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식관리체계

검색결과 669건 처리시간 0.027초

연구문헌의 지식구조를 반영하는 의미기반의 지식조직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Organizing System of Research Papers Based on Semantic Relation of the Knowledge Structure)

  • 고영만;송인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5-170
    • /
    • 2011
  • 본 연구는 연구문헌의 지식구조를 반영하는 의미기반 지식조직체계의 실험적 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기초학문자료센터에 대한 사례분석을 하였다. 기초학문자료센터 연구성과물 DB와 학술용어 DR의 개념클래스 및 인스턴스를 대상으로 연구문헌의 지식구조를 파악하였으며, 기초학문자료센터 시스템의 학술적 이해형성 기능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문헌의 지식구조와 색인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지식구조와 색인어의 관계구조, 26개의 연구문헌 지식구조 공리 및 11개의 의미관계 추론규칙으로 구성되는 온톨로지 모형, 즉 연구문헌의 지식구조와 그 의미관계에 의한 실험적 지식조직체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식관리 비전과 시사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Knowledge Management Vision and Implications of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 이향수;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29-3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식관리사례를 분석하여, 지식관리 비전과 추진조직 및 지식관리활동체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정부부문의 성공적인 지식관리를 추진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문화체육관광부의 경우 매년 매일경제신문사와 행정안전부가 공동주관하는 "2018년 지식대상" 평가에서 정부부문 중지식관리 활동을 훌륭하게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은 기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관광부의 지식관리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정부부문의 지식관리에 대한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우선 지식관리 비전 및 전담조직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다. 또한 지식관리시스템을 통해 효과적으로 지식을 획득하고 공유, 축적하여 조직구성원들이 활용하도록 하고 있었다. 아울러 지식관리활동에 대한 적절한 보상체계 역시 중요한 성공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식관리 활동을 독려할 수 있도록 공공 기관 등에서는 지식공유 활동에 대한 경제적 보상제도 및 인사가점 등의 유인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연구 프로세스 기반 지식관리 프레임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uilding Up Process-based Knowledge Management Framework in Research Institute)

  • 최희윤
    • 정보관리연구
    • /
    • 제36권2호
    • /
    • pp.73-98
    • /
    • 2005
  • 지식 혹은 기술을 중심으로 연구개발 등 업무 프로세스가 이루어지는 연구소에서 지식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연구개발은 조직의 성장 엔진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식 및 경험을 유기적으로 통합 공유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과정인 업무 자체가 지식관리 프로세스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프로세스 기반 지식관리 프로세스를 도출하고, 실제로 이러한 체계의 지식관리를 추진하고 있는 포스코경영연구소의 사례 연구를 통해 지식관리의 실천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지털도서관의 지식펌프형 지식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nowledge-Pump-Type Knowledge Management in Digital Libraries)

  • 최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4호통권50호
    • /
    • pp.211-232
    • /
    • 2003
  • 본 연구는 다양한 유형의 지식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된 지식체계의 구축을 위해 확장된 도서관의 개념으로 접근한 디지털도서관의 통합형 지식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위한 기본적인 프레임워크를 지식펌프형 지식관리 모형으로 구현하였다. 아울러 구현된 모형을 토대로 한 복수사례분석을 통해 디지털도서관의 지식관리 수준을 평가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식펌프는 지식의 적극적인 획득과 배포라는 디지털도서관의 이상적인 역할을 구현한 것이며, 정보기술의 기능적 적용에 머물러 있던 디지털도서관이 지식관리를 통해 그 영역 및 역할을 확장해 나갈 수 있는 논리적 근거와 확장방향은 물론. 실천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SPEM 기반 개발방법론 지원도구, PRiME (Implementing SPEM-based Methodology Support Tool, PRiME(Process innovation & Methodology Enhancement))

  • 최윤정;하수정;김진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85-288
    • /
    • 2005
  • 개발방법론 지원도구는 개발 프로세스 정의, 방법론 참조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지원해 주는 도구가 출시되어 있으나, 최신 기술을 바로 적용하거나 프로젝트의 수행 결과 획득된 지식을 전사적 차원에서 공유하거나 조직의 개발 프로세스 향상을 위한 정량적인 관리 활동을 지원하는 기능은 전반적으로 미흡한 형편이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개발자 자신이 개발해야 하는 제품, 자신의 조직, 자신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 등과 같은 상황적 요소에 기반하여 다양한 시스템 개발 체계를 쉽게 정의, 조정 및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구(PRiME)를 개발하고자 한다. 즉, 방법론 관리, 프로젝트 관리 및 자산 관리를 개발방법론 지원도구의 기본 기능으로 하며 이에 기반하여 시스템 개발 지식의 재사용을 위한 체계적인 지식관리 기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 PDF

