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개발격차

Search Result 14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Long-run Relationship between R&D Expenditures and Economic Growth (공적분 관계를 고려한 연구개발과 경제성장의 상호관계 연구)

  • Han, Woongyong;Jeon, Yongil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20 no.1
    • /
    • pp.147-165
    • /
    • 2016
  • We empirically examine the validity of second generation endogenous growth theory suing 21 OECD countries' panel data(1981~2011). Due to non-stationarity in all variables, we test the cointegrated relationships strongly supporting the semi-endogenous growth model. In the estimation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function, the growth of domestic and foreign R&D investment level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R&D intensity, however, has significant impacts on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only in a few models, and international technology gap also has positive impacts on GDP growth. Thus the semi-endogenous growth model is relatively supported while fully endogenous growth model is weakly and occasionally supported in OECD countries. The policy implication of supporting the semi-endogenous growth model is that the sustaining growth requires increasing R&D expenditures.

강북 개발 어떻게 할 것인가

  • Cha, Hyeok-Bong
    • 주택과사람들
    • /
    • s.195
    • /
    • pp.38-39
    • /
    • 2006
  • 최근 서울 강북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강남에 비해 낙후한 도시 환경으로 차츰 강남과 격차가 벌어지자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서울시가 팔을 걷어붙인 것이다. 하지만 강북은 역사가 오래되어 기존 이익관계가 복잡해 개발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해외의 사례를 통해 그 해법을 찾아본다.

  • PDF

Regional Development in Economic Restructuring toward the Information Society: The Case of Korea (정보화사회로의 경제재구조화과정에 따른 지역발전 - 한국을 사례로 하여 -)

  • Lee, Hee Ye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29 no.4
    • /
    • pp.377-401
    • /
    • 1994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national economic restructuring on regional development patterns. Korea's development over the last decade has been characterized by a rapid economic restructuring towards the information economy. This economic restructuring has had significant impacts on regional development patterns. The most remarkable feature is a clear coreperiphery disparity in terms of levels of informatization. Seoul showed an extraordinarily high level of informatization. The process of regional development in the information era is marked by an intensified spatial division of labor, which articulates with the pre-existing pattern of regional disparity. Information infrastructrue improvements for regional development do not necessarily result in reductions in regional unevenness.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the integrated regional informatization strategy.

  • PD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Project to Reduce Health Disparity: Focusing on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사례보고> 건강격차 해결을 위한 주민참여형 보건사업: 주민자치회 중심 전략개발)

  • Nam-Soo Hong;Keon-Yeop Kim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48 no.3
    • /
    • pp.165-177
    • /
    • 2023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rategies aimed at reducing disparity of physical activity in urban communit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urban vulnerable area,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community health organization through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Training programs were provided to the members of the council to enhance their capabilities. The research project was planned and implemented using a living lab approach. Based on these activities, the health division of residents autonomy council was newly established. Results: The findings demonstrated the potential and feasibility of utilizing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as a community-led health organization. A health project model centered on the health division of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was developed. Conclusions: This study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omote health projects to reduce the health disparity through the resident-led participation strategy on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in the community.

Current status of digital information gap for women with disabilities from a gender-conscious perspective and ways to support informatization education based on empowerment (성인지적 관점의 지역사회 여성장애인 디지털정보격차 현황과 역량강화기반 정보화교육 지원 방안)

  • Choi, Sun-k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5
    • /
    • pp.655-661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community-centered informatization education support measures for empowerment of wom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gender perspective.First, the 'Digital Information Gap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used the 2018 'Digital Information Gap Survey'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digital information gap between male and female handicapped people. The law on information education support for women with disabilities is presented.Lastly,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informatization education support available to women with disabilities, centered on local communities, such as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women's disability support center, visiting education considering disability types, developing and supporting customized informatization education considering learning ability, and discovering community resources related to informatiz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plan to support informatization education for wom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capacity building.

China's Western Region Development and IT Policy (중국의 서부대개발과 IT 정책)

  • Chun, H.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8 no.6 s.84
    • /
    • pp.85-92
    • /
    • 2003
  • 중국은 경제개방 이후 남부 및 동부 연해를 중심으로 고도성장을 이룩하였으나 서부지역은 개발이 지체되어 지역격차가 심화되었다. 중국정부는 균형발전과 내수진작 및 소수민족 거주지역의 정치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서부대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4대프로젝트(천연가스 연결, 수력발전소 건설, 양자강수로 황하연결, 환경보호 위한 식목사업) 외의 정보통신부문은 IT 기술 확대적용, 정보화 촉진, 광대역 네트워크 구축, 무한의 광통신밸리, 사천성의 서부실리콘밸리, 서안의 중국판 실리콘밸리 구축 등이 있고, 시장확대와 신규수요 창출로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패러다임전환기의 지역발전전략

