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표현

Search Result 1,25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과학자(科學者)의 정보생산(情報生産) 계속성(繼續性)과 정보유통(情報流通)(2)

  • Garvey, W.D.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6 no.5
    • /
    • pp.131-134
    • /
    • 1973
  • 본고(本稿)시리이즈의 제1보(第一報)에서 우리는 물리(物理), 사회과학(社會科學) 및 공학분야(工學分野)의 12,442명(名)의 과학자(科學者)와 기술자(技術者)에 대한 정보교환활동(情報交換活動)의 78례(例)에 있어서 일반과정(一般過程)과 몇 가지 결과(結果)를 기술(記述)한 바 있다. 4년반(年半) 이상(以上)의 기간(其間)($1966{\sim}1971$)에서 수행(遂行)된 이 연구(硏究)는 현재(現在)의 과학지식(科學知識)의 집성체(集成體)로 과학자(科學者)들이 연구(硏究)를 시작(始作)한 때부터 기록상(記錄上)으로 연구결과(硏究結果)가 취합(聚合)될 때까지 각종(各種) 정형(定形), 비정형(非定形) 매체(媒體)를 통한 유통정보(流通情報)의 전파(傳播)와 동화(同化)에 대한 포괄적(包括的)인 도식(圖式)으로 표시(表示)할 수 있도록 설정(設定)하고 또 시행(施行)되었다. 2보(二報), 3보(三報), 4보(四報)에서는 데이터 뱅크에 수집(蒐集) 및 축적(蓄積)된 데이터의 일반적(一般的)인 기술(記述)을 적시(摘示)하였다. (1) 과학(科學)과 기술(技術)의 정보유통(情報流通)에 있어서 국가적(國家的) 회합(會合)의 역할(役割)(Garvey; 4보(報)) 국가적(國家的) 회합(會合)은 투고(投稿)와 이로 인한 잡지중(雜誌中) 게재간(揭載間)의 상대적(相對的)인 오랜 기간(期間)동안 이러한 연구(硏究)가 공개매체(公開媒體)로 인하여 일시적(一時的)이나마 게재여부(揭載如否)의 불명료성(不明瞭性)을 초래(招來)하기 전(前)에 과학연구(科學硏究)의 초기전파(初期傳播)를 위하여 먼저 행한 주요(主要) 사례(事例)와 마지막의 비정형매체(非定形媒體)의 양자(兩者)를 항상 조직화(組織化)하여 주는 전체적(全體的)인 유통과정(流通過程)에 있어서 명확(明確)하고도 중요(重要)한 기능(機能)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잡지(雜誌)에 게재(揭載)된 정보(情報)의 생산(生産)과 관련(關聯)되는 정보(情報)의 전파과정(傳播過程)(Garvey; 1보(報)). 이 연구(硏究)를 위해서 우리는 정보유통과정(情報流通過程)을 따라 많은 노력(努力)을 하였는데, 여기서 유통과정(流通過程)의 인상적(印象的)인 면목(面目)은 특별(特別)히 연구(硏究)로부터의 정보(情報)는 잡지(雜誌)에 게재(揭載)되기까지 진정으로는 공개적(公開的)이 못된다는 것과 이러한 사실(事實)은 선진연구(先進硏究)가 자주 시대(時代)에 뒤떨어지게 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경험(經驗)이 많은 정보(情報)의 수요자(需要者)는 이러한 폐물화(廢物化)에 매우 민감(敏感)하며 자기(自己) 연구(硏究)에 당면한, 진행중(進行中)이거나 최근(最近) 완성(完成)된 연구(硏究)에 대하여 정보(情報)를 얻기 위한 모든 수단(手段)을 발견(發見)코자 하였다. 