • pp.33-53
    • /
    • 2010
  • This study has analysed riffle effect of shipbuilding business on regional economy in Jeonnam. For the analysis on connection to regional business, the most favored way to estimate economic effect of a certain industry in the nation and overseas, has been adopted. As a result of analysis, in case of 1,908,800 million won turnover in shipbuilding in Jeonnam, it would induce about 3,038,624 million won of production, about 940,656 million won of added value, about 13,361 employment and about 702,056 million won of income. Seeing production riffle effects of shipbuilding industry in Jeonnam on other businesses in the same area, it is found out to influence in order of on the primary industry metal products 458,784 million won, chemical products 128,250 million won, metal products 71,498 million won and on petrol and coal products 50,829 million won. Like this, shipbuilding industry is highly connected with metal and chemical industries, which make a cluster in eastern area of Jeonnam, suggesting that growth of shipbuilding industry in Jeonnam would maximize inter-industrial synergy effect in the region.

The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Factors of Korea MICE industry on the roles of Government & CB of KTO and ripple effects (한국의 MICE산업 발전요인이 중앙정부·전담기구의 역할 및 산업파급효과에 미치는 영향)

  • Ahn, Kyung-mo;Joo, Hyun-Sik;Kim, Joo-yeo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2 no.3
    • /
    • pp.269-291
    • /
    • 2008
  • MICE industry has been accepted as a growing and profitable tour market to improve profitability of vulnerable domestic tourism industry. To explore the influence of development factors of Korea MICE industry on authorities' role and ripple effects,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MICE experts. The development factor were suggested to include 'marketing' and 'human resources' and the ripple effects were presented into two factors of economic and national promotion. The results reveal that marketing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authorities' role. The results also show that authorities' rol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ripple effects of economic and promotional effects.

제주지역의 지식기반 문화산업의 효과 분석 및 육성방안에 관한 고찰

  • Kim, Min-Cheol;Kim, Tae-Jong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5a
    • /
    • pp.249-27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문화산업이 제주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파급효과를 보기 위하여 산업연관분석 기법 및 AHP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주문화산업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Porter의 가치사슬 (value chain) 모형을 토대로 지역발전전략으로서 지식기반 제주문화산업의 육성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산업에 대한 투자가 지역경제에 소득유발효과, 고용창출효과 및 타 산업으로의 전?후방 연계효과 등이 강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유발효과와 고용창출효과 등의 파급효과로 인한 제주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기식기반 문화산업을 육성하여야 할 것이다.

  • PDF

University and Regional Development : Reviews and Prospects (대학과 지역발전 : 연구동향과 전망)

  • 박영한;조영국;안영진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6 no.4
    • /
    • pp.418-433
    • /
    • 2001
  • The paper is to examine the university as an object for geographical research and to review its related studies. Although the hig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has much expanded its capacities since the 1980s, there are few studies that carry out geographical investigations on the themes including locational changes of universities, regional impacts of the university, and interactions between universities and regional development. Therefore, focusing on the university as an innovative element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in a coming knowledge-based society, this paper first tries to examine and conceptualize new roles and changing functions of the university in facilitating reg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t then reviews various studies of educational geography and research shifts on the role of the university in the context of the western developed countrie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 series of research themes that we should investigate in the future.

  • PDF

The Geography of Community Festivals as a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The Case of South Korea (지역발전전략으로 지역축제와 이벤트의 지리학: 한국을 사례로)

  • Lee, Jeong-Roc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2
    • /
    • pp.99-115
    • /
    • 2011
  • This study focuses on the economic effect on regional development and spatial distribution of community festivals and events as a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in South Korea. Community festivals are totally estimated to 893 cases in 2009, and most of festivals were newly established since 1995. Spatial Distribution of festivals show regional differences. Many of festivals was hold in Jeju, Gyeongnam, Ulsan, and Chungnam provinces, however, Gyeongbuk, Jeonnam, Gwangju, and Gyeonggi provinces were distributed less. The total number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selected as best festival by central government were increased from 10 in 1997 to 57 in 2009, and the everage local economic effects of one cultural tourism festival were also increased from14.2 billion won in 1997 to 33.3 billion won in 2008. In order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frstivals and local economic effect, Geumsan Insam Festival, Muju Firefly Festival, and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are selected as case study. These three festivals were successful in the tourist attraction, and it were also affected positively to local economic eff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