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 네트워크 분석

Search Result 56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T 활용이 지식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Seo, A-Yeong;Sin, Gyeong-Sik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312-325
    • /
    • 2008
  • 지식 네트워크 (knowledge network) 구축은 지식의 재사용을 통하여 조식의 효율성을 개선시키고 지식 레버리지를 통하여 혁신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지식관리의 핵심적 요소이다. 본 연구는 (1) 개인이 집단 내 외에서 맺고 있는 지식 네트워크가 팀의 객관적, 주관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2) IT 활용이 지식 네트워크의 효과성을 어떻게 조절하는 가에 대해서 실증 함으로써, (3) 지식 네트워크 구축, IT 활용, 그리고 팀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하여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 네트워크 이론을 바탕으로 지식 네트워크의 집단 내부 결속과 외부 매개성을 통합하는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국내 5개 컨설팅 업체의 172명의 컨설턴트와 42개 프로젝트 팀을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식 네트워크의 내부 결속(네트워크의 밀도)과 팀 성과의 선형적인 관계를 지지하였으며, 외부 매개성은 직접적으로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팀 수준의 IT 활용 (공동체적인 컴퓨터 매체의 활용)과 상호작용을 통해서 팀의 성과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T 활용이 지식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Seo, A-Yeong;Sin, Gyeong-Sik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571-584
    • /
    • 2008
  • 지식 네트워크 (knowledge network) 구축은 지식의 재사용을 통하여 조식의 효율성을 개선시키고 지식 레버리지를 통하여 혁신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지식관리의 핵심적 요소이다. 본 연구는 (1) 개인이 집단 내 외에서 맺고 있는 지식 네트워크가 팀의 객관적, 주관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2) IT 활용이 지식 네트워크의 효과성을 어떻게 조절하는 가에 대해서 실증함으로써, (3) 지식 네트워크 구축, IT 활용, 그리고 팀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하여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 네트워크 이론을 바탕으로 지식 네트워크의 집단 내부 결속과 외부 매개성을 통합하는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국내 5개 컨설팅 업체의 172명의 컨설턴트와 42개 프로젝트 팀을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식 네트워크의 내부 결속(네트워크의 밀도)과 팀 성과의 선형적인 관계를 지지하였으며, 외부 매개성은 직접적으로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팀 수준의 IT 활용 (공동체적인 컴퓨터 매체의 활용)과 상호작용을 통해서 팀의 성과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xploration of Knowledge Hiding Research Trend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지식은폐 연구동향 분석)

  • Joo, Jaehong;Song, Ji Hoon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2 no.1
    • /
    • pp.217-24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led of individual knowledge hiding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As individuals intentionally hide their knowledge beyond not sharing their knowledge in organizations and the research on knowledge hiding steadily spread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regarding knowledge hiding behaviors. For keyword network analyses, we collected 346 kinds of 578 keywords from 120 articles associated with knowledge hiding behaviors. We also transformed the keywords to 86 nodes and 667 links by data standardizing criteria and finally analyzed the keyword network among them. Moreover, this study scrutinized knowledge hiding trends by comparing the conceptual model for knowledge hiding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network structure based on keyword network analysis. As results, first, the network centrality degree, knowledge sharing, creativity, and performance was higher than others in Degree, Betweenness, Closeness centrality. Second, this study analyzed ego networks about psychological ownership and individual emotion theoretically associated with knowledge hiding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comparing with the conceptual model for knowledge hiding.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provided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study findings.

The Generation and Analysis of Human Network in Knowledge Management (지식 경영에서의 휴먼 네트워크의 생성과 분석)

  • 윤병운;최광식;박용태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2.02a
    • /
    • pp.225-236
    • /
    • 2002
  • 기업 전략 경영의 자원기반 접근방법(resource based approach)에서 핵심역량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지식이 기업 핵심역량의 원천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지식 근로자는 지식 사회의 중심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지식 경영을 도입하고 있는 기업의 반 이상이 가시적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것은 지식경영을 단순한 정보기술로 간주하거나 명확한 목표와 전략 없이 도입하는 데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식의 원천이 데이터베이스나 인터넷보다는 사람의 머리 속에 더 풍부하게 존재한다는 측면에서 휴먼 네트워크를 생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식의 흐름을 정의하고 지식 행렬을 산출하며 이를 토대로 조직의 구성원간의 네트워크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는 각 구성원들의 중요도와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지식 경영에서의 전략을 수립하는 데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과학기술 성과에 대한 네트워크 연구