예를 들어, 이들은 잡지(雜誌)에 보문(報文)을 발표(發表)하기 전(前)에 발생(發生)하는 정보전파과정(情報傳播過程)을 통하여 유루(遺漏)될지도 모르는 정보(情報)를 얻기 위하여 한 잡지(雜誌)나 2차자료(二次資料) 또는 전형적(典型的)으로 이용(利用)되는 다른 잡지류중(雜誌類中)에서 당해정보(當該情報)가 발견(發見)되기를 기다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3) "정보생산 과학자(情報生産 科學者)"에 의한 정보전파(情報傳播)의 계속성(繼續性)(이 연구(硏究) 시리이즈의 결과(結果)는 본고(本稿)의 주내용(主內容)으로 되어 있다.) 1968/1969년(年)부터 1970/1971년(年)의 이년기간(二年期間)동안 보문(報文)을 낸 과학자(科學者)(1968/1969년(年) 잡지중(雜誌中)에 "질이 높은" 보문(報文)을 발표(發表)한)의 약 2/3는 1968/1969의 보문(報文)과 동일(同一)한 대상영역(對象領域)의 연구(硏究)를 계속(繼續) 수행(遂行)하였다. 그래서 우리는 본연구(本硏究)에 오른 대부분(大部分)의 저자(著者)가 정상적(正常的)인 과학(科學), 즉 연구수행중(硏究遂行中) 의문(疑問)에 대한 완전(完全)한 해답(解答)을 얻게 되는 가장 중요(重要)한 추구(追求)로서 Kuhn(제5보(第5報))에 의하여 기술(技術)된 방법(방법)으로 과학(연구)(科學(硏究))을 실행(實行)하였음을 알았다. 최근(最近)에 연구(硏究)를 마치고 그 결과(結果)를 보문(報文)으로서 발표(發表)한 이들 과학자(科學者)들은 다음 단계(段階)로 해야 할 사항(事項)에 대하여 선행(先行)된 동일견해(同一見解)를 가진 다른 연구자(硏究자)들의 연구(硏究)와 대상(對象)에 밀접(密接)하게 관련(關聯)되고 있다. 이 계속성(繼續性)의 효과(效果)에 대한 지표(指標)는 보문(報文)과 동일(同一)한 영역(領域)에서 연구(硏究)를 계속(繼續)한 저자(著者)들의 약 3/4은 선행(先行) 보문(報文)에 기술(技術)된 연구결과(硏究結果)에서 직접적(直接的)으로 새로운 연구(硏究)가 유도(誘導)되었음을 보고(報告)한 사항(事項)에 반영(反映)되어 있다. 그렇지만 우리들의 데이터는 다음 영역(領域)으로 기대(期待)하지 않은 전환(轉換)을 일으킬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일(同一) 대상(對象)에서 연구(硏究)를 속행(續行)하였던 저자(著者)들의 1/5 이상(以上)은 뒤에 새로운 영역(領域)으로 연구(硏究)를 전환(轉換)하였고 또한 이 영역(領域)에서 연구(硏究)를 계속(繼續)하였다. 연구영역(硏究領域)의 이러한 변화(變化)는 연구자(硏究者)의 일반(一般) 정보유통(情報流通) 패턴에 크게 변화(變化)를 보이지는 않는다. 즉 새로운 지적(知的) 문제(問題)에 대한 변화(變化)에서 야기(惹起)되는 패턴에 있어서 저자(著者)들은 오래된 문제(問題)의 방법(方法)과 기술(技術)을 새로운 문제(問題)로 맞추려 한다. 과학사(科學史)의 최근(最近) 해석(解釋)(Hanson: 6보(報))에서 예기(豫期)되었던 바와 같이 정상적(正常的)인 과학(科學)의 계속성(繼續性)은 항상 절대적(絶對的)이 아니며 "과학지식(科學知識)"의 첫발자욱은 예전 연구영역(硏究領域)의 대상(對象)에 관계(關係)없이 나타나는 다른 영역(領域)으로 내딛게 될지도 모른다. 우리들의 연구(硏究)에서 저자(著者)의 1/3은 동일(同一) 영역(領域)의 대상(對象)에서 속계적(續繼的)인 연구(硏究)를 수행(遂行)치 않고 새로운 영역(領域)으로 옮아갔다. 우리는 이와 같은 데이터를 (a) 저자(著者)가 각개과학자(各個科學者)의 활동(活動)을 통하여 집중적(集中的)인 과학적(科學的) 노력(努力)을 시험(試驗)할 때 각자(各自)의 연구(硏究)에 대한 많은 양(量)의 계속성(繼續性)이 어떤 진보중(進步中)의 과학분야(科學分野)에서도 나타난다는 것과 (b) 이 계속성(繼續性)은 과학(科學)에 대한 집중적(集中的) 진보(進步)의 필요적(必要的) 특질(特質)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우리는 이 계속성(繼續性)과 관련(關聯)되는 유통문제(流通問題)라는 새로운 대상영역(對象領域)으로 전환(轉換)할 때 연구(硏究)의 각단계(各段階)의 진보(進步)와 새로운 목적(目的)으로 전환시(轉換時) 양자(兩者)가 다 필요(必要)로 하는 각개(各個) 과학자(科學者)의 정보수요(情報需要)를 위한 시간(時間) 소비(消費)라는 것을 탐지(探知)할 수 있다. 