  • Park, Sang-Cheol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3
    • /
    • pp.1-21
    • /
    • 1999
  • 국내의 지역간 격차에 주목하는 과거의 지역발전전략은 더 이상 유효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왜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새로운 전략 컨셉트는 무엇인가? 어떤 전략대안이 개발될 수 있으며, 그것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이것이 본 연구가 제기하는 기본적 질문이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핵심은 인간의 내적 지식만이 우리의 미래상을 제시하고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발전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지역발전의 방향은 바뀌게 되어 있다. 세계적 네트워크시스템 하에서 한 지역의 의미는 집합체적 학습과 혁신이 가속화될 수 있는 공간이라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그래야 차별화에 의한 동태적 경쟁우위를 확보하면서 성장과 발전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 지역발전 전략 컨셉트의 변화는 새로운 전략대안의 개발을 강요하고 있으며, 지역특화산업집락(RC)의 개발과 육성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입체다이아몬드모형" 을 개발하여 각 지역의 RC개발전략 수집과 실천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Water Policy Indicators : Water Use Indicators (이수분야 수자원 정책지표의 개발)

  • Choi, Dong-Jin;Park, Doo-Ho;Park, Seong-Je;Lee, Joo-Hyeon;Lee, Hy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71-375
    • /
    • 2009
  • 국내에서는 수자원 관리 지표에 관한 연구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표를 통하여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까지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이수분야 수자원 정책을 종합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국가단위, 유역단위, 지역단위에서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수 분야의 핵심지표를 선정하기 위해서 이수분야의 정책목표를 기준으로 4가지로 구분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이수분야의 4가지 영역은 안정성, 효율성, 형평성과 지속가능성으로 구분하였다. 안정성은 강수, 기후변화, 인구, 경제, 사회 등 장래 환경이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물 부족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확보되는 것을 말한다. 효율성은 물의 사용량과 누수율을 줄이고, 생산성과 재이용률을 제고하며, 물관리의 건전한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서 비용회수체계를 개선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형평성은 도시와 농촌, 지역간 물이용의 격차, 요금의 격차, 지역간 물자급률의 격차 등을 개선하여 사회적 약자나 소외계층의 물이용 능력을 높이는 것을 주요한 내용으로 한다. 지속가능성은 하천환경의 기능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자원을 이용하고, 환경 개선, 생태계 보존, 친수활동 등에 대한 물수요에 대응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이수분야의 지표는 가뭄시 물부족량, 물부족 지역 비율, 국가 물자급률, 하천취수율, 환경용량 확보율, 물이용 공평성, 물재정 건전성 등 7개였다. 각 지표별로 지표의 정의와 산정방법 등을 제시하고, 지표를 통하여 이수분야의 수자원 정책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먼저, 국가간 비교를 하였고, 다음으로 국내의 유역간 비교, 지역간 비교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 우리나라의 국가 물자급률과 취수율이 보통수준 이하로 매우 취약하고, 물이용의 공평성과 물관리 재정 건전성은 보통보다는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평가 결과를 통해서 중장기 수자원 관리 정책의 목표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 분야별 정책 추진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사회간접자본투자(社會間接資本投資)(1970~85)가 지역성장(地域成長)에 미친 효과(效果)

  • Kim, Jong-Gi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9 no.3
    • /
    • pp.3-25
    • /
    • 1987
  • 본고(本稿)에서는 1970년 이후 한국(韓國)의 사회간접자본투자정책(社會間接資本投資政策)이 지역간 균형발전(均衡發展)에서 담당한 역할과 그 투자현황(投資現況)을 분석하였다. 이론적 분석에 의하면 사회간접자본투자(社會間接資本投資)는 지역발전의 주요정책수단이 되고 있다. 그러나 1970~85년의 기간에 도로(道路), 통신(通信) 등 주요 사회간접자본(社會間接資本)의 지역간 격차는 현저히 감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성장(成長)의 지역간(地域間) 불균형(不均衡)은 크게 개선되지 못하였다. 이는 사회간접자본(社會間接資本)의 지역격차 완화로 수도권(首都圈)을 중심으로 하는 성장지역(成長地域)의 입지여건(立地與件)의 비교우위성이 약화되었으나, 수도권지역(首都圈地域)의 입지적(立地的) 이점(利點)을 상쇄할 만한 투자환경(投資環境)이 지방에 조성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질적인 지역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는 입지여건(立地與件)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지방에 기업투자(企業投資)를 유인(誘引)할 수 있는 세제(稅制), 금융(金融) 및 행정절차상(行政節次上)의 지원책(支援策) 등을 강화하여 해당지역의 산업활동(産業活動)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이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의 필요성에 부응하는 사회간접자본투자(社會間接資本投資)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특수성과 주민의 여론을 반영하여 지방정부(地方政府)가 투자결정을 주도할 수 있도록 지방정부의 재정지출 재량권이 제고되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