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단위

검색결과 2,664건 처리시간 0.031초

A study on the Adequacy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Planning Region in the Spatial Policy of Underdevelopment Regions (낙후지역개발사업의 공간단위 설정에 관한 연구)

  • 이정섭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대한지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3-63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낙후지역개발사업들에 있어 개발계획지역에 대한 공간단위 설정의 적합성과 계획공간단위와 실제 공간간의 불일치에 대한 연구이다. 지역개발에 있어 그 대상이 되는 지역은 개발의 목표 달성을 위해 그에 상응하는 적합한 공간단위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현행의 여러 낙후지역개발사업들은 개발계획지역 공간단위 설정이 법률, 정책, 제도, 주체별로 다양한 범위와 편차를 보이고 있고, 그 적합성과 효율성에 대한 논의들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중략)

  • PDF

Internal Migration and Changes in the Gun's Population Structure in Korea (인구이동과 지역단위별 농촌인구분포의 변화)

  • Kim, Nam-Il;Choi, Soo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제21권1호
    • /
    • pp.42-79
    • /
    • 1998
  • There was a rapid population change accompanied with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recently in Korea. The changes were nationwide though greater in rural, where the population decreased steeply, through the internal migration from rural to urban. There, in the structure of Gun's population, severely distorted features have been shown in the study. Also, the structure differ greatly by Gun. It indicated that the rural problems were much more serious than anticipated when analyzed generally. It tells us that we should consider the problems related with different population structure in developing the programs for the rural.

  • PDF

Do Economic Variables Affect fertility\ulcorner A Critical Review on the Income Theory and Relative Economic Theory (출산력변동에 미치는 경제적변인에 관한 고찰)

  • Kuk, Minho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제11권1호
    • /
    • pp.131-145
    • /
    • 1988
  • There was a rapid population change accompanied with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recently in Korea. The changes were nationwide though greater in rural, where the population decreased steeply, through the internal migration from rural to urban. There, in the structure of Gun's population, severely distorted features have been shown in the study. Also, the structure differ greatly by Gun. It indicated that the rural problems were much more serious than anticipated when analyzed generally. It tells us that we should consider the problems related with different population structure in developing the programs for the rural.

  • PDF

Regional Transformation in 'Myeon' Administrative District adjacent to Urban Area (도시주변 면단위 행정구역의 지역 변화 -전라북도 조촌면을 사례로-)

  • Cho, Su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제12권1호
    • /
    • pp.59-71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regional transformation in the lowest level administration district(Myeon). The major factor of regional transformation is the change of geographical range, identity of place name, the formation and change of regional center. Jo-Chon Myeon as a sample study region is located in near Jeon-Ju city. The large and dynamic city in neighbor is strong influenced to the change of geographical range. But the place name has Identity in spite of the regional change. The formation of new regional center is influenced by new road, rail road and station, japanese large farm, administration office in this district.

  • PDF

Dissemination Effectiveness Analysis of BMP for Paddy field spreading over wide area (논 지역 광역단위 BMP 보급 효과 분석)

  • Shin, Jae Young;Lee, Su In;Jang, Jung Ryeol;Ju, So Hee;Choi, Joo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565-565
    • /
    • 2016
  • 농림부는 농업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해 다양한 최적관리기법(BMP)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여 효과를 검증하였으나 이를 광역 단위로 보급하여 실제 영농지역에서 BMP의 효과를 측정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논 지역을 대상으로 물관리기술(물꼬)과 시비관리기술(완효성 비료) BMP를 보급하고 광역 단위로 BMP의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구는 새만금 지역에 위치한 전라북도 부안군 용계리 일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벼농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을 선정하였다. 논에 보급된 BMP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BMP 참여 농가를 선정하여 물꼬와 완효성 비료를 보급하였으며, 용수로와 배출구 3지점을 선정하여 관개량을 측정하고 유출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관개수와 대조구, 처리구별(대조구, 물꼬, 완효성, 물꼬+완효성) 수질을 분석하여 배출구 별로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을 산정하고 이를 통해 대조구 대비 처리구의 저감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조구 대비 처리구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의 저감율은 SS 63.6%, BOD 45.5%, $COD_{Mn}$ 26.5%, $COD_{Cr}$ 40.1%, T-N 16.0%, T-P 12.9%, TOC 11.4%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지구를 SO#1(완효성 비료 95%, 비참여 농가 5%), SO#2(완효성 비료 2%, 물꼬 8%, 완효성 비료+물꼬 40%, 비참여 농가 40%), SO#M(완효성 비료 96%, 비참여 농가 4%) 3개의 배출구로 구분하여 BMP 보급 효과를 측정한 결과, 대조구 대비 SO#1에서는 수질항목별로 10.6 ~ 85.5%, SO#2는 8.1 ~ 45.9%, SO#M은 10.7 ~ 86.2%의 범위로 저감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SS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 저감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는 7월부터 10월까지 측정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정하였기 때문에 써레질, 이앙기간에 발생한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량은 포함되지 않은 결과이며, 각 배수구역별 유입량의 경우 정확한 측정에 어려움이 있어 전체 관개량 대비 관개 면적을 이용하여 단위면적당 유입량을 산정하였기 때문에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Method of Detailed Urban Land Use Classification Using a Statistical Unit (통계단위를 활용한 도시지역 상세 토지이용 분류기법)

