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 공유

Search Result 1,18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Effect of Turnover on Knowledge Sharing (이직이 지식 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eong, Min-Ju;Gang, Jin-A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441-446
    • /
    • 2007
  • 근로자의 이직은 기업이 외부의 지식을 기업 내부로 가져와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혁신을 이끌어내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직은 기업에 직접, 간접적으로 지식 공유 주체들의 지식 공유에 대한 지연(Delay)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March의 연구를 바탕으로 지식 공유 지연을 반영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직이 지식 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지식 공유 지연을 반영하지 않았을 때보다 높은 수준의 지식 공유에 이르는 이직률은 감소하였으며, 지식 평형 상태에 이르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March의 논문을 확장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지식 공유 지연을 고려한 후에도 적절한 이직은 지식 공유에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기업은 이직자가 새로운 조직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기업 문화와 시스템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지식경영에 대한 실증분석 항공교통관제 조직 내 지식공유 의도를 중심으로

  • Kim, Min-Cheol;Gang, Gyeong-Beom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2a
    • /
    • pp.527-53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항공교통관제 조직 내 지식공유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항공교통 관제사들의 지식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이들이 실제 항공교통관제사들의 지식공유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각각의 요인들의 영향력 크기를 상호 비교해 봄으로써 항공교통관제 조직 내 지식 공유문화를 정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항공교통관제사는 지식경영을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써 정책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시대적 조류와 이에 따른 지식공유의 중요성에 대한 자각과 개인의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열린 사고가 개인차원 에서 지식을 공유하도록 유도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더 나아가 동료간의 신뢰와 지식공유에 따른 평가 및 보상이 조직차원에서 주어질 때 더 원활한 지식공유가 이루어질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식공유에 있어서 업무유형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Han, Myeong-Geun;Jang, Jeong-Ju;Go, I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137-148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지식공유의 영향 요인을 살펴보고, 업무특성에 따라 영향요인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개인적 요인, 관계적 요인, 구조적 요인이 지식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며, 공유지식의 형태를 업무적 지식과 비업무적 지식으로 나누고 이들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지식경영을 도입해서 활용하고 있는 국내기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Variables Influencing Knowledge Sharing of Public Official i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관계적 요인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 지식공유의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Kim, Sung-Han;Lee, Mi-Rim;Jeong, Hae-Soo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1 no.1
    • /
    • pp.281-30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the factors that facilitate knowledge sharing among public official i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nd to find whether the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influences the knowledge sharing.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model,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trust, openness in communication, anticipated reciprocal relationship, and efficacy. The intervening variable was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knowledge sharing. The significant finding that came out of this research model is that trust, anticipated reciprocal relationship and 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Efficacy positively affecte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knowledge shar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effective knowledge sharing in the public sector or in the private sector, we suggested that social workers have to consider why they should share knowledge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Social workers in the public sector or in the private sector must develop ways to share the knowledge possessed within the organization with the people who need that knowledge.

전자적 네트워크에서 지식공유에 기여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Kim, Do-Yeon;Sin, Min-Su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459-465
    • /
    • 2007
  • 현재 지식공유를 목적으로 한 많은 정보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는 상황이지만 그 기반을 마련했음에도 그만큼 지식공유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적 네트워크에서 지식공유에 기여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효과적인 지식공유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려고 한다.

  • PDF

The Effects of the Types of Source-Based Trust on Knowledge Sharing of Public Employees: Based on Officials' Perceptions in Local Government (공공조직 구성원의 신뢰기반에 따른 신뢰유형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 지방공무원의 인식수준을 중심으로 -)

  • Kim, Gu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0 no.4
    • /
    • pp.23-50
    • /
    • 2013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and to develop the optimal model about an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source-based trust and knowledge sharing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based calculative trust in organization, cognition-based trust in organization, cognition-based trust in supervisor, cognition-based trust in coworkers, and emotion-based trust in coworkers were set up as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research model, and sharing of tacit knowledge and explicit knowledge based on the knowledge content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shows that the suitability of each model has approximate value to the required level, and that emotion-based trust in coworkers significantly affects knowledge sharing for both the individual and integrated factors in hypothetical influential relationship.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o enable knowledge sharing in various situations by dividing the concepts of trust that affect knowledge sharing into a few types, and deriving the influential model of knowledge sharing by types.