이러한 관찰(觀察)은 정보(情報)의 선택제공(選擇提供)시스팀이 현재(現在) 필요(必要)로 하는 정보(情報)의 만족(滿足)을 위하여는 효과적(效果的)으로 매우 융통성(融通性)을 띠어야 한다는 것을 암시(暗示)하는 것이다. 본고(本稿)의 시리이즈에 기술(記述)된 전정보유통(全情報流通) 과정(過程)의 재검토(再檢討) 결과(結果)는 과학자(科學者)들이 항상 그들의 요구(要求)를 조화(調和)시키는 신축성(伸縮性)있는 유통체제(流通體制)를 발전(發展)시켜 왔다는 것을 시사(示唆)해 주고 있다. 이 시스팀은 정보전파(情報傳播) 사항(事項)을 중심(中心)으로 이루어 지며 또한 이 사항(事項)의 대부분(大部分)의 참여자(參與者)는 자기자신(自己自身)이 과학정보(科學情報) 전파자(傳播者)라는 기본적(基本的)인 정보전파체제(情報傳播體制)인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過程)의 유통행위(流通行爲)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는 대부분(大部分)의 정보전파자(情報傳播者)가 역시 정보(情報)의 동화자(同化者)-다시 말해서 과학정보(科學情報)의 생산자(生産者)는 정보(情報)의 이용자(利用者)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硏究)에서 전형적(典型的)인 과학자((科學者)는 과학정보(科學情報)의 생산(生産)이나 전파(傳播)의 양자(兩者)에 연속적(連續的)으로 관계(關係)하고 있음을 보았다. 만일(萬一) 연구자(硏究者)가 한 편(編)의 연구(硏究)를 완료(完了)한다면 이 연구자(硏究者)는 다음에 무엇을 할 것이냐 하는 관념(觀念)을 갖게 되고 따라서 "완료(完了)된" 연구(硏究)에 관한 정보(情報)를 이용(利用)하여 동시(同時)에 새로운 일을 시작(始作)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한 과학자(科學者)가 동일(同一) 영역(領域)의 다른 동료연구자(同僚硏究者)에게 완전(完全)하며 이의(異議)에 방어(防禦)할 수 있는 보고서(報告書)를 제공(提供)할 수 있는 단계(段階)에 도달(到達)하였다면 우리는 이 과학자(科學者)가 정보유통과정(情報流通過程)에서 많은 역할(役割)을 해낼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즉 이 과학자(科學者)는 다른 과학자(科學者)들에게 최신(最新)의 과학적(科學的) 결과(結果)를 제공(提供)할 때 하나의 과학정보(科學情報) 전파자(傳播者)가 되며, 이 연구(硏究)의 의의(意義)와 타당성(妥當性)에 관한 논평(論評)이나 비평(批評)을 동료(同僚)로부터 구(求)하는 관점(觀點)에서 보면 이 과학자(科學者)는 하나의 정보탐색자(情報探索者)가 된다. 또한 장래(將來)의 이용(利用)을 위하여 증정(贈呈)이나 동화(同化)한 이 정보(情報)로부터 피이드백을 받아 드렸을 때의 범주(範疇)에서 보면 (잡지(雜誌)에 투고(投稿)하기 위하여 원고(原稿)를 작성(作成)하는 경우에 있어서와 같이) 과학자(科學者)는 하나의 정보이용자(情報利用者)가 되고 이러한 모든 가능성(可能性)에서 정보생산자(情報生産者)는 다음 정보생산(情報生産)에 이미 들어가 있다고 볼 수 있다(저자(著者)들의 2/3는 보문(報文)이 게재(揭載)되기 전(前)에 이미 새로운 연구(硏究)를 시작(始作)하였다). 과학자(科學者)가 자기연구(自己硏究)를 마치고 예비보고서(豫備報告書)를 만든 후(後) 자기연구(自己硏究)에 관한 정보(情報)의 전파(傳播)를 계속하게 되는데 이와 관계(關係)되는 일반적(一般的)인 패턴을 보면 소수(少數)의 동료(同僚)그룹에 출석(出席)하는 경우 (예로 지역집담회)(地域集談會))와 대중(大衆) 앞에서 행(行)하는 경우(예로 국가적 회합(國家的 會合)) 등이 있다. 