  • Kim, Jin-Ae;Lee, Hui-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10a
    • /
    • pp.498-503
    • /
    • 2008
  • 국내 연구개발 활동의 다양한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명시화된 지식인 '논문'을 중심으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하고자 한다. 첫째, 과학기술 분야간 지식의 흐름을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정성적/정략적으로 분석하고 둘째, 국내 연구기관의 공동연구 현황에 대하여 공동연구 네트워크와 연구기관 중심도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두 네트워크를 연결함으로써 다차원적인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해보고, 앞으로의 기술정책의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 PDF

Social Network Approach for Sharing Knowledge: How Ca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s Support for Sharing Knowledge? (지식 공유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접근법 : 어떻게 소셜 네트워크의 구조와 특징이 지식 공유를 지원하는가?)

  • Lee, Je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7 no.2
    • /
    • pp.61-74
    • /
    • 2010
  • The knowledge sharing in a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is much affecting genera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Especially, the knowledge distribution is being revitalized with the center of social media service like twitter and library service 2.0 in the knowledge-based IT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The present research analyze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a social network inside an organization that is growing like an organism through self-organization through tools for SNA (Social Network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1) a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s structure and knowledge sharing, 2) a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holes and knowledge sharing influence of centrality, 3) a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bility and knowledge sharing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work recognition.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on Defense Research Using Text Network Analysis (텍스트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국방분야 연구논문 지식구조 분석)

  • Lee, Yong-Kyu;Yoon, Soung-woong;Lee, S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526-52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하여 국방분야 연구의 핵심 주제어와 연구주제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체 지식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7년까지의 국방대학교 학위과정 논문을 대상으로 국방분야 연구현황을 진단하고 지식구조를 구성하였다. 8년간 누적된 논문 710건의 초록을 분석하여 총 6,883개의 단어를 추출한 후, 단어의 논문 등장 빈도수와 단어간 링크수를 파레토 법칙에 따라 상위 20%의 기준으로 총 270개의 단어로 추출하였고, 컴포넌트 분석을 통해 최종 170개의 핵심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이 핵심 주제어를 통해 중심성 분석과 응집구조를 분석하여, 국방분야에 대한 총 6개의 지식구조 그룹을 도출하였다.

  • PDF

A trend analysis of the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using graph theory and network model (그래프 이론 및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한 지식경영연구 논문 트랜드 분석)

  • Lee, Dong Hyun;Lee, Ho;Kim, Jungmin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17 no.1
    • /
    • pp.1-1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352 scholarly journals and 1496 keywords in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from 2000 to 2015 and provide systematical view point of research trend in the area of knowledge management using graph theory and network model. The relational patterns among keywords as well as keywords which recently received noticeable attention and keywords which receded from the spotlight in recent years in the knowledge management literature were identifi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foundation of future research ideas in knowledge management.

Reengineering the Structure of Knowledge Sharing Network

  • 남수현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209-220
    • /
    • 2005
  • 지식경영은 기업의 지속적 경쟁력을 제공하는 중요한 경영기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기업에서 know-how 지식이나 know-where 지식을 축적하여 놓고 관련 평가체계를 잘 정립하면 향후 사용될 것이라는 전제하에 지식관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지식관리를 조직업무형태에 따른 체인, 허브, 웹 유형으로 구분, 관리함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가설을 기존 논문을 근거로 도출하였다. 이 중에서 가장 관리하기가 어렵다고 판단된 웹 혹은 네트워크 유형의 지식관리를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구조 자체에 대한 분석이 클러스터링 계수와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구성원에 대하여 이루어져야함을 e-Business 모델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선행분석은 기존의 지식관리방법론을 보다 적극적인 관점에서 계획 및 통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knowledge map of the computer engineering field by using a research paper database (학술 논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컴퓨터 분야 지식지도에 관한 연구)

  • Jung, Bo-Seok;Kwon, Yu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460-1462
    • /
    • 2011
  • 지식지도는 대량의 정보 속에 숨겨진 특별한 형태와 패턴을 찾아서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가시적인 형태의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기존의 지식지도를 살펴보면, 대부분 빈도수나 평균 증가율과 같은 단순한 정보 분석에 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에게 보다 고차원적인 정보 분석을 통해 주어진 분석대상에 관한 유용한 지식 전달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2000년부터 2009년까지의 컴퓨터 공학 분야의 학술 논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지식지도 구축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를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그 결과, 네트워크 내에서 패턴을 발견할 수 있었다. 네트워크에서 이러한 분석방법은 학술 분야의 연구동향 패턴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