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식 공유

검색결과 1,185건 처리시간 0.034초

이직이 지식 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Turnover on Knowledge Sharing)

  • 성민주;강진아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441-446
    • /
    • 2007
  • 근로자의 이직은 기업이 외부의 지식을 기업 내부로 가져와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혁신을 이끌어내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직은 기업에 직접, 간접적으로 지식 공유 주체들의 지식 공유에 대한 지연(Delay)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March의 연구를 바탕으로 지식 공유 지연을 반영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직이 지식 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지식 공유 지연을 반영하지 않았을 때보다 높은 수준의 지식 공유에 이르는 이직률은 감소하였으며, 지식 평형 상태에 이르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March의 논문을 확장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지식 공유 지연을 고려한 후에도 적절한 이직은 지식 공유에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기업은 이직자가 새로운 조직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기업 문화와 시스템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지식경영에 대한 실증분석 항공교통관제 조직 내 지식공유 의도를 중심으로

  • 김민철;강경범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3년도 창립학술대회
    • /
    • pp.527-53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항공교통관제 조직 내 지식공유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항공교통 관제사들의 지식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이들이 실제 항공교통관제사들의 지식공유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각각의 요인들의 영향력 크기를 상호 비교해 봄으로써 항공교통관제 조직 내 지식 공유문화를 정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항공교통관제사는 지식경영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정책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시대적 조류와 이에 따른 지식공유의 중요성에 대한 자각과 개인의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열린 사고가 개인차원 에서 지식을 공유하도록 유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더 나아가 동료간의 신뢰와 지식공유에 따른 평가 및 보상이 조직차원에서 주어질 때 더 원활한 지식공유가 이루어질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식공유에 있어서 업무유형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한명근;장정주;고일상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년도 추계 공동 국제학술대회
    • /
    • pp.137-148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지식공유의 영향 요인을 살펴보고, 업무특성에 따라 영향요인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개인적 요인, 관계적 요인, 구조적 요인이 지식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며, 공유지식의 형태를 업무적 지식과 비업무적 지식으로 나누고 이들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지식경영을 도입해서 활용하고 있는 국내기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 PDF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관계적 요인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 지식공유의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Variables Influencing Knowledge Sharing of Public Official i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 김성한;이미림;정해숙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1호
    • /
    • pp.281-306
    • /
    • 2010
  • 본 연구는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관계적 요인이 지식공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지식공유의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적 요인으로는 신뢰, 의사소통의 개방성, 상호관계의 기대와 효능감을 설정하였고, 매개변수는 지식공유의도, 종속변수는 지식공유였다. 연구결과, 신뢰, 상호관계의 기대, 효능감이 지식공유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지식공유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은 효능감 뿐이었다. 지식공유의도도 역시 지식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복지담담공무원의 지식공유는 주로 지식공유의도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담당공무원들의 지식공유를 보다 활발히 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전자적 네트워크에서 지식공유에 기여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김도연;신민수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459-465
    • /
    • 2007
  • 현재 지식공유를 목적으로 한 많은 정보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는 상황이지만 그 기반을 마련했음에도 그만큼 지식공유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적 네트워크에서 지식공유에 기여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효과적인 지식공유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려고 한다.

  • PDF

공공조직 구성원의 신뢰기반에 따른 신뢰유형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 지방공무원의 인식수준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the Types of Source-Based Trust on Knowledge Sharing of Public Employees: Based on Officials' Perceptions in Local Government)

  • 김구
    • 정보화정책
    • /
    • 제20권4호
    • /
    • pp.23-50
    • /
    • 2013
  • 이 연구는 공공조직 구성원의 신뢰기반에 따른 신뢰유형이 지식공유(암묵지식과 명시지식)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경험적으로 살펴보고 최적모형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모형의 구성변수로는 신뢰기반에 따른 신뢰유형을 조직의 절차적 및 분배적 공정성에 기인한 타산적 신뢰, 조직과 상사 그리고 동료에 대한 인지적 신뢰, 동료에 대한 감성적 신뢰 요인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지식내용을 중심으로 암묵지식 공유와 명시지식 공유로 구분하였다. 분석 과정에서는 신뢰기반에 따른 신뢰유형과 지식공유를 구성하는 개별요인은 물론 이들 개별 요인들의 상위개념을 통합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 모형의 적합도는 요구수준에 근사하게 도달되었으며, 가설적 영향관계에서는 통합요인 및 개별요인 모두에서 '동료에 대한 감성적 신뢰'가 지식공유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의 정책적 함의로는 첫째,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신뢰 개념을 구체적으로 구분하여 유형화하고 유형별로 지식공유의 영향모형을 도출함으로써 상황에 적합한 지식공유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과 둘째, 지식공유를 암묵지식과 명시지식으로 구분함으로써 지식공유의 내용에 따른 차별화된 지식공유의 촉진 방안을 모색하는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 PDF

