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관리체계

Search Result 66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Domain Knowledge Development of Expert System for the Project Management in the Defense Information Systems (국방정보체계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의 도메인 지식 개발에 관한 연구)

  • 김화수;문세진;장호석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5 no.2
    • /
    • pp.43-61
    • /
    • 1999
  • 국방정보체계는 종류가 다양하고 대규모로 추진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사업관리에 어려움이 많이 따른다. 더구나, 현재 국방정보체계의 사업관리는 자동화시스템을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실시하지 않고 수동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고 현재의 소프트웨어 개발 표준인 ISO 12207을 수정 없이 그대로 대규모 실시간 국방정보체계의 소프트웨어 개발사업에 적용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효율적인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관리를 위해서 국방정보체계별로 적절한 개발 생명주기 모델을 선정하고, 각 단계별로 사업관리자가 수행할 태스크를 식별하는 등의 도메인 지식을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국방정보체계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할 때 활용함과 동시에 국방정보체계 사업관리의 일환으로 최종 산출물에 대한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시험평가 방안에 대한 도메인 지식도 개발하여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 구축 시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국방정보체계의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식별하고 이를 이용하여 국방정보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관리를 위한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생명주기 모델 선정을 위한 도메인 지식, 생명주기 각 단계별 세부활동을 위한 도메인 지식, 시험평가 방안선정을 위한 도메인 지식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도메인 지식을 전문가 시스템 개발도구에서 지원되는 각종 에디터에 사용되는 형태나 IF A, THEN B 형태로 개발하지 않고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의 지식베이스에 포함될 지식들을 식별하는 것을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즉, 본 논문에서는 국방정보체계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검증하는 용역연구과제로써 프로토타입 혹을 완벽한 사업관리용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한 것이 아니며, 전문가 시스템 개발 시 가장 어렵고 중요한 지식베이스 모듈속에 포함될 도메인 지식을 개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도메인 지식이 국방정보체계의 사업관리를 위한 전문가 시스템의 지식베이스 모듈 구축 시 기초/기반 및 핵심 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f Knowledge Evaluation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건설산업 지식평가 방안 연구)

  • Jung Bo-Gun;Lee Tai-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515-518
    • /
    • 2002
  • KM(Knowledge Management) is factor more paradigm of period than survival factor. Stewart, Sveiby etc., a scholar was Present to definition, knowledge classification and measurement method.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was made by scholar theory. But, it is hardly adapt to construction industry. Because it is have property that construction industry have one product, recieve-industry etc. Therefore, we must knowledge classification and measurement method that property of construction industry. So, we can effectively manage to knowledge of construction industry. And, knowledge of construction industry will evaluate according to property. Measure method of construction company will find through benchmarking that measure method of construction company is analyze to case.

  • PDF

A Study on Knowledge Management Model of Library Based on Knowledge Ecology (지식생태학 관점에서 본 도서관의 지식관리 모형 연구)

  • Choi, Hee-Y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0 no.1
    • /
    • pp.397-416
    • /
    • 2006
  •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knowledge management framework of library, supposed that library becomes an integrated knowledge system offering various types of knowledge. Knowledge management of library based on knowledge ecology justifies the logical and physical roles of library, as the sustainer of the knowledge ecosystem in which all the types of social factors consisting of knowledge ecosystem are Interacting to continuously circulate knowledge. The library as the center of knowledge ecosystem should make sure the systemized environment in which knowledge producer is supported to timely distribute knowledge to knowledge consumer through information professional accomplishing the role of knowledge facilitator.

Construction of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for Sharing and Usage of Knowledge : a Case Study in KAERI (지식의 공유 및 활용을 위한 지식분류체계 설계방안 - 한국원자력연구소를 중심으로)

  • Yoo, Jae-Bok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5 no.1
    • /
    • pp.1-27
    • /
    • 2004
  • To share knowledge efficiently among our members on the basis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irst of all, we need to systematically design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that we can classify these knowledge wel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most suitabl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that all of us can share them in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To construct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all over the our organization, we established a few principles to design it and examined related many classification schemes. And I carried out 3 steps to complete the best desirable KAERI's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that is, (1) the step to design a draft of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2) the step to revise a draft of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3) the step to verify the revised scheme and to decide its scheme. The scheme completed as a results of this study is consisted of total 218 items : sections of 8 items, classes of 43 items and sub-classes of 167 items. I expect that the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design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the frame to efficiently share knowledge among our members when we introduc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our organization. In addition, I expect that steps to design its scheme as well as this scheme itself can be applied when design a knowledge classification scheme at the other R&D institutes and enterprises.

