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 영역

Search Result 1,61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Workbench Domain Adaptation of an MT Lexicon with a Target Domain Corpus (대상 영역 코퍼스를 이용한 번역사전의 특정 영역화를 위한 워크벤치)

  • 노윤형;이현아;김길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6a
    • /
    • pp.163-168
    • /
    • 2000
  • 기계번역에서 좋은 품질의 번역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대상으로 하고 잇는 전문 영역에 맞게 시스템의 번역 지식을 조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영역 코퍼스를 이용하여 기계번역 시스템의 특정 영역화를 지원하는 워크벤치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워크벤치는 대상 영역의 코퍼스에서 대상 영역의 지식을 추출하는 영역 지식 추출기와, 추출된 지식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가 사전을 편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영역 지식 검색기와 사전 편집기로 구성된다. 구혀된 워크벤치를 이용하여 일반 영역 사전을 군사 정보 영역으로 특정 영역화를 해 본 결과, 효율성과 정확성에서의 향상이 있었다.

  • PDF

Teachers' Knowledge Base and The Structure of Mathematical Knowledge for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효과적인 수학 교수를 위한 교사 지식 기반 영역과 수학적 지식 구조)

  • Kim, Young-O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1 no.4
    • /
    • pp.595-60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teachers' knowledge bases for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and especially to provide the various definitions and the structures of mathematics knowledg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one of the knowledge bases.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about teachers' knowledge bases for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and the structure of mathematics knowledge may be used in evaluating effective mathematics teaching and teachers as well as in developing a new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tructure of mathematical knowledge.

  • PDF

A Workbench for Domain Adaptation of an MT Lexicon with a Target Domain Corpus (대상 영역 코퍼스를 이용한 번역사전의 특정 영역화를 위한 워크벤치)

  • Noh, Yoon-Hyung;Lee, Hyun-Ah;Kim, Gil-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0.10d
    • /
    • pp.163-168
    • /
    • 2000
  • 기계번역에서 좋은 품질의 번역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대상으로 하고 있는 전문 영역에 맞게 시스템의 번역 지식을 조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영역 코퍼스를 이용하여 기계번역 시스템의 특정 영역화를 지원하는 워크벤치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워크벤치는 대상 영역의 코퍼스에서 대상 영역의 지식을 추출하는 영역 지식 추출기와, 추출된 지식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사용자가 사전을 편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영역 지식 검색기와 사전 편집기로 구성된다. 구현된 워크벤치를 이용하여 일반 영역 사전을 군사 정보 영역으로 특정 영역화를 해 본 결과, 효율성과 정확성에서의 향상이 있었다.

  • PDF

A Study on Visualization of Digital Preservation Knowledge Domain Using CiteSpace (CiteSpace 적용을 통한 디지털 보존 지식영역 비주얼화 연구)

  • Kim Hee-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9 no.4
    • /
    • pp.89-104
    • /
    • 2005
  • This article identifies an emerging research paradigm and monitors the changes in digital preservation area using CiteSpace, a Java application which supports visual exploration with knowledge discovery in bibliographic databases. 74 articles on digital preservation field covering the time period from 1990-2005 were extracted from Web of Scien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core knowledge domains in digital preservation are technical preservation strategies, information network and preservation system, knowledge management and electronic government.

A study on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 reflection status and needs analysi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실태 및 요구 분석 연구)

  • Lee, Byung-Wook;Lee, Chan-Joo;Lee, Sang-Hyun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9 no.2
    • /
    • pp.1-18
    • /
    • 2014
  • This study took existing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related textbooks being utilized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analyzed the formation status of 'key learning elements' reflection ratio and drew optimum key learning elements formation ratio by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 required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the future. For this, the study task was set up as 'what kind and how much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key learning elements are in the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textbook education content now and what is the desirable ratio of each key learning elements in the future'. To resolve this task, 3 specialists analyzed the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 reflection status and optimum reflection ratio by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 required in the future is suggested by Delphi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result of analysis on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key learning elements included in the invention patent recognition books being utilized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was that the books included all key learning elements; however, some textbooks have the trend of concentrating in D area (problem-solving activities).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reflection ratio by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 area in the invention patent recognition books being utilized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was that there was the trend in most textbooks that they concentrate in intellectual property creation area; while some textbooks deal with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area and intellectual property utilization area. Regarding by achievement type, knowledge area was main in all textbooks. Meanwhile, function area is dealt in invention patent basic, invention and problem-solving and design textbooks. Attitude area is not dealt or is dealt insufficiently in most textbooks. Third, the optimum reflection ratio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key learning elements required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 the future as obtained by specialists' delphi survey was that it is necessary to decrease D (problem-solving activities) 17.7% area, E(invention fusion knowledge) 2.9% area, K(patent application) 6.9% and L(patent information investigation) area 9.6%. Regarding the optimum reflection ratio of in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 it is suggested that the invention literacy area 3.1%, intellectual property creation area 4.5% and intellectual property protection area 10.6% would be decreased; while intellectual property utilization area 17.7% would be increased. Regarding optimum reflection ratio of achievement type, it is suggested that knowledge area 52% would be decreased; while function area 32.3% and attitude area 19.6% would be increased.

