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망

Search Result 46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utomatic Creating Inference net method in Expert System (전문가 시스템에서 추론망 자동 생성 기법)

  • 김찬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05a
    • /
    • pp.135-139
    • /
    • 2002
  • 전문가 시스템은 여려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그 문제점 중 하나로 전문가로부터 지식을 추출해 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들이 있다. 즉, 전문가로부터의 지식들을 추출하여 그것들을 지식 베이스화하는 작업과 그 지식을 추론할 수 있도록 추론 망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비록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한다고 하여도 규칙화 된 추론망을 구성하는 데는 시간적 요소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인적 자원이 많이 소모되므로 전문가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가는 단순히 자신이 가진 단편적인 지식들의 특징들을 입력하고, 이 특징들로부터 지식을 추출하여 지식 베이스화하고, 이를 이용한 추론망 구성을 자동 추론망 생성 시스템이 대신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실제 구성된 추론망은 규칙 기반의 추론 망으로 구성하여 지식 베이스화 한다.

  • PDF

An Efficient Enterprise Knowledge Portal System Model in Partitioned Network Environment (네트워크 분리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지식행정시스템 모델)

  • Cho, Sung-Ho;Son, Ji-Seong;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d
    • /
    • pp.202-207
    • /
    • 2010
  • 정부의 지식행정시스템은 2001년 도입 이래 그 동안 각 기관의 실정에 맞게 많은 발전을 거쳐 사용자들이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시스템으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최근 정보보안(내부 자료 유출 방지, 해킹 피해 최소화 등)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네트워크를 업무망과 인터넷망으로 분리하는 네트워크 분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서 지식행정시스템은 시스템 분할의 기준이 없어 일방적으로 업무망에만 설치되는데 이렇게 될 경우 지식행정시스템의 일부 기능이 제한되고 사용자의 사용성이 떨어지며 외부 사용자는 접근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정보보안 강화라는 네트워크 분리의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업무망에 있는 지식행정시스템을 업무망과 인터넷망에 분할하여 설치하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한데, 기존에 제안된 분할 방법은 분할 목적이 다름으로 인해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분리 환경에 맞는 새로운 시스템 분할 요인으로 외부사용자 참여도, 내부시스템 결합도, 인터넷 결합도를 제시하고 요인별 측정치에 따른 위치를 결정하여 네트워크 분할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지식행정시스템 모델을 제안하고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식행정시스템에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지식행정시스템 모델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분리환경에 따라 발생한 시스템의 제한된 기능의 정상화가 가능하고, 불가능했던 외부 사용자의 접근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불편함을 완화시킬 수 있다.

  • PDF

The Empirical Analysis for the Knowledge Network between Regions (지역간 지식연계망에 대한 실증적 고찰 - IMF 외환위기 기간(1996-2001)을 중심으로-)

  • Kim Yo Eun;Won Dong-Kyu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8 no.1
    • /
    • pp.31-5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ole of the inter-regional knowledge network in the knowledge based economic development of regions, using regional data collected over the IMF financial crisis between 1996 and 2001. In particular, the major questions about the inter-regional knowledge network in terms of regional innovation are as follows. First, how can be distinguished the inter-regional knowledge networks among the regions? Secondly,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 object economy and the inter-regional knowledge network? To answer rho questions listed above, the social network analysis is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intra-regional knowledge linkage structure and the change of the real object economy. For the empirical analyses, regional labour data for 16 Metropolitan Areas(Si) and Provinces(Do) from 1996 to 2001 are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the inter-regional knowledge linkage and a rate of economic growth of the real object economy and tha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nsity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inter-regional knowledge linkage and the rate.

  • PDF

Construction of Knowledge Base for Question/Answering on Internet (인터넷 질의/응답을 위한 지식베이스 구축)

  • 장문수;장명길;김현진;오효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6a
    • /
    • pp.198-202
    • /
    • 2000
  • 차세대 검색 엔진의 모형으로 일컬어지는 질의/응답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보다 정확하고 유연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념망에 기반한 지식베이스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개념망에 속성 구조를 추가한 확장 개념망과 속성에 의해 분류되는 정답문서 집합으로 구성되는 지식베이스를 이용한 질의/응답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지식베이스에서 정의한 속성은 질의/응답에서 정답문서를 효과적으로 연계시켜 사용자에게 보다 유연한 정답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경제 분야의 지식베이스의 활용 예를 설명한다.

  • PDF

Social Network Approach for Sharing Knowledge: How Ca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s Support for Sharing Knowledge? (지식 공유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접근법 : 어떻게 소셜 네트워크의 구조와 특징이 지식 공유를 지원하는가?)

  • Lee, Je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7 no.2
    • /
    • pp.61-74
    • /
    • 2010
  • The knowledge sharing in a knowledge management process is much affecting genera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Especially, the knowledge distribution is being revitalized with the center of social media service like twitter and library service 2.0 in the knowledge-based IT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The present research analyze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a social network inside an organization that is growing like an organism through self-organization through tools for SNA (Social Network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1) a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s structure and knowledge sharing, 2) a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holes and knowledge sharing influence of centrality, 3) a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bility and knowledge sharing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work recognition.