그러는 동안에 다양성(多樣性) 있는 성문보고서(成文報告書)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과학자(科學者)들이 자기연구(自己硏究)를 위한 주정보전파목표(主情報傳播目標)는 과학잡지중(科學雜誌中)에 게재(揭載)되는 보문(報文)이라는 것이 명확(明確)한 사실(事實)인 것이다. 이러한 목표(目標)에 도달(到達)할 때까지의 각(各) 정보전파단계(情報傳播段階)에서 과학자(科學者)들은 목표달성(目標達成)을 위하여 청중(聽衆), 자기동화(自己同化)된 정보(情報) 및 이미 이용(利用)된 정보(情報)로부터 피이드백을 탐색(探索)하게 된다. 우리가 본고(本稿)의 시리이즈중(中)에 표현(表現)하려 했던 바와 같이 이러한 활동(活動)은 조사수임자(調査受任者)의 의견(意見)이 원고(原稿)에 반영(反映)되고 또 그 원고(原稿)가 잡지게재(雜誌揭載)를 위해 수리(受理)될 때까지 계속적(繼續的)으로 정보(情報)를 탐색(探索)하는 과학자(科學者)나 기타(其他)사람들에게 효과적(效果的)이었다. 원고(原稿)가 수리(受理)되면 그 원고(原稿)의 저자(著者)들은 그 보문(報文)의 주내용(主內容)에 대하여 적극적(積極的)인 정보전파자(情報傳播者)로서의 역할(役割)을 종종 중지(中止)하는 일이 있는데 이때에는 저자(著者)들의 역할(役割)이 변화(變化)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이 저자(著者)들은 일시적(一時的)이긴 하나 새로운 일을 착수(着手)하기 위하여 정보(情報)의 동화자(同化者)를 찾게 된다. 또한 전(前)에 행한 일에 대한 의견(意見)이나 비평(批評)이 새로운 일에 영향(影響)을 끼치게 된다. 동시(同時)에 새로운 과학정보생산(科學情報生産) 과정(過程)에 들어가게 되고 현재(現在) 진행중(進行中)이거나 최근(最近) 완료(完了)한 연구(硏究)에 대한 정보(情報)를 항상 찾게 된다. 활발(活潑)한 연구(硏究)를 하는 과학자(科學者)들에게는, 동화자(同化者)로서의 역할(役割)과 전파자(傳播者)로서의 역할(役割)을 분리(分離)시킨다는 것은 실제적(實際的)은 못된다. 즉 후자(後者)를 완성(完成)하기 위해서는 전자(前者)를 이용(利用)하게 된다는 것이다. 과학자(科學者)들은 한 단계(段階)에서 한 전파자(傳播者)로서의 역할(役割)이 뚜렷하나 다른 단계(段階)에서는 정보교환(情報交換)이 기본적(基本的)으로 정보동화(情報同化)에 직결(直結)되고 있는 것이다. 정보전파자(情報傳播者)와 정보동화자간(情報同化者間)의 상호관계(相互關係)(또는 정보생산자(情報生産者)와 정보이용자간(情報利用者間))는 과학(科學)에 있어서 하나의 필수양상(必修樣相)이다. 과학(科學)의 유통구조(流通構造)가 전파자(傳播者)(이용자(利用者)로서의 역할(役割)보다는)의 필요성(必要性)에서 볼 때 복잡(複雜)하고 다이나믹한 시스팀으로 구성(構成)된다는 사실(事實)은 과학(科學)의 발전과정(發展過程)에서 필연적(必然的)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사실(事實)은 과학정보(科學情報)의 전파요원(傳播要員)이 국가적 회합(國家的 會合)에서 자기연구(自己硏究)에 대한 정보(情報)의 전파기회(傳播機會)를 거절(拒絶)하고 따라서 전파정보(電波情報)를 판단(判斷)하고 선별(選別)하는 것을 감소(減少)시키며 결과적(結果的)으로 잡지(雜誌)나 단행본(單行本)에서 비평(批評)을 하고 추고(推敲)하는 것이 배제(排除)될 때는 유형적(有形的) 과학(科學)은 급속(急速)히 비과학성(非科學性)을 띠게 된다는 것을 Lysenko의 생애(生涯)에 대한 Medvedev의 기술중(記述中)[7]에 지적(指摘)한 것과 관계(關係)되고 있다.

