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식 관리

검색결과 3,516건 처리시간 0.036초

웹 검색엔진의 지식검색커뮤니티 기반 지식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nowledge management of web search engine based on knowledge search community)

  • 이두영;강순희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3년도 제10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3-152
    • /
    • 2003
  • 본 연구는 인터넷 환경에 따른 정보의 지식화현상과 지식경영 추세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웹 검색엔진의 지식검색커뮤니티 기반 지식관리에 관한 연구이다. 아직까지 지식검색커뮤니티에 대한 연구를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네이버의 ‘지식 iN’, 야후의 ‘지식검색’, 엠파스의 ‘지식거래소’를 대상으로 웹 검색엔진의 지식검색커뮤니티를 살펴보았다. 지식의 개념을 통해 지식 순환과정을 고찰하였고, 순환과정의 각 단계별로 지식관리를 연구하였다. 더불어 커뮤니티 기반의 지식창출과 지식공유단계에 대한 이용자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보다 건전하고 활발한 지식공유문화조성을 위한 지식검색커뮤니티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해운.항만조직의 지식공유의도 영향요인이 지식관리시스템 사용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s of the Knowledge Sharing Intention on the Use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Maritime and Port Organizations)

  • 김철현;장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1-7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지식공유와 지식관리시스템에 관한 이론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해운 항만 공공부문과 해운기업을 대상으로 지식관리시스템 사용과 지식공유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추출하여 그 요인들의 상호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총 7개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먼저 지식공유 의도의 영향요인들 중에서 최고 경영층의 지원, 자기 가치감, 신뢰가 지식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또한 보상제도와 지식관리시스템의 사용과 관계, 지식공유 의도와 지식관리시스템 사용과의 관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앞으로 지식관리시스템 사용과 관련된 연구에 있어서 지식공유 의도의 영향력에 대학 실증적 근거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식관리 시스템을 도입 사용하고 있는 기업의 실무자들에게 현재 자신들의 지식관리시스템 사용 현황을 재진단하고 문제점을 짚어봄으로써 향후 지식관리시스템을 통한 지식공유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소프트웨어 (Social Software) 와 지식관리 프로세스 (Social Software and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 김학래;최재화;김홍기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16-323
    • /
    • 2006
  • 정보근로자는 지식 중심의 사회에서 지식을 창출하고 소비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지식관리 과정은 정보근로자의 업무패턴을 반영해야 한다. 또한 지식관리 도구는 수;q고 효과적으로 지식을 생성, 통합, 전파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식관리 시스템은 정보근로자를 시스템의 기능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정보근로자의 업무패턴과 요구사항을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근로자의 지식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협업 정보교환, 정보접근의 중요성을 설명하며, 사회적 소프트웨어 기반의 지식관리 프로세스와 지식 변환 과정을 살펴본다.

  • PDF

지식정보자원 관리를 위한 국내 학술연구정보 평가와 활용방안 연구 (Utilizing & Evaluating Domestic R&D Databases for the Knowledge Management)

  • 유사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21-339
    • /
    • 2003
  • 학술 연구정보의 지식활용을 위한 노력으로 국내 환경공학 R&D 정보의 지식전환 가능성을 조사하였고 그 가능성에 따라 지식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고려사항과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연구범위는 정보자원자체의 현황 정보 기술 인프라, 지식기반, 그리고 지식활용 영역의 4개영역으로 구성되었고 각 영역은 세부항목으로 구분되어 총 103개 지식관리시스템의 전환가능성이 조사, 분석되었다. 진단된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소 연계 프로젝트의 공동작업을 수행하고 그 진행에 따라 발생하는 연구과 정상의 문제해결과 지식전환 시에 예상 가능한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 프로세스 중심의 지식관리시 스템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방정보체계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의 도메인 지식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omain Knowledge Development of Expert System for the Project Management in the Defense Information Systems)

  • 김화수;문세진;장호석
    • 지능정보연구
    • /
    • 제5권2호
    • /
    • pp.43-61
    • /
    • 1999
  • 국방정보체계는 종류가 다양하고 대규모로 추진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사업관리에 어려움이 많이 따른다. 더구나, 현재 국방정보체계의 사업관리는 자동화시스템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실시하지 않고 수동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고 현재의 소프트웨어 개발 표준인 ISO 12207을 수정 없이 그대로 대규모 실시간 국방정보체계의 소프트웨어 개발사업에 적용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효율적인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관리를 위해서 국방정보체계별로 적절한 개발 생명주기 모델을 선정하고, 각 단계별로 사업관리자가 수행할 태스크를 식별하는 등의 도메인 지식을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국방정보체계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할 때 활용함과 동시에 국방정보체계 사업관리의 일환으로 최종 산출물에 대한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시험평가 방안에 대한 도메인 지식도 개발하여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 구축 시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국방정보체계의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식별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관리를 위한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생명주기 모델 선정을 위한 도메인 지식, 생명주기 각 단계별 세부활동을 위한 도메인 지식, 시험평가 방안선정을 위한 도메인 지식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도메인 지식을 전문가 시스템 개발도구에서 지원되는 각종 에디터에 사용되는 형태나 IF A, THEN B 형태로 개발하지 않고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의 지식베이스에 포함될 지식들을 식별하는 것을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즉, 본 논문에서는 국방정보체계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검증하는 용역연구과제로써 프로토타입 혹을 완벽한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한 것이 아니며, 전문가 시스템 개발 시 가장 어렵고 중요한 지식베이스 모듈속에 포함될 도메인 지식을 개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도메인 지식이 국방정보체계의 사업관리를 위한 전문가 시스템의 지식베이스 모듈 구축 시 기초/기반 및 핵심 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지식경영 관점에서 본 기록관리와 지식경영의 연관 관계 - 지식의 정의와 지식관리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Record and Information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Management : Focused on the Definition and Management Process)

