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 및 기술

Search Result 3,33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정보통신 기술 집약형 중소기업의 전문인력 양성방안 연구

  • 이영덕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9.11c
    • /
    • pp.425-441
    • /
    • 1999
  • 우리 경제가 작금의 IMF 구제 금융체제를 조기에 극복하고, 21세기 선진국 경제체제로의 도약을 위해서는 글로벌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가 절실하며, 특히 산업파급 효과가 크고 부가가치의 실현가능성이 높은 정보통신 산업 분야에서의 기술적/사업적 경쟁우위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지식기반 경제의 확립을 통한 지속적인 발전 및 세계적인 확산, 지식자원을 기반으로 한 국가 및 개별기업의 경쟁력 제고, 개인·산업·국가 수준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제휴전략의 확대 등과 같은 새로운 페러다임의 형성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대기업-중소기업이란 이분법적 구조에 따른 보유수준위주의 경쟁자원의 개념을 뛰어넘는 새로운 개념으로서, 벤처기업의 육성 및 지식자원의 ‘창출-변환-확산’을 통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원에서는 정보통신 기술 집약형 중소기업의 지식자원 확충을 통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 마련의 일환으로 전문 인력의 투입(지식창출), 전문 인력의 관리/유지시스템(지식변환), 전문인력 양성제도/정책(지식자원 확산인프라)의 3 측면에서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한 분석, 및 효율적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IS Knowledge and Skills Requisite on IS Practitioners : Comparative Study of IS Practitioners' Perception and Recruiters' Perception (IS 실무자에 대한 IS 지식 및 기술 수요: IS 실무자와 채용 담당자의 인식에 대한 비교 연구)

  • Go, Seok-Ha;Lee, Hyeon-U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255-26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IS 채용 담당자들이 한국의 신규 IS 실무자들에게 어느 IS 지식과 소프트웨어/IT 전문 기술이 얼마나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 실증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결과에 따라서 IS 실무자들을 초급 전문가, 중급 전문가, 고급 전문가, 그리고 제너럴리스트로 분류하였으며, 조사 결과를 이들 각 집단이 필요로 하는 수준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한국의 IS 채용 담당자들이 IS 채용 담당자들이 전체적으로는 IS 실무자들에게 어떤 지식 및 전문 기술이 필요한지를 잘 파악하고 있으며, 또한 조직의 지식 및 지술 수요에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는 또한 IS 채용 담당자들이 기존의 초급 전문가에게 요구되고 있는 정도보다도 더 높은 수준의 "제품-지향성"을 신규 IS 실무자에게 요구하고 있으며, 도리어 중급 전문가에 더 가까운 지식 및 기술 구성을 갖고 있기를 신규 IS 실무자에게 기대하는 사람의 비율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는 한국의 대학이 산업 지식 및 기술 수요에 맞추어 인력을 양성하고 있지 못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IS/IT 기술 및 지식에 대한 충북 지역 IS 실무자 재교육 수요 조사

  • Lee, Hyeon-U;Gyeong, Won-Hyeon;Min, Bong-Gyu;Go, Seok-Ha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6.06a
    • /
    • pp.159-18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청주와 그 인근 지역에서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거나 운영하고 있는 업체의 IS 실무자들에게 (1) IS 실무자의 업무 수행 성과, (2) 소프트웨서 및 IT 전문기술수준, (3) IS 지식 및 능력 수준, 그리고 (5) 재교육 수요에 대해서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들은 주로 Sl(system integration) 업체에 종사하는 IT(information technology) 실무자들과 e-Business를 수행하는 일반 기업에서 전산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들이며, 구체적으로는 전산시스템 운영자, 시스템/데이터베이스 분석/설계자, 어플리케이션/웹 프로그래머, 최종사용자 지원 담당자, e-Business를 위한 IT 지원 인력 등이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충북 지역에서 IS 실무자들은 자신들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지식 및 기술의 다양한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지식 및 기술의 결핍을 느끼고 있으며, 자신의 업무 성과가 전반적으로 좋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고, 업무 관련 지식 및 기술에 대한 재교육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고 있다. 또한, 충북 지역의 IS 실무자들은 주된 활동이나 업무가 시스템 개발과 유지보수, 최종 사용자 지원 등의 활동이며, 이에 대한 최신의 기술과 고객 중심의 시각화된 도구(GUI)를 제공하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하며, 기존의 반복적인 개발 업무에서 점차 경력이 쌓임에 따라 고객 중심적인 새로운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획과 관리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나, 조직 운영 및 의사결정 등과 같은 기술/지식들에는 낮은 관심을 보였다. IT전문 기술들 중 IS 실무자들이 필요로 하고 보유해야 한다고 응답한 기술들은 대다수가 웹 개발에 관련된 기술이며, IS 실무자들은 대규모 프로젝트의 수행에 필요한 공동 작업 수행 능력의 제고와 그를 위한 재교육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었다. 본 조사는 충북의 IS 실무자들을 위한 대학 교육과 재교육을 포함하는 최적의 평생 교육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n Knowledge and Skills for Information Security Professionals (정보보호 분야 직무별 필요 지식 및 기술 분석)

  • Jun, Hyo-Jung;Yoo, Hye-Won;Kim, Tae-Sung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0 no.2
    • /
    • pp.253-267
    • /
    • 2008
  • A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curity becomes a major concern, there has been growing effort to educate information security professional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evel of required knowledge and skills for four information security skills groups: strategy and planning; research and development; system management and operation; and accident control. For this study, we selected 55 critical knowledge and skills for information security professionals by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method, and we conducted a survey of information security knowledge and skills requirements for information security professionals to perform their jobs. As a result,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information security professionals' knowledge and skills level and suggested some guidelines for establishing the demand-based curriculum for training information security professionals.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지식정보자원의 활용방안 분석;부산지역 시민들을 대상으로