  • PDF

Showing Filial Piety: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과시된 효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인왕선영도(仁旺先塋圖)> 연구)

  • Lee, Jaeho
    • MISULJARYO - National Museum of Korea Art Journal
    • /
    • v.96
    • /
    • pp.123-154
    • /
    • 2019
  •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is a ten-panel folding screen with images and postscripts. Commissioned by Bak Gyeong-bin (dates unknown), this screen was painted by Jo Jung-muk (1820-after 1894) in 1868. The postscripts were written by Hong Seon-ju (dates unknow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restored this painting, which had been housed in the museum on separate sheets, to its original folding screen format. The museum also opened the screen to the public for the first time at the special exhibition Through the Eyes of Joseon Painters: Real Scenery Landscapes of Korea held from July 23 to September 22, 2019.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depicts real scenery on the western slopes of Inwangsan Mountain spanning present-day Hongje-dong and Hongeun-dong in Seodaemun-gu, Seoul. In the distance, the Bukhansan Mountain ridges are illustrated. The painting also bears place names, including Inwangsan Mountain, Chumohyeon Hill, Hongjewon Inn, Samgaksan Mountain, Daenammun Gate, and Mireukdang Hall. The names and depictions of these places show similarities to those found on late Joseon maps. Jo Jung-muk is thought to have studie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marked on maps so as to illustrate a broad landscape in this painting. Field trips to the real scenery depicted in the painting have revealed that Jo exaggerated or omitted natural features and blended and arranged them into a row for the purposes of the horizontal picture plane. Jo Jung-muk was a painter proficient at drawing conventional landscapes in the style of the Southern School of Chinese painting. Details in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reflect the painting style of the School of Four Wangs. Jo also applied a more decorative style to some areas. The nineteenth-century court painters of the Dohwaseo(Royal Bureau of Painting), including Jo, employed such decorative painting styles by drawing houses based on painting manuals, applying dots formed like sprinkled black pepper to depict mounds of earth and illustrating flowers by dotted thick pigment. Moreover,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shows the individualistic style of Jeong Seon(1676~1759) in the rocks drawn with sweeping brushstrokes in dark ink, the massiveness of the mountain terrain, and the pine trees simply depicted using horizontal brushstrokes. Jo Jung-muk is presumed to have borrowed the authority and styles of Jeong Seon, who was well-known for his real scenery landscapes of Inwangsan Mountain. Nonetheless, the painting lacks an spontaneous sense of space and fails in conveying an impression of actual sites. Additionally, the excessively grand screen does not allow Jo Jung-muk to fully express his own style. In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the texts of the postscripts nicely correspond to the images depicted. Their contents can be divided into six parts: (1) the occupant of the tomb and the reason for its relocation; (2) the location and geomancy of the tomb; (3) memorial services held at the tomb and mysterious responses received during the memorial services; (4) cooperation among villagers to manage the tomb; (5) the filial piety of Bak Gyeong-bin, who commissioned the painting and guarded the tomb; and (6) significance of the postscripts. The second part in particular is faithfully depicted in the painting since it can easily be visualized. According to the fifth part revealing the motive for the production of the painting, the commissioner Bak Gyeongbin was satisfied with the painting, stating that "it appears impeccable and is just as if the tomb were newly built." The composition of the natural features in a row as if explaining each one lacks painterly beauty, but it does succeed in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geomantic topography of the gravesite. A fair number of the existing depictions of gravesites are woodblock prints of family gravesites produced after the eighteenth century. Most of these are included in genealogical records and anthologies. According to sixteenth- and seventeenth-century historical records, hanging scrolls of family gravesites served as objects of worship. Bowing in front of these paintings was considered a substitute ritual when descendants could not physically be present to maintain their parents' or other ancestors' tombs. Han Hyo-won (1468-1534) and Jo Sil-gul (1591-1658) commissioned the production of family burial ground paintings and asked distinguished figures of the time to write a preface for the paintings, thus showing off their filial piety. Such examples are considered precedents for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Hermitage of the Recluse Seokjeong in a private collection and Old Villa in Hwagae County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re not paintings of family gravesites. However, they serve as references