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고용

Search Result 68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gional Disparity and Competitiveness on Employment in Korea (지역 간 고용격차와 고용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Hong-Chul;Lee, Joo-Hy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5
    • /
    • pp.2207-2214
    • /
    • 2013
  •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regional disparity of employment and to analyse the regional current states and characteristics using the evaluation criteria for employment competitiveness. Firstly, it has revealed that the regional disparity of employment is deepening and disparity from the quality side and stability side are more serious. Secondly, the strongest regional employment competitiveness was found to be Chungnam, followed by Seoul, Ulsan, Gyeongbuk, Daejeon and the region of employment risky is Busan. Lastly, it has analysed that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on employment competitiveness are criteria of stability sector. Therefore, we should make efforts to create jobs of good quality and stable, in order to reduce regional disparity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employment. And especially region of employment risky must require continuous monitoring.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gional Disparity and Competitiveness on Youth Employment (청년층 고용의 지역격차 및 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Hong-Chul;Lee, Joo-Hy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7
    • /
    • pp.3253-3262
    • /
    • 2013
  •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regional disparity of the youth employment and to regional current states and characteristics via evaluation criteria for employment competitiveness. Summaries of the major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ly, it has revealed that the regional disparity of youth employment is deepening. Secondly, after the analysis of employment competitiveness, the strongest regional employment competitiveness was found to be Seoul(0.622), followed by Chungnam(0.592), Ulsan(0.528), Gyeongbuk(0.514), Gyeonggi(0.507) and the region of employment risky is Jeonbuk. Lastly,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on the competitiveness of youth employment are supply factors and demand factors. Therefore, we must create new jobs of good quality, in order to reduce regional disparity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youth employment. Also region of employment risky should require continuous monitoring. And the government should determine priorities of employment policies that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is to say, the government sh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strategy of choice and focus.

Decomposition of Employment Growth in Korean Metropolitan Labor Markets: An Application of a Four-way Multifactor Partitioning (국내 7대 특·광역시 노동시장의 고용성장 요인분해 - 네 변인 다요인분해분석의 적용 -)

  • Jihan Park;Donghyn Kim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9 no.4
    • /
    • pp.53-71
    • /
    • 2023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tribution of factors to employment growth over the past 20 years (1996-2016) for seven metropolitan areas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performed a multifactor partitioning (MFP) analysis based on the business survey data provided by Statistics Korea. The key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ver the long run, the region effect is dominant in metropolitan employment growth, followed by the industry mix effect. On the other hand, the dynamic MFP findings suggests that future regional employment disparities are likely to be explained by industry structure. Second, the gender mix and decent job mix effect do not significantly contribute to regional employment growth. However, the contributions of individual factors are not invalid, and it is possible to infer a pattern of declining employment for men-permanent workers and increasing employment for women-contingent workers.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employment policies that can promote structural transition in regional industries and qualitative growth accompanied by employment stability.

Status in Employment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Analysis Demand Factors : Evidence from Gangwon, South Korea (강원도 농업부문 고용인력 실태 및 수요 결정요인 분석)

  • Yi, Hyangmi;Goh, Jong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24 no.1
    • /
    • pp.47-60
    • /
    • 2018
  • 계획적이고 안정적인 영농을 위해 영농작업 인력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농가인구의 감소로 인한 농업인력 확보의 어려움과 농업노동 임금의 지속적인 증가는 경영주에게 이중의 고통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가처분가능소득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강원도를 지역 표집으로 선정하여 Bivariate Probit 모형을 이용해 내국인과 외국인 고용의 상호 관계를 고려한 고용인력 수요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3개월 이상 노동력을 고용하는 농가들의 경우 내국인 고용수요와 외국인 고용수요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형적인 도시근교 농업의 특징을 나타내는 춘천시에 비해 강원도내 타 지역 농가들은 다른 변수들이 일정할 경우 내국인과 외국인의 고용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젊은 경영주일수록 내국인 상시 고용에 대한 수요가 높고, 농가조직에 참여하고 있는 농가일수록 자가노동 확률은 0.13% 감소하고, 상시 농업 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한 농업 노동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상시고용된 농업인력들을 대상으로 국내외 문화 차이를 인지하고, 내국인 노동자와 외국인 노동자간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영농교육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각 지역별로 내국인 또는 외국인 노동자의 상시고용 수요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강원도내 지역별 농산업 현황을 기반으로 "(가칭)강원도 농업 인력 수급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청년창업농과 농가조직 참여 농가들을 대상으로 농작업 상시고용 인력을 우선적으로 매칭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Multivariate Granger Causality between Regional R&D Investment and Regional Economic Variables (지역R&D투자와 지역경제지표 간 인과관계 분석)

  • Park, Chang-dae;Ahn, Seung-ku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89-200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지역R&D투자와 지역경제지표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패널VECM을 사용하여 1995~2014년 국내 17개 시 도별 정부 및 민간R&D투자, 고정자본과 고용, 지역내총생산의 상호 간 장 단기 인과관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단기적으로 GRDP의 원인변수는 고정자본, 고용, 그리고 민간R&D투자로 나타났다. 고정자본의 원인변수는 고용, 민간R&D투자로 나타났으며, 고용의 원인변수로는 GRDP와 고정자본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으로 고용, 고정자본, 정부R&D투자가 다른 변수들의 장기균형관계로부터 각각 인과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목적과 대상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역R&D투자의 직 간접적 효과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추가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 PDF

Shipbuilding Industry's Employment Linkage Effects across Regions and Industries using the Hypothetical Extraction Method (가상추출법을 이용한 조선업의 지역·산업간 고용연관효과)