  • PDF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Social Factors on the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of the Virtual Community of Practice (가상 지식실행공동체에서 개인요인과 사회관계요인이 지식공유 활동에 미치는 영향)

  • Lee, Jae-Hong;Kim, Eun-Jung;Ahn, Joong-Ho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7 no.2
    • /
    • pp.23-3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factors affecting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which have two aspects-quantity and quality. We surveyed the members of a virtual community of practice called "UPOW.com". It is dedicated to sharing knowledge about job related problems, questions, experience of educational official. This study derived factors from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ocial capital theory.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quality of shared knowledge and quantity of knowledge sharing both have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utilization. Second, individual factors and social relations have positive effect on quantity of knowledge sharing. However, individual factors' effects on quantity of knowledge sharing are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have academic implications to find factors affecting both side of knowledge sharing. Also these finding will give an insight to develop virtual community of practice for an organization's sustained competitiveness.

The Effect of Knowledge Attributes on the Knowledge Utility and Its Determinants (지식 속성 품질의 결정 요인과 지식 효용의 요인에 관한 연구)

  • Shin, Min-Soo;Yeom, Ji-Hwa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320-326
    • /
    • 2006
  • 지식경영의 기본적인 목적은 조직 구성원간에 효과적으로 지식을 공유 하도록 하는 것이다. 지식 경영에 관련된 많은 연구들은 지식 공유가 필요한 상황 및 지식 공유를 촉진시키는 조직 환경에 집중해왔다. 그러나 조직에 속한 개인들이 누구와 어떻게 지식을 공유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지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주제는 지식 전달자와 지식 수용자간에 지식을 주고 받을 때 전달되는 지식 속성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개인간의 지식 공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주제는 지식 속성의 구성과 지식 속성이 지식 효용 및 업무 결과의 물리적 그리고 심리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지식 속성의 질을 지식 공유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 요소로 인지한다.

  • PDF

사회복지 지식공유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내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을 중심으로

  • Yun, Seong-Ho;Bae, Hwa-Suk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4a
    • /
    • pp.589-609
    • /
    • 2005
  • 현대는 지식사회이다. 이는 사회복지영역에서도 예외일 수 없다. 사회복지영역에서 지식의 중요성은 이미 오래 전에 합의되었다. 그렇지만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의 급격한 발달은 사회복지영역에서도 적지 않은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본 연구에서는 10의 영향은 이미 전제되어있는 상태에서 변화된 조직 관리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가 사회의 구조적이고 파생적 문제해결에 중심을 둔 실천과학이라는 정체성을 획득하고자 하는 단초적 시도로서 지식관리가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지식관리 중 지식공유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시켰다. 즉 사회복지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지식공유는 어느 정도이며, 그 결과는 어떤 조직적 성과를 산출하고, 또 이러한 지식공유에 영향을 주는 전제 조건은 무엇인지를 부산광역시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지식공유 관련 요인을 11개의 요인으로 재구성하여 이를 구성요인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동료관계 망, 보상, 상부관계, 조직 규범, 의사소통 둥의 조직 환경이 지식공유와 조직성과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특히 조직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 보다 지식공유를 고려한 상태의 전체 영향력이 강하게 나타나 지식공유가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에 사회복지 조직에서 조직성과를 높이는 지식공유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의 노력과 아울러 추후과제로서 여타 사회복지 기관에서의 지식관리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 PDF

Overcoming Barriers of Knowledge Sharing through Communities of Practice: A Case Study of Steel Company (실행공동체를 이용하여 지식공유의 제약사항 극복: 철강회사 사례를 중심으로)

  • Hong, Dae-Geun;Koo, Choong-Hyo;Suh, Eui-Ho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1 no.2
    • /
    • pp.131-145
    • /
    • 2009
  • Knowledge management is systematic management of vital knowledge resources and its associated processes of creating, gathering, organizing, diffusion, use and exploitation. A key challenge emerging for such organizations is how to encourage knowledge sharing within organization because knowledge is the organization's intellectual capital, of increasing importance in promoting competitive advantages. Isolated initiatives for promoting knowledge sharing and team collaboration, without taking consideration of the knowledge sharing limitations and constraints can defeat further development of KM culture. This article investigates knowledge sharing bottlenecks and proposes the use of community of practice as an effective instrument for knowledge sharing. The article demonstrates the opportunity for overcoming barriers of knowledge sharing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mmunities of practice. The article introduces a steel company case as the best practice of communities of practice. Then, the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case study to provide evidence for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