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모델

Search Result 5,21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Regional Stem Curve and Volume Function Model of Pinus densiflora in Kangwon-Province (강원도 지방 소나무의 지역(地域) 간곡선(幹曲線) 및 재적식(材積式) 모델)

  • Kim, Joon Soon;Lee, Woo Kyun;Byun, Woo Hy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3 no.4
    • /
    • pp.521-530
    • /
    • 1994
  • Voume functions, which are usually expressed by the function of dbh and height, are estimated commonly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highest statistical accuracy considered. In Korea, general volume functions for each tree species were prepared by means of th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exponential function ($V=aD^bH^c$) having the dbh(D) and height(H)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regional stem curve functions for the Pinus densiflora in Kangwon-province were derived and a regional volume function model, in which the stem volume can be directly estimated through the rotational integral of the regional stem curve functions, was prepared. The regional volume estimated by the prepared model was more accurate than the volume by the general volume table for the Pinus densiflora in Kangwon-province. Additionary, the form of stem curves derived by the regional stem curve functions showed difference from each other. The stem in Youngwol and Wonju taper down more fast in upper part than that in other regions. These various stem forms also led to the regional difference in volume estimates.

  • PDF

Detection of Vegetation Dieback Areas in the Subalpine Zone of Mt. Baekdu Using MODIS Time Series Data (MODIS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백두산 아고산대 식생 고사지역 탐지)

  • Kim, Nam-Si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7 no.6
    • /
    • pp.825-835
    • /
    • 2012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e technique and mapping for detecting distribution of vegetation dieback areas in the subalpine zone of Mt. Baekdu. A detection technique developed the rule-based model using MODIS images. Dieback areas could be classified as 4 categories of initial dieback, middle dieback, and end dieback by pruning stages of leaves. Dieback area was $28km^2$ from year 2001 to year 2006, intial dieback was $16km^2$, middle dieback was $10km^2$, and end dieback was $2km^2$ by the each stage. Dieback area was $35km^2$ from year 2006 to year 2011. Total area was $35km^2$ from year 2001 to year 2011, areas of middle dieback and end dieback were increased.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may help to support in application with preliminary detection of dieback areas in the mountains by the global warming.

  • PDF

Mass Balance Analysis of Air pollutants on Central Part of Korea by Acid Deposition Model (산성우모델에 의한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오염물질 수지분석)

  • 이종범;조창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405-406
    • /
    • 1999
  • 산성침착모델은 산성강우 및 광화학 오염물질 농도를 예측할 수 있어 대기질 개선을 위한 도구로서 연구, 개발되어 왔으며, 미국과 캐나나 간의 산성우 문제 해결을 위하여 개발된 RADM(Regional Acid Deposition Model : 지역규모 산성 침착모델)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에 적용을 위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이종범 등, 1999; 환경부, 1998).(중략)

  • PDF

월성원전 부지의 삼차원 미세 격자계 해륙풍 모델링

  • 이갑복;이명찬;송명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b
    • /
    • pp.457-462
    • /
    • 1997
  • 원전에서 정상가동시 또는 사고시 대기중으로 방출된 방사성 물질에 의한 주변환경 및 주민들의 영향을 보다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 월성원전을 대상으로 부지 주변지역의 해륙풍 등과 같은 국지순환을 세밀하게 모사할 수 있는 삼차원 미세 격자계 해륙풍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봄철 약한 북풍이 부는 밝은 날에 대해 월성원전 주변지역의 해륙풍 발달ㆍ소멸, 해풍의 내륙 진입거리 및 해륙풍의 연직구조 등을 모사하고, 모사 결과를 관측값과 비교하여 모델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Major Tree Species Classification Model using Different Satellite Images and Machine Learning in Gwangneung Area (이종센서 위성영상과 머신 러닝을 활용한 광릉지역 주요 수종 분류 모델 개발)

  • Lim, Joongbin;Kim, Kyoung-Min;Kim, Myung-Kil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5 no.6_2
    • /
    • pp.1037-1052
    • /
    • 2019
  • We had developed in preceding study a classification model for the Korean pine and Larch with an accuracy of 98 percent using Hyperion and Sentinel-2 satellite images, texture information, and geometric information as the first step for tree species mapping in the inaccessible North Korea. Considering a share of major tree species in North Korea, the classification model needs to be expanded as it has a large share of Oak(29.5%), Pine (12.7%), Fir (8.2%), and as well as Larch (17.5%) and Korean pine (5.8%). In order to classify 5 major tree species, national forest type map of South Korea was used to build 11,039 training and 2,330 validation data. Sentinel-2 data was used to derive spectral information, and PlanetScope data was used to generate texture information. Geometric information was built from SRTM DEM data. As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Random forest was used. As a result, the overall accuracy of classification was 80% with 0.80 kappa statistics. Based on the training data and the classification model constructed through this study, we will extend the application to Mt. Baekdu and North and South Goseong areas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ree species class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 Study on Stabile Operation of CES(Community Energy System) with Grid connection and isolation (CES(지역에너지시스템)의 안정적인 계통 연계 및 독립 운전 방법에 관한 연구)