  • Byeon, Jang-Seop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2 no.3
    • /
    • pp.123-137
    • /
    • 2016
  • In order to address the crisis of the regional employment structure caused by the recent restructuring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this study estimates the shipbuilding industry's Employment Linkage Effect(ELE) across regions and industries. Consequently, the study uses the hypothetical extraction method on the shipbuilding industry from the 2013 Regional Input-output Tabl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hipbuilding industry's ELE across industries is estimated at its highest in wholesale and retail, followed by shipment, other manufacturing, project supporting service, machine and equipment manufacturing, and metal product manufacturing. These industries either have a high employment to GDP ratio or are directly related to the shipbuilding industry in terms of production activities. Second, the Southeastern Korea's ELE on South Jeolla Province is very low, and, accordingly, South Jeolla Province is isolated in the employment structure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Therefore, when the government establishes measures to tackle the crisis of employment caused by the shipbuilding industry's restructuring, it should prioritize identifying such regional employment structures, as demonstrated above, and incorporate them into the regional industry policy.

Estimating the Impact of Automation and Globalization on Manufacturing Employment using Regional Labor Market Analysis (지역별 제조업 고용변화에 대한 자동화와 세계화의 영향)

  • Cho, Sungchul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3
    • /
    • pp.274-290
    • /
    • 2019
  • This article links the change in regional manufacturing employment in Korea after the financial crisis to the geography of technological and trade shocks. We conceptualize the trade shock as the rapid growth in Korean imports from and exports to China and ASEAN countries. We then measure the exposure to technological shocks as the degree to which regions are specialized in routine tasks, which are susceptible to automation technologies. Results show that local labor markets specialized in routine tasks experience significant falls in manufacturing employment. Regions whose industrial structure exposes them to rising import competition experience sharp drop in manufacturing employment. We also found that export plays a major role in explaining the growth of regional manufacturing employment.

생산의 해외전개와 산업 재구조화: 창원 지역의 사례

  • Sim, Sang-Wan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14 no.2
    • /
    • pp.443-481
    • /
    • 2008
  • 이 글은 한국의 대표적인 기계산업 집적지인 창원 지역에서 최근 급증하고 있는 제조업 해외직접투자의 유형과 그것이 지역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있다. 분석은 생산의 해외전개가 지역 고용에 '어떠한' 영향을 '어떻게' 미치는지 그 기제와 문제점을 조명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창원의 해외직접투자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이 투자 주체가 되어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지역을 대상으로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해외직접투자는 지역제조업체들을 글로벌 생산네트워크로 편입하고 사회적 분업체제를 개편하고 있다. 해외투자의 급증으로 지역내 투자는 부진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출과 고용이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고, 지역수준에서 제조업 공동화가 발생했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저임활용을 겨냥한 생산의 해외전개 추세가 지속된다면 업종별 공동화의 우려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있다. 생산의 해외전개는 원하청기업간 관계에서 기술력이 부족한 중소하청업체들에 대하여 단가 인하의 압력을 가중시키고, 노동자들에게는 고용불안, 임금 등 근로조건을 저하시키는 방향으로 사회적 분업의 개편을 가져온다.

The Effects of Industrial Specialization on the Volatility of Regional Economies in Korea: the Case of Manufacturing (산업특화가 지역경제의 변동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제조업을 대상으로)

  • Jeong, Jun-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4
    • /
    • pp.494-506
    • /
    • 2009
  • This paper tests whether or not manufacturing specialization, employment growth, establishment size, employment size, industrial mix in manufacturing, regional difference between the Capital region and the others and so on are empirically related to manufacturing employment volatility levels across 203 municipalities called shi-gun-gu during the period 1990~2006. Using the spatial econometric analysis of cross sectional data, the municipalities tending to be more volatile are more specialized; they have higher-than-average employment growth rates, smaller establishment and employment sizes, regardless of any industrial mix in manufacturing; and they tend to be located in the Capital region. Unlike existing foreign literature based upon the spatial econometric analysis of cross sectional data, this paper finds that volatility of growth in a municipality is negatively rather than positively influenced by volatility of growth in its neighboring municipalities.

  • PDF

Safety Leader - 권혁태 고용노동부 서울지방고용노동청 청장

  • Kim, Hyo-Seon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93
    • /
    • pp.22-23
    • /
    • 2014
  • 고용노동부 서울지방고용노동청(청장 권혁태, 이하 서울청)은 우리나라의 수도이자 정치 행정 경제 문화 교통의 중심지인 서울의 안전을 뒷받침하고 있는 곳이다. 서울지역 전체를 비롯해 직접 관할하고 있는 종로구, 중구, 서초구, 동대문구 등을 포함해 다양한 산재 예방 사업과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서울에는 각종 공공기관, 대기업 본사 등을 비롯해 다양한 시설이 밀집돼 있는 것은 물론 수많은 근로자들이 일을 하고 있다. 따라서 서울에서 대형사고가 일어날 경우 상당한 여파가 발생하게 된다. 때문에 이 지역 산업안전을 책임지는 서울청의 어깨가 더욱 무거울 수밖에 없다. 특히 지난해 유난히 서울지역 건설현장에서 대형 산업재해가 많이 발생한 것과 관련, 서울청은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현장에 자율안전관리체제를 정착시키는 한편 예방대책 위주의 지도 감독을 전개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본지는 서울지역 안전을 총괄 지휘하고 있는 권혁태 서울지방고용노동청장을 만나 올해 산업안전정책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