고층건축공사를 위한 가설계획 지식의 체계화 방법 (Knowledge Reorganization Method of Temporary Facility Planning for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s)

  • 김완수;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411-414
    • /
    • 2002
  • 도심의 고밀화에 의한 건설 프로젝트는 고층화${\cdot}$대형화${\cdot}$복합화 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건설 프로젝트는 관리자나 기술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는 후진적인 관리체계와 건설관련 지식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층건축공사에서 가설계획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가설계획자의 효율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도록 가설계획과 관련된 가설시설물의 지식 및 제한조건을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가설계획 및 가설시설물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가설계획 프로세스를 분석한다. 둘째, 도심의 고층건축공사현장의 가설계획 방법과 문제점을 조사한다. 셋째, 가설계획 지식의 범위 및 수립과정을 제시한다. 이러한 결과물을 정리하여 가설시설물간의 선정, 설치, 가동, 해체 과정의 단계별로 관련 지식을 체계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공정관리 지식기반 구축을 위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for Accumulating Scheduling Knowledge-Base)

  • 장세한;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83-91
    • /
    • 2001
  • 1990년 중반부터 지식(Knowledge)은 국가 및 기업 경쟁력의 원천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건설기업의 공정관리는 건설기업의 핵심 역량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국내 건설기업은 공정관리에 대한 지식을 체계적으로 저장,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건설기업의 공정관리 지식기반화에 대한 수준은 공정관리 지식기반 인프라 구축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상위 건설기업 조차도 공정관리 지식 활동 단계의 초기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는 공정관리 지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재, 관련 절차의 부재가 원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업의 공정관리 지식기반화의 문제점을 분석한 후, 건설기업 차원에서 현행 공정관리 표준 절차서의 내용에 공정관리 지식기반 인프라 요소와 공정관리 지식 활동 요소를 보안할 수 있는 공정관리 지식기반화를 위한 공정관리 절차서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인 공정관리 지식기반화를 위한 절차서 모델을 통해, 국내 건설기업이 공정관리 지식 활동의 절차를 마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추후 국내 건설기업의 건설통합시스템 및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과의 연계를 위한 공정관리 지식 기반의 구축의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정보통신기술 기반 지식정보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한 한국 정부 조직 혁신에 관한 탐구: 외교부를 중심으로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the Korean Government via an ICT-based IKM Framework: A focus on the MOFA)

  • 이진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11-241
    • /
    • 2023
  •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은 기업과 조직의 운영시스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다수의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정보 및 지식관리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외교부는 지난 20년간 지식정보관리 관련 시스템의 많은 부분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나, 그에 맞는 전략을 분석하기 위한 기존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인터뷰 및 외교부 내부 혁신 보고서 분석을 통해 현재 한국 외교부의 지식정보관리의 개념과 제약 사항을 진단하고, 외교부가 조직의 양면성 역량과 수용능력을 강화하여, 조직 혁신을 촉진하는 지식정보 관리체계를 제공하는 방법을 평가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외교부의 지식정보관리는 디지털 기술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동적인 역량을 갖추고 있으나, 본질적인 내부의 한계(기밀 문서 처리구조, 지식정보관리 관련 협업체계 부재)와 외부의 한계(국내 정치 상황, 정부 조직의 위계질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내부적 한계와 외부적 요인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조직의 양면성 역량과 수용능력 증진을 통해 외교부가 조직 혁신을 위한 지식정보관리 체계를 개발해야 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이를 위해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IKM 시스템 개발을 위한 이후의 세부 연구에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비한 직군 간 대화와 직원 역량 강화 방안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건설현장의 안전 네트워크 분석 및 개선방안 (An Analysis on the Safety Networks in Construction Site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 신원상;손창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01-110
    • /
    • 2018
  • 건설업의 안전사고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인 증가추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현장관리자 및 근로자들의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안전관리 활동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 선행연구들에서는 현재 건설현장의 규모별 안전 조직체계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이들의 안전지식 및 업무수행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명확히 파악한 연구가 미흡하다. 특히, 이들의 안전지식 공유 및 안전업무 협력체계가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건설현장의 일반화된 안전 조직체계를 현장규모별로 도출하고, SNA 기법을 통해 구성원들의 안전지식 및 협력체계를 분석하여 향후 건설현장의 효율적인 안전관리 체계구축을 위한 실무 자료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