  • Min, Sook-Joo;Kim, Kye-Hyu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3-106
    • /
    • 2004
  • 토지이용정보는 토지이용계획, 도시계획, 환경관리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구가 밀집된 도시지역에서 환경문제를 고려한 정책 수립을 위하여 상세한 토지이용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작은 공간단위로 토지이용을 구분하기 위하여 통계단위자료와 기 제작된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도시지역의 토지이용 분류기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분류기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시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실험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 산림지역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향후 산림지역에 대한 토지이용정보 취득 방법을 보완할 경우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도시지역 토지이용정보 취득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통계단위와 토지이용정보 구분단위가 일치하므로 다양한 통계집계자료와 함께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지방세 비과세·감면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18개 시군을 중심으로

  • Jeong, Seong-Ho
    •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 /
    • 제48권3호
    • /
    • pp.437-461
    • /
    • 2014
  • 최근 재정건전성에 관한 논의가 확산되면서 비과세·감면제도는 유용성 관점에서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경기부양 등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차원에서 비과세·감면제도를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과세·감면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분석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이를 위해 강원도 18개 시·군을 대상으로 지방세 비과세·감면이 지역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관해 패널분석(PCSE)을 수행하였다. 패널분석 결과, 비과세·감면, 비과세, 감면 등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시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비과세·감면 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정(+)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면 군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변수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비과세·감면정책이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것이라는 정부의 주장은 다소 설득력이 낮다. 시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감면총액과 감면(조세특례제한법, 감면조례)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지방세법 상 감면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편 군의 경우 지방세법 상감면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감면조례에 근거한 감면규모가 증가될수록 지역경제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분석결과에 근거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정부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과세·감면을 시행하면서 지방세수확충을 위해 또 다른 재정보전을 하고 있으나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그리 크지 않고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비과세·감면의 규모를 줄이고 세수 확충을 통한 재정지출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시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지방세법상 감면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고, 군 단위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감면조례에 근거한 감면제도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Assessment of Regional Nitrogen Loading of Animal Manure by Manure Units in Cheorwon-gun (분뇨단위 설정에 의한 철원군 지역의 가축분뇨 질소부하 평가)

  • Ryoo, Jong-Won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45-56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ive basic information of the animal manure management by manure units determination for recycling farming in Cheorwon-gun. Manure units (MU) are used in the permitting, registration, and the environmental process because they allow equal standards for all animals based on manure nutrient production. An MU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animals by manure unit factor for the specific type of animal. The manure unit factor for MU determination was determined by dividing amounts of manure N produced 80 kg N/year. Conversion to manure units is a procedure used to determine nutrient pollution equivalents among the different animal types. In this study, the manure unit factor based on nitrogen in Hanwoo, dairy cow, pig were 0.36, 0.8 0.105, respectively. The analysis of manure unit per ha shows that the N loading by MU is quite different by region. The nitrogen loading of manure unit (MU) per ha of cultivated land was the highest in the Galmal-eup on province with 2.4 MU/ha, which is higher than the appropriate level. The Seo-myeon province came next with 1.92 MU/ha. To be utilized as a valid program to build the recycling farming system, diverse measures shall be mapped out to properly determine manure units, evaluate N-loading and to properly manage their nutrient balance of each region.

A Study of Korean Geographic Area Classification Systems (한국 지리구분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곽철완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35권2호
    • /
    • pp.135-154
    • /
    • 2004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the geographical categories and arrangement of library classifications and public organizations in ender to understand the geographical category comprehension and canon from the north-west to south-east in Korean library classification and then to develop a Korean geographical classification system Research method was the examination of different type of library classification (DDC, NDC, LCC) and geographical categorizations of the public organiza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not a principle of categorization and arrangement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This study proposes to the three hierarchical structures and radial category arrangement from center-area to side area for developing Km geographical classification.

  • PDF

A Study on User-oriented Evaluation of Book Collections under a Regional Library System (지역단위 도서관 시스템에서의 이용중심적 장서평가 연구)

  • Park, Young-Ae;Lee, Jae-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제44권4호
    • /
    • pp.457-477
    • /
    • 2010
  • Currently, collections with public libraries are evaluated only on the basis of simple data, such as the use volume of collections with individual libraries, and interlibrary lending (ILL) results. To promote the ILL of regional libraries and raise the use of collections, however, the evaluation of collections should be expanded from individual libraries to regional libraries. This study aims to propose user-oriented methods for evaluating the library collections within a regional library system by using four kinds of data: collection, acquisition, circulation, and ILL application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reveal the positions of each library within a regional library system,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of a library's collections and users' needs more precis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