for seventeenth-century paintings depicting family gravesites in that they are hanging scrolls in the style of the paintings of literary gatherings and they illustrate geomancy. As an object of worship,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recalls a portrait. As indicated in the postscripts, the painting made Bak Gyeong-bin "feel like hearing his father's cough and seeing his attitudes and behaviors with my eyes." The fable of Xu Xiaosu, who gazed at the portrait of his father day and night, is reflected in this gravesite painting evoking a deceased parent. It is still unclear why Bak Gyeong-bin commissioned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to be produced as a real scenery landscape in the folding screen format rather than a hanging scroll or woodblock print, the conventional formats for a family gravesite paintings. In the nineteenth century, commoners came to produce numerous folding screens for use during the four rites of coming of age, marriage, burial, and ancestral rituals. However, they did not always use the screens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these rites. In the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the real scenery landscape appears to have been emphasized more than the image of the gravesite in order to allow the screen to be applied during different rituals or for use to decorate space. The burial mound, which should be the essence of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might have been obscured in order to hide its violation of the prohibition on the construction of tombs on the four mountains around the capital. At the western foot of Inwangsan Mountain, which was illustrated in this painting, the construction of tombs was forbidden. In 1832, a tomb discovered illegally built on the forbidden area was immediately dug up and the related people were severely punished. This indicates that the prohibition was effective until the mid-nineteenth century. The postscripts on the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document in detail Bak Gyeong-bin's efforts to obtain the land as a burial site. The help and connivance of villagers were necessary to use the burial site, probably because constructing tombs within the prohibited area was a burden on the family and villagers. Seokpajeong Pavilion by Yi Han-cheol (1808~1880), currently housed at the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is another real scenery landscape in the format of a folding screen that is contemporaneous and comparable with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In 1861 when Seokpajeong Pavilion was created, both Yi Han-cheol and Jo Jung-muk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a portrait of King Cheoljong. Thus, it is highly probable that Jo Jung-muk may have observed the painting process of Yi's Seokpajeong Pavilion. A few years later, when Jo Jungmuk was commissioned to produce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his experience with the impressive real scenery landscape of the Seokpajeong Pavilion screen could have been reflected in his work. The difference in the painting style between these two paintings is presumed to be a result of the tastes and purposes of the commissioners. Since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contains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a real scenery landscape and family gravesite, it seems to have been perceived in myriad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viewer's level of knowledge, closeness to the commissioner, or viewing time. In the postscripts to the painting, the name and nickname of the tomb occupant as well as the place of his surname are not recorded. He is simply referred to as "Mister Bak." Biographical information about the commissioner Bak Gyeong-bin is also unavailable. However, given that his family did not enter government service, he is thought to have been a person of low standing who could not become a member of the ruling elite despite financial wherewithal. Moreover, it is hard to perceive Hong Seon-ju, who wrote the postscripts, as a member of the nobility. He might have been a low-level administrative official who belonged to the Gyeongajeon, as documented in the Seungjeongwon ilgi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the Joseon Dynasty). Bak Gyeong-bin is presumed to have moved the tomb of his father to a propitious site and commissioned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to stress his filial piety, a conservative value, out of his desire to enter the upper class. However, Ancestral Burial Ground on the Inwangsan Mountain failed to live up to its original purpose and ended up as a contradictory image due to its multiple applications and the concern over the exposure of the violation of the prohibition on the construction of tombs on the prohibited area. Forty-seven years after its production, this screen became a part of the collection at the Royal Yi Household Museum with each panel being separated. This suggests that Bak Gyeong-bin's dream of bringing fortune and raising his family's social status by selecting a propitious gravesite did not come 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