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run Relationship between R&D Expenditures and Economic Growth

공적분 관계를 고려한 연구개발과 경제성장의 상호관계 연구

  • 한웅용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 전용일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 Received : 2016.02.15
  • Accepted : 2016.03.25
  • Published : 2016.03.30

Abstract

We empirically examine the validity of second generation endogenous growth theory suing 21 OECD countries' panel data(1981~2011). Due to non-stationarity in all variables, we test the cointegrated relationships strongly supporting the semi-endogenous growth model. In the estimation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function, the growth of domestic and foreign R&D investment level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R&D intensity, however, has significant impacts on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growth only in a few models, and international technology gap also has positive impacts on GDP growth. Thus the semi-endogenous growth model is relatively supported while fully endogenous growth model is weakly and occasionally supported in OECD countries. The policy implication of supporting the semi-endogenous growth model is that the sustaining growth requires increasing R&D expenditures.

본 연구는 OECD 21개 국가의 패널 자료(1981~2011)를 활용하여 제2세대내생적성장이론의 실증적 타당성을 검정하였다. 모든 변수들이 비정상성을 지니므로 변수들 간의 공적분 검정을 수행한 결과 연구개발수준은 총요소생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준 내생적성장이론이 강력히 지지되는 반면, 완전한 내생적 성장이론에 따른 연구개발집약도와 총요소생산성 성장 간의 유의한 관계는 일부 모형에 국한하여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요소생산성성장 함수 추정 결과 국내 및 국외 연구개발수준의 증가는 총요소생산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구개발집약도의 경우는 일부 모형에서만 국내 및 국외 연구개발집약도가 총요소생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준 내생적 성장이론이 강하게 지지되었다. 다만 국가 간의 기술격차는 총요소생산성 격차를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완전한 내생적 성장이론의 기술격차가설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준 내생적 성장이론적 관점에서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면 OECD 국가들의 경제는 총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생산성 체감의 가정이 타당하며, 따라서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투자의 지속적인 증가가 수반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