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시의미

Search Result 23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Comparative Analysis of Demonstratives: based on Korean, English, Spanish and Russian text (지시사 대조연구)

  • 김명자;채숙희;조은영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5 no.1
    • /
    • pp.13-24
    • /
    • 2004
  • This paper deals with the anaphoric usage of demonstratives when they refer to what are already mentioned in the context. We examin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choice of demonstratives. As for anaphoric usage, English and Spanish show the even distribution between proximal and distal demonstratives with the meaning of their deictic counterparts. Korean and Russian, however, show the uneven distribution of the more prevalent form (unmarked on) and the lesser one (market one). This study aims at a typological explanation for the anaphoric usage of demonstratives through comparison and contrast with such factors as the distance to the antecedent, cognitive status,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center of attention.

  • PDF

Puzzles of Propositional Attitudes: Zalta's Eclectic Solution (명제 태도의 퍼즐들: Zalta의 타협안)

  • Park, Woo-Su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4.11a
    • /
    • pp.70-81
    • /
    • 1994
  • 뜻 (sense)과 지시체의 구별을 근간으로 하는 프레게류 의미론에 의하면, 같은 지시체를 갖는 이름들의 인지적 의미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그 반면, 프레게의 뜻을 어떤 이름의 지시체를 결정함에 있어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자라 보고 단호히 거부하는 소위 직접 지칭론자들은 문맥에 관계없이 같은 지시체를 갖는 이름들은 동일한 인지적 의미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일단 뜻을 배척하고나면, 명제 태도 문맥에서 왜 같은 지시체를 갖는 이름들이 대치될 수 없는지를 설명하기가 어렵고, 따라서 명제 태도의 퍼즐들은 직접 지칭론의 아킬레스건이 되어 왔다. 최근 Zalta는 다소의 수정을 통해 프레게와 직접 지칭론자 양자의 중요한 통찰들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양자의 관점을 종합하는 것이 가능하며, 실제로 자신의 해결책은 명제 태도의 퍼즐들을 훌륭하게 해결해 준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Zalta의 절충안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선결되어야 할 쟁점들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Anaphoric Usage of Demonstratives (지시사 대용적 용법의 대조연구)

  • Kim, Myung-Ja;Chae, Sook-Hee;Cho, Eun-Young;Lee, Chung-M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3.10d
    • /
    • pp.127-133
    • /
    • 2003
  • 본 연구는 지시사가 문맥에서 이미 언급된 개체를 대용하여 지시하는 문맥지시의 경우에 각 언어별로 어떠한 지시자가 사용되며 이들의 분포는 어떠한 양식을 보이는지를 한국어, 영어, 러시아어, 서반아어를 대상으로 살펴본 것이다. 영어에서는 근칭/원칭 지시사가 직시적인 용법에서의 의미를 비교적 유지하면서 고르게 분포하는 반면 한국어, 러시아어, 서반아어 등은 좀 더 자주 사용되는 형태와 그렇지 못한 형태의 무표/유표적인 분포를 보인다. 이러한 각 언어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지시사 분포양식을 인지상태와 화자의 관심의 중심이라는 측면에서 재조명하여 비교, 대조 분석함으로써 유표적인 형태에 대한 유형론적 의미를 모색한다.

  • PDF

Automatic Compiler Generator for Visual Languages using Semantic Actions