Automatic Expansion of ConceptNet by Using Neural Tensor Networks (신경 텐서망을 이용한 컨셉넷 자동 확장)

  • Choi, Yong Seok;Lee, Gyoung Ho;Lee, Kong Joo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5 no.11
    • /
    • pp.549-554
    • /
    • 2016
  • ConceptNet is a common sense knowledge base which is formed in a semantic graph whose nodes represent concepts and edges show relationships between concepts. As it is difficult to make knowledge base integrity, a knowledge base often suffers from incompleteness problem. Therefore the quality of reasoning performed over such knowledge bases is sometimes unreliable. This work presents neural tensor networks which can alleviate the problem of knowledge bases incompleteness by reasoning new assertions and adding them into ConceptNet. The neural tensor networks are trained with a collection of assertions extracted from ConceptNet. The input of the networks is two concepts, and the output is the confidence score, telling how possible the connection between two concepts is under a specified relationship. The neural tensor networks can expand the usefulness of ConceptNet by increasing the degree of nodes. The accuracy of the neural tensor networks is 87.7% on testing data set. Also the neural tensor networks can predict a new assertion which does not exist in ConceptNet with an accuracy 85.01%.

중국의 과학기술연구망(CSTNet) 소개

  • Hwang, Il-Seon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2
    • /
    • pp.45-47
    • /
    • 2000
  • 중국 과학기술연구망(CSNet)은 비영리망이며, 공익성을 추구할 뿐만 아니라 국가지식창조를 이루는 기초 네트워크시스템이다.

  • PDF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Korean Semantic-Network based on Korean Dictionary (사전을 기반으로 한 한국어 의미망 구축과 활용)

  • 최호섭;옥철영;장문수;장명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448-450
    • /
    • 2002
  • 시소러스 의미망, 온톨로지 등과 같은 지식베이스는 자연언어처리와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언어자원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정보검색, 기계번역과 같은 특정 분야마다 다르게 구축되어 이러한 지식베이스는 실질적인 한국어 처리에는 크게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한국어를 대상으로 한 시소러스, 의미망의 등의 구축 방법론적 문제를 지적하고 말뭉치를 중심으로 한 텍스트 언어처리에 필요한 의미망의 구축 방법과 포괄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한다. 의미망 구축의 기반이 되는 지식은 각종 사전(dictionary)를 이용했으며, 구축하고 있는 의미망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ETRI의 의미기반 정보검색과 언어처리의 큰 문제 중 하나인 단어 중의성 해소(WSD)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살핀다. 그리하여 언어자인의 처리 방안 중의 하나인 의미망을 구축함으로써 언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본적이면서 중요한 어휘 데이터베이스 마련과 동시에 언어자원 구축의 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Framework for Knowledge Propagation Analysis using Social Network (사회연결망을 이용한 지식전파 분석의 프레임워크)

  • Hwang, Hyun-Seo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9 no.6
    • /
    • pp.97-106
    • /
    • 2014
  • A company regards knowledge shared and used within a corporate organization as intellectual capital linked to corporate competences. A great deal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e past to identify knowledge sharing among knowledge workers. Some papers focus on information technology for automated, efficient, and explicit knowledge sharing. Other papers emphasize the role of social networks to identify the flow of tacit knowledge. Though the role of CoP(Community of Practice) is emphasized to facilitate knowledge management among workers, it is not an easy task to identify the potential members of CoP without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workers. In this study we adopt a social network approach to analyze knowledge propagation and to identify the potential members of CoP. We suggest a framework for classifying knowledge workers and the result of feasibility study.

베이지안 망을 이용한 온톨로지의 구축에 관한 연구

  • Jang, Seong-Won;Lee, Geon-Cha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288-293
    • /
    • 2008
  • 의미적 지식기반인 온톨로지(ontolog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온톨로지란 어휘나 개념의 정의 또는 명세로서, 인간과 컴퓨터의 의사소통 또는 지식의 표현과 저장, 활용 및 재사용을 위해 이용된다. 그러나 온톨로지를 구축하는 대부분의 방법은 체계적이거나 자동적이지 못하다. 도메인 전문가에 의존하는 전통적인 온톨로지 구축 방법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온톨로지 구축 툴은 많이 있지만 아직 인간의 노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변화하는 도메인 지식을 온톨로지에 신속하게 반영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도메인 전문가의 지식이나 경험을 최소화하면서 자동적으로 도메인 지식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데이터 기반의 도메인 지식을 대상으로, 베이지안 망(Bayesian network)이 갖고 있는 데이터 분석에서의 장점과 온톨로지와의 관련성을 이용하여 온톨로지를 자동적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평판(flat panel) TV 경기예측 사례를 통하여 온톨로지를 구축하는 과정을 알아보았다. 구축과정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산업 전문가들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온톨로지를 완성하고, 해당 온톨로지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멤버체크를 한 결과 매우 높은 타당성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온톨로지는, 실제로 산업경기 예측을 계획하고 구축하며 미래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인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