  • Jeong, Chung-Sik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429-434
    • /
    • 2007
  • 이 연구는 공공부문이 구축/관리중인 지식정보자원의 시민활용 실태를 점검하고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지식정보자원의 시민활용성 제고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의 시민 200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인지도/활용도/활용장애요인과 유비쿼터스 기술에 대한 인지도/활용도/유용성을 조사하였고, 향후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공공행정, 교육학술, 사회문화/복지, 생활경제 등 4 대부문 16 개분야 32 개의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시민활용 의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도는 보통보다 낮은 수준에 있으며, 그 이유로는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불안, 지식정보자원 소재에 대한 정보부족, 지식정보자원 활용 비용의 부담 및 활용의 불편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지식정보자원 활용의향에 대해서는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교통/기상정보, U-Care 및 U-Health 정보, 금융, 공연예술, 관광여가 등의 정보에 대해서는 높은 의향을 보이나, 실생활과 직접 관련이 적고 전문적인 능력이나 관심이 요구되는 행정정보공개, 정책참여, U-학술연구 등에 대해서는 낮은 의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식관리시스템 구축 기술 요소

  • Kim, Jun-Su
    • Digital Contents
    • /
    • no.9 s.76
    • /
    • pp.60-63
    • /
    • 1999
  • 지식관리시스템은 2000년까지 2억명 이상의 화이트컬러 및 근로자들에 의해 사용되어 질 것이라 전망되고 있으며 기업들은 성공적인 지식관리시스템 구축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많은 사례들에 볼 수 있듯이 지식관리시스템은 단순히 정보기술에 집중한 시스템이 아니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지식관리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정보기술 요소에 대해 살펴본다.

  • PDF

Future Direction of Expert Communities (전문가 커뮤니티의 발전 방향)

  • 이주영;한선화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517-524
    • /
    • 2003
  • 현재 전 세계 각국은 지식 경쟁력 확보에 혈안이 되어 있으며, 우리나라는 풍부한 인터넷 인프라를 구비하여 지식 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충분한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특히, 인력은 인터넷 시대의 핵심적 지식 자원으로서, 전문가 두뇌 연계 망(네트워크)의 구축과 운영을 통해 해당 분야 전문가간 협력 및 교류가 진행되면, 지식 정보의 동시 생성, 공유, 활용 체제의 확립이 가능하다 전문가 커뮤니티의 구성원은 정보의 공유와 확산에 자발적으로 기여하는 지식의 선 순환 구조를 이루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과학기술 전문가로 구성된 한민족과학기술자 네트워크(KOSEN, www.kosen21.org)를 사례로 전문가 네트워크의 역할과 특징을 살펴보고, 지식 기반 사회에서 전문가 네트워크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KOSEN은 지식의 생성, 공유, 활용 등의 지식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과학기술 전문가 커뮤니티이다. 향후 인적 자원 및 정보 자원의 적절한 연계를 통해 지식의 활용 측면을 더욱 확대하여 본격적인 지식 정보 활용의 장으로 거듭나야 한다. 컨텐트 가치증대를 통한 전문가 참여 확대, 전문가들간 상호 연계의 확대를 통한 소 공동체 형성, 전문가들간 상호 학습, 정보 거래 메커니즘 구축 등의 다양한 방안을 통해 보완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전자ㆍ정보산업 분야 - 우리나라 지식기반 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

  • Korea Electronics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n Electronics
    • /
    • v.19 no.3
    • /
    • pp.2-16
    • /
    • 1999
  • 최근 급속한 정보기술의 혁신으로 인해 신물질, 생명공학, 영상 등 타분야에서의 기술혁신이 가속화 되고 있고 이와 함께 경제활동 전반에 걸쳐 지식과 관련된 신제품과 신시장이 계속 확대됨으로써 인간생활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근본적인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는 점차 지식 기반 경제로 이행되어가고 산업측면에서는 지식기반 산업 중심의 산업 구조로 재편되어 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보고서는 신산업 발전 위원회에서 지식기반 14개 산업에서 고용 및 기술 파급효과, 시장성, 국내기업의 기술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미래 유망 지식산업을 도출한 것 중에서 전자, 정보, 산업 분야를 분석한 자료이다.

  • PDF

Strategic Action Plan for Construction Knowledge Management (건설 지식의 전략적 계획과 활용)

  • Jung, Young-Soo;Kang, Seung-Hee;Lee, Kyoo-Hy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6 no.5 s.27
    • /
    • pp.166-17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framework for construction knowledge management. Three variables of proposed framework includes knowledge class, strategic business function, and engineering data form. Several different techniques for evaluating the variables are developed in order to develop a strategic action plan for engineer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The proposed framework for an action plan will contribute to develop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related to strategic engineering functions for construction companies.

A Study on the Process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지식관리시스템의 단계별 분석 및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김성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6 no.2
    • /
    • pp.165-182
    • /
    • 1999
  • Knowledge and Knowledge Management have emerged as a current 'hot issue' for many organizations. This paper starts by exploring the definition of knowledge and knowledge management. It then analyzes the process of knowledge management and suggests the recommendations for effective knowledge management. Finally, it considers the pahership for knowledge management, and especially how librarians as knowledge professionals, users, and technology experts can contribute to effective knowledge management. These suggestions of the study will be used to implement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hat can organize, transfer, and share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