가상 지식실행공동체에서 개인요인과 사회관계요인이 지식공유 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on the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of the Virtual Community of Practice)

  • 이재홍;김은정;안중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3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 지식실행공동체에서의 개인의 지식공유와 지식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조직에서 지적자원의 지속적인 확보 및 관리를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UPOW라는 가상 지식실행공동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지식공유 자기효능감과 지식공유 즐거움은 지식공유행위의 두 가지 차원 중 공유된 지식의 질에는 영향을 주지만, 지식공유행위의 양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사회적 상호작용 강도와 구성원 신뢰는 공유된 지식의 질과 지식공유행위의 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공유된 지식의 질과 지식 공유 행위의 양은 지식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 속성 품질의 결정 요인과 지식 효용의 요인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Knowledge Attributes on the Knowledge Utility and Its Determinants)

  • 신민수;염지환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0-326
    • /
    • 2006
  • 지식경영의 기본적인 목적은 조직 구성원간에 효과적으로 지식을 공유 하도록 하는 것이다. 지식 경영에 관련된 많은 연구들은 지식 공유가 필요한 상황 및 지식 공유를 촉진시키는 조직 환경에 집중해왔다. 그러나 조직에 속한 개인들이 누구와 어떻게 지식을 공유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주제는 지식 전달자와 지식 수용자간에 지식을 주고 받을 때 전달되는 지식 속성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개인간의 지식 공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주제는 지식 속성의 구성과 지식 속성이 지식 효용 및 업무 결과의 물리적 그리고 심리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지식 속성의 질을 지식 공유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 요소로 인지한다.

  • PDF

사회복지 지식공유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내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을 중심으로

  • 윤성호;배화숙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자료집
    • /
    • pp.589-609
    • /
    • 2005
  • 현대는 지식사회이다. 이는 사회복지영역에서도 예외일 수 없다. 사회복지영역에서 지식의 중요성은 이미 오래 전에 합의되었다. 그렇지만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의 급격한 발달은 사회복지영역에서도 적지 않은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본 연구에서는 10의 영향은 이미 전제되어있는 상태에서 변화된 조직 관리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가 사회의 구조적이고 파생적 문제해결에 중심을 둔 실천과학이라는 정체성을 획득하고자 하는 단초적 시도로서 지식관리가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지식관리 중 지식공유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시켰다. 즉 사회복지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지식공유는 어느 정도이며, 그 결과는 어떤 조직적 성과를 산출하고, 또 이러한 지식공유에 영향을 주는 전제 조건은 무엇인지를 부산광역시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지식공유 관련 요인을 11개의 요인으로 재구성하여 이를 구성요인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동료관계 망, 보상, 상부관계, 조직 규범, 의사소통 둥의 조직 환경이 지식공유와 조직성과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조직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 보다 지식공유를 고려한 상태의 전체 영향력이 강하게 나타나 지식공유가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에 사회복지 조직에서 조직성과를 높이는 지식공유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의 노력과 아울러 추후과제로서 여타 사회복지 기관에서의 지식관리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실행공동체를 이용하여 지식공유의 제약사항 극복: 철강회사 사례를 중심으로 (Overcoming Barriers of Knowledge Sharing through Communities of Practice: A Case Study of Steel Company)

  • 홍대근;구충효;서의호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131-145
    • /
    • 2009
  • 지식경영은 조직의 중요한 자원인 지식을 개발, 수집, 체계화, 이용 및 활용이라는 프로세스를 통해서 지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지식은 조직의 지식자산으로서 조직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중요하기 요소이기 때문에 어떻게 조직 내에서 지식공유를 활성화할 것이냐가 조직의 당면과제이다. 지식공유활동은 제약하는 요소를 감안하지 않고 지식공유와 팀 협력을 시도하는 것은 조직의 지식경영문화 증진을 오히려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에서 지식공유활동을 제약하는 문제점을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파악하고 효과적인 지식공유도구로서 실행공동체 활용모형을 제안한다. 제안된 실행공동체 활용모형에서는 지식공유활동 저해요소를 극복하고 지식공유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제안된 모형을 적용한 철강회사의 실행공동체 활용 우수사례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사례분석을 통해서 조직 내에서 지식공유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실행공동체의 적용가능성과 효과성을 가늠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