  • Hong, Seong-Min;Kim, Kwa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476-478
    • /
    • 2008
  • 분산 전원의 기저 전원으로써 개발된 일체형 원자로(REX-10)를 지역에너지시스템에 도입하고 안정적인 운전을 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전압원형 인버터를 설계하고 일체형 원자로가 변동 없이 정출력을 하도록 지역에너지시스템의 전력 변동 상황을 모니터링하여 제어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PSCAD/EMTDC를 사용하였다.

  • PDF

A Study on Model of Radio Wave Propagation at Microcells (마이크로셀에서의 전극-전파 모델에 관한 연구)

  • Ra Yoo Cha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275-27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전파환경을 도시 계획법에서 지정한 지역세분을 기초로 4개의 대분류와 8개로 소구분하여 Kor-231 모델을 제안하였다. 전파전파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슬라이딩 코릴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대역확산 송${\cdot}$수신 방식으로 구현하여 수신전력, 평균 초과지연 그리고 RMS 지연확산을 가장 도시계획적으로 개발된 공업 지역과 주거지역에서 직선 도로에 마이크로셀을 배치하여 도로를 따라 진행하는 LOS와 건물들로 둘러쌓인 N-LOS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한국의 전파환경에서 잘 적용됨을 확인 하였다.

  • PDF

The Regional-Scale Weather Model Applications for Hydrological Prediction (수문학적 예측을 위한 지역규모 기상모델의 활용)

  • Jung, Yong;Baek, Jong-Ji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36-940
    • /
    • 2012
  • 충분한 선행시간을 확보한 강우의 정확한 예측은 홍수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필요한 조건이다. 이를 위해 지역규모의 기상모델인 Advanced Research WRF (ARW)를 적용하여 지역에 맞는 강우 예측에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갖는 물리학적 요소들의 최적화된 조건을 찾아보려 한다. 이를 위해 2006년의 7월의 강우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생극과 분천의 강우 관측치 와의 비교를 통해 (Root Mean Square Error와 Index of Agreement 활용), ARW의 수문학적 예측을 위한 적용 가능성을 보려 한다.

  • PDF

Design of Community Service Program Model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봉사 프로그램 모델 설계)

  • Kim, j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73-474
    • /
    • 2019
  • 4차 산업혁명시대는 인간의 사고와 컴퓨터의 능력을 통합한 컴퓨팅 사고력을 요구한다. 세계는 소프트웨어교육을 통해 그 요구를 채우기 시작했고, 한국은 10년 늦은 2018년부터 그 대열에 참여하였다. 세계 최고의 IT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서 효과적인 전략수립이 이루어지면 경쟁해 볼 만하다. 대학생 지역사회봉사는 체계적이며 전문적인 활동이 가능한 인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공연계를 통한 대학생 지역사회봉사 프로그램 모델을 설계하여 차세대의 컴퓨팅사고 향상을 돕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Qualities at the Ulsan Metropolitan City (울산도시지역의 지하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 김병우;정상용;조병욱;윤욱;성익환;심병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482-486
    • /
    • 2004
  • 울산지역 수질특성에 관하여 연구하기 위해 228개 지점에서 수질성분 25개 항목을 분석하였다. 그 성분중 지하수 음용수 9개 수질성분(pH, EC, TDS, Cl, Mn, NO$_3$, SO$_4$, F, Fe)에 관해 수질분포특성 및 오염도를 나타내기 위해 모수적 통계기법인 정규크리깅과 비모수적 통계기법인 지시크리깅 기법을 적용하였다. OK와 IK의 성분별 베리오그램 분석한 결과 OK의 경우 모든 수질성분은 구상형모델(Spherical model)로 선정되었으며, IK의 경우 pH, TDS, SO$_4$, Cl, Mn, F, Fe 성분은 구상형모델로, EC는 지수형모델로, NO$_3$는 선형모델로 선정되었다. 그 결과 정규크리깅의 경우 연구지역의 수질특성을 정량적 분포특성이 잘 나타났다. 특히 태화강, 인접한 남구일원과 중구일원, 북구의 북서 일원 그리고 동구의 방어동일원에서 수질성분 9개 성분들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특히 EC, TDS 그리고 Cl$^{-}$ NO$_3$ 성분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지시크리깅의 경우 정규크리깅과 비교하여 이상치가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계학적인 오류를 보완하여 분석한 결과 울산지역 9개 성분 오염도는 EC>TDS>NO$_3$>pH>Fe>Mn>Cl>SO$_4$>F 순으로 오염특성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