사회복지 지식공유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내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을 중심으로

  • Yun, Seong-Ho;Bae, Hwa-Suk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4a
    • /
    • pp.589-609
    • /
    • 2005
  • 현대는 지식사회이다. 이는 사회복지영역에서도 예외일 수 없다. 사회복지영역에서 지식의 중요성은 이미 오래 전에 합의되었다. 그렇지만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의 급격한 발달은 사회복지영역에서도 적지 않은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본 연구에서는 10의 영향은 이미 전제되어있는 상태에서 변화된 조직 관리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가 사회의 구조적이고 파생적 문제해결에 중심을 둔 실천과학이라는 정체성을 획득하고자 하는 단초적 시도로서 지식관리가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지식관리 중 지식공유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시켰다. 즉 사회복지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지식공유는 어느 정도이며, 그 결과는 어떤 조직적 성과를 산출하고, 또 이러한 지식공유에 영향을 주는 전제 조건은 무엇인지를 부산광역시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지식공유 관련 요인을 11개의 요인으로 재구성하여 이를 구성요인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동료관계 망, 보상, 상부관계, 조직 규범, 의사소통 둥의 조직 환경이 지식공유와 조직성과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조직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 보다 지식공유를 고려한 상태의 전체 영향력이 강하게 나타나 지식공유가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에 사회복지 조직에서 조직성과를 높이는 지식공유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의 노력과 아울러 추후과제로서 여타 사회복지 기관에서의 지식관리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 PDF

Fuzzy Cognitive Map-Based A, pp.oach to Causal Knowledge Base Construction and Bi-Directional Inference Method -A, pp.ications to Stock Market Analysis- (퍼지인식도에 기초한 인과관계 지식베이스 구축과 양방향 추론방식에 관한 연구 -주식시장 분석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 이건창;주석진;김현수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 no.1
    • /
    • pp.1-22
    • /
    • 1995
  • 본 연구에서 퍼지인식도(Fuzzy Cognitive Map) 개념을 기초로 하여 (1) 특정 문제영역에 대한 전문가의 인과관계 지식(causal knowledge)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2) 이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작성된 해당 문제영역에 대한 여러 전문가들의 인과관계 지식을 계층별로 분해하여, (3) 해당 계층간의 양방향 추론이 가능한 추론메카니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정 문제영역에 있어서의 인과관계 지식이란 해당 문제를 구성하는 여러 개념간에 존재하는 인과관계를 표현한 지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과관계 지식은 기존의 IF-THEN 형태의 규칙과는 달리 행렬형태로 표현되기 때문에 수학적인 연산이 가능하다. 특정 문제영역에 대한 전문가의 인과관계 지식을 추출하는 알고리즘은 집합연산에 의거하여 개발되었으며, 특히 상반된 의견을 보이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통합하여 하나의 통합된 인과관계 지식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주어진 문제가 복잡하여 다양한 개념들이 수반되면, 자연히 인과관계 지식베이스의 규모도 커지게 되므로 이를 다루는데 비효율성이 개재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이러한 비효율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주어진 문제를 여러계측(Hierarchy)으로 분해하여, 해당 계층별로 인과관계 지식베이스를 구축하고 각 계층별 인과관계 지식베이스를 연결하여 추론하는 메카니즘을 개발하면 효과적인 추론이 가능하다. 이러한 계층별 분해는 행렬의 분해와 같은 개념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 그 연산이 간단명료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같이 분해된 인과관계 지식베이스는 계층간의 추론메카니즘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상향 또는 하향방식이 추론이 가능한 양방향 추론방식을 제시하여 주식시장에서의 투자분석 문제에 적용하여 그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PDF

Utilizing & Evaluating Domestic R&D Databases for the Knowledge Management (지식정보자원 관리를 위한 국내 학술연구정보 평가와 활용방안 연구)

  • 유사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0 no.1
    • /
    • pp.321-339
    • /
    • 2003
  • This article surveyed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R&D information system and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knowledge-transformation for KMS. Four major requirements of the transformation were analyzed by applying evaluation index tool which was integrated and refined from the existed indices. and a process-oriented project approach was suggested with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KMS.

Design of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Based on the Ontology of Procedural Knowledge (절차 지식 온톨로지 기반 지능형 교수 시스템 설계)

  • Yu, Jeong-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71-75
    • /
    • 2007
  • 오늘날 지능형 교수 시스템은 과거와는 달리 전문영역 지식, 학습자 지식과 융통적인 개별 학습과 개인교수를 지원하기 위한 교수 전략에 대한 지식이 사용되고 있다. 학습자들이 배웠던 내용이 무엇인지를 설명하고 가르칠 도메인 지식을 전문영역 지식으로 표현한다. 교수법 모듈은 학습을 제어하거나 가르치기 위한 모든 결정을 한다. 학생 모형은 학습자의 지식을 기술하고 학습자 개개인에 대한 특정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교수 시스템의 구성 요소인 학습자 모형의 지식을 기존의 인공지능에서의 지식 표현 기법인 생성 시스템의 절차 지식을 온톨로지를 사용하여 설계하였다.

  • PDF

Analyses of the Application of the Knowledge Domain of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The Perspectiv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의 관점에서 제품수명주기관리의 지식영역 적용도 분석)

  • Heo, Kwangho;Lee, Youmi;Yoo, Young-Jin;Kim, Jin-hoi;Oh, You-Sang;Kim, Injai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2 no.2
    • /
    • pp.209-225
    • /
    • 2021
  •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is a well-defined management method consisting of 8 knowledge areas. Sinc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closely related to smart factories, the importance of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which effectively manages the entire process from product idea generation to disposal, is emerging.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and future applications of the knowledge domain of product life cycle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 experts in the field of product life cycle management. The expert's perception was analyzed from the current point of view and the future point of view to see how the product life cycle management knowledge area is applied in the field. The current and future application degree of the knowledge domain of product life cycle management was analyzed, an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knowledge domains in terms of the level of application was analyzed.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its meaning and future flow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