Implementation Strategy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건설산업 지식관리체계 구현 전략)

  • 김승균;조문영;정인수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2000.08a
    • /
    • pp.35-47
    • /
    • 2000
  • ■지식관리 이론고찰, 국내ㆍ외 사례분석, 설문 및 면담조사를 통한 문제점 도출 ■문제점 개선을 위한 최종목표 설정 및 다각적 추진방향 제시 ■건설산업 지식관리체계 구현 전략(안) 제시 ■구체적인 방법론 및 프로토타입 시스템 개발은 단계별 연구 (중략)

  • PDF

Development of Integrated Water Resource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수자원 통합지식관리시스템 개발)

  • Lee, Sung-Hack;Kim, Sung;Kim, Hak-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338-342
    • /
    • 2006
  • 최근 들어 수자원관리에 있어서도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참여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수자원과 함께 생태, 환경, 사회, 경제적인 요소의 고려도 요구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기 위하여 수자원관리자들은 통합수자원관리의 실현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수자원관리에 필요한 지식관리시스템(www.water21.net)을 구축하였다. 수자원 통합지식관리시스템에서는 지식을 구조화/체계화하기 위하여 관리계획의 준비, 모델의 구성, 계획의 수립, 계획의 평가 등 4단계로 구성된 프로세스 온톨로지(Ontology)를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수자원관련 지식의 효율적인 유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물 관련 지식의 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버퍼 개념을 도입하고, 지식제공자들과 '물관련 지식공유협약'의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통합수자원관리에는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참여와 생태, 환경, 사회, 경제적 요소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 자원통합 지식관리시스템은 사용자들에게 물관련 정보를 빠르고 체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여줄 것이다. 또한 국가적으로는 물관련 분야의 지식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PDF

Works for the Implement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건설산업의 지식관리체계 구현을 위한 주체별 역할)

  • Jung In-Su;Kim Seung-Kyun;Cho Moon-You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 no.1 s.5
    • /
    • pp.68-77
    • /
    • 2001
  • MOCT(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suggested 'A Plan for Implementation of Knowledge-based Economy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add high value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means of knowledge-based management techniques. However, there are no guidelines which help the bodi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government, research center / university, enterprise, etc) with doing a knowledge management. So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establish the knowledge portal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works, which help the bodi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government, research center/university, enterprise, etc) with doing knowledge activities efficiently.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we analyzed the overall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we suggested an implementing direc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a strategy for implementing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results of this study, we established a strategy of knowledge management and works of the bodi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government, research center / university, enterprise, etc)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manual of the bodi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for implement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and the knowledge portal that brings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high value added industry.

  • PDF

지식경영과 지식관리시스템의 도입

  • 김장윤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1999.07a
    • /
    • pp.383-388
    • /
    • 1999
  • 향후 업무수행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는 정보, 경험, 선진사례의 학습내역을 전사적인 차원에서 체계적이고 용이하게 창출, 수집, 관리하고 활용하는 체계이다.(중략)

  • PDF

Ontology Map Development for Knowledge Management (지식 관리를 위한 온톨로지 맵 개발)

  • Sin, Gwang-Seop;Jeong, Jae-Yun;Lee, U-Gi;Gang, Seok-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417-420
    • /
    • 2004
  • 최근 산업경쟁이 심화되면서 지식은 기업 가치에서 점점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지식을 기업의 자산으로서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확산시키기 위하여 지식관리 시스템이 등장하였다. 본 논문은 문서 검색을 이용하는 지식관리 시스템의 설계를 대상으로 한다. 특히, 지식관리 시스템의 효과적인 문서 검색을 위하여 온톨로지 맵을 구성하고, 지식 검색에 이용하고자 한다. 온톨로지 맵의 구축과 수정 및 확장 방안을 제안하고, 질의에 대해 적합한 문서를 추출하기 위하여 질의어와 온톨로지 맵 간, 온톨로지 맵과 문서간의 유사성을 측정하고 이를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러한 온톨로지 맵을 이용한 지식관리에 관한 연구는 지식의 체계적인 유지 및 확장성뿐 아니라, 지식 검색의 정확성과 유연성을 배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온톨로지 기반의 지식맵 서비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김정민;박철만;정준원;이한준;정호영;민경섭;김형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527-529
    • /
    • 2003
  • 지식관리시스템의 지식 분류 체계가 지식맵이며 이 지식맵을 이용하여 지식 서비스가 제공된다. 그러나 현재의 지식맵은 비표준적인 지식 네트웍 구조와 정적인 분류체계라는 문제를 가진다. 문제 해결 방법은 지식맵에 온틀로지를 적용해서 표준성, 의미 기반의 지식 네트웍 구조. 동적인 지식분류, 자동화된 지식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지식맵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토픽맵 모델을 기반으로 온톨로지를 생성, 저장, 검색하는 효율적인 온톨로지 관리 시스템인 K-Box를 구현하였다. K-Box는 온톨로지 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기능들을 제공하며, 이질적인 저장소들을 일관된 인터페이스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장 장치 독립성을 제공하였다. 또한, 저장 관리되는 모든 온톨로지들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새로운 기법과 사용자 관심을 중심으로 한 온톨로지 검색 지원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여러 온톨로지들을 적용해 봄으로써 K-Box 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