  • 노정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24
    • /
    • 2005
  •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 지적 자산, 디지털 지식자산관리 등 지시에 관한 개념은 오늘날 많은 조직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만 보더라도 '지식정보화 강국'을 표방하면서 지식경영과 기록관리를 주요시책으로 채택하고 있어 문헌정보학의 관점에서 이에 대한 이론적 기반과 Best Practice에 관한 연구가 시급하다. 그러나 지식경영을 비롯 지식에 관한 종래의 많은 연구는 경영학 분야에서 주되게 연구되었거나 문헌정보학 내에서도 지식에 관한 통합적 연구 기반은 매우 부족한 형편이어서 정보통신발달(ICTs)에 따른 지식 및 관련 시스템 간의 관련성. 협업 가능성에 관한 논의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히 지식경영과 기록관리를 중심으로 지식의 범주, 관리방법 등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지식에 관한 통합관리의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특히 향후 지식경영 렌 기록관리체제를 도입하고자 하는 공공기관에 이론적 논거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미국의 기록관리학 지식 범주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rchival body of knowledge in the United States)

  • 정연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4-51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관리학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서 미국의 기록관리학 프로그램과 교육지침서에 관해 조사하여 다양한 요소를 바탕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기록관리학 지식의 범주를 설정하고 한국의 기록관리학 교육에 필요한 사항을 제안하였다. 기록관리학 지식 범주는 크게 5개로 기본 지식, 핵심 지식, 보충 지식, 실무 지식, 연구 지식으로 구분하였다. 기본 지식은 기록물과 관련된 전반적인 상황을 이해하는 것, 핵심 지식은 기록전문가로서 기본적으로 반드시 갖추어야하는 역할 능력을 제공하는 것, 보충 지식은 기록관리학과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는 다른 학문적 배경과 다양한 연구방법에 관한 것, 실무 지식은 현장실습에서 얻게 되는 지식이며 연구 지식은 일정기간 세부 주제에 관해 깊이 있게 연구함으로써 학문적으로 공헌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 앞으로 교과과정 개발과 관련하여 보존, 전자기록물 관리, 컴퓨터 기술의 적용, 기록물 서비스와 홍보 관련 교과목의 설정, 학제적 교과목의 개발, 인턴쉽 프로그램 개발, 협동 연구의 추진, 충분한 교원의 확보를 주요 사안으로 제시하였으며 끝으로 한국 기록관리학 교육지침서의 개발을 촉구하였다.

지식관리시스템의 지식정보 요인 및 관리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평가와 보상의 조절효과 (A Study on Influence of Knowledge Information Factors and Management Factors of the KMS on Business Performance - Moderating Effect of Evaluation and Compensation)

  • 이승민;이선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63-73
    • /
    • 2018
  • 본 연구는 중소 제조 및 서비스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KMS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지식정보요인과 관리 요인으로 설정하여 이들 요인들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평가와 보상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평가와 보상이 지식정보요인 및 관리요인과 경영성과 간에 미치는 조절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식 적합성, 지식정보의 신뢰성, 지식관리프로세스 지원으로 설정된 지식정보 요인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관리요인 중에서는 학습의 조직화와 협력 요인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가와 보상이 지식정보요인 및 관리요인과 경영성과 간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지식정보요인의 지식 적합성, 지식정보의 신뢰성, 지식관리프로세스지원, 관리요인의 지식공유활동, 협력은 경영성과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프로세스 기반 지식관리 프레임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uilding Up Process-based Knowledge Management Framework in Research Institute)

  • 최희윤
    • 정보관리연구
    • /
    • 제36권2호
    • /
    • pp.73-98
    • /
    • 2005
  • 지식 혹은 기술을 중심으로 연구개발 등 업무 프로세스가 이루어지는 연구소에서 지식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연구개발은 조직의 성장 엔진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식 및 경험을 유기적으로 통합 공유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과정인 업무 자체가 지식관리 프로세스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프로세스 기반 지식관리 프로세스를 도출하고, 실제로 이러한 체계의 지식관리를 추진하고 있는 포스코경영연구소의 사례 연구를 통해 지식관리의 실천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지털도서관의 지식펌프형 지식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nowledge-Pump-Type Knowledge Management in Digital Libraries)

  • 최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4호통권50호
    • /
    • pp.211-232
    • /
    • 2003
  •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지식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된 지식체계의 구축을 위해 확장된 도서관의 개념으로 접근한 디지털도서관의 통합형 지식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기본적인 프레임워크를 지식펌프형 지식관리 모형으로 구현하였다. 아울러 구현된 모형을 토대로 한 복수사례분석을 통해 디지털도서관의 지식관리 수준을 평가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식펌프는 지식의 적극적인 획득과 배포라는 디지털도서관의 이상적인 역할을 구현한 것이며, 정보기술의 기능적 적용에 머물러 있던 디지털도서관이 지식관리를 통해 그 영역 및 역할을 확장해 나갈 수 있는 논리적 근거와 확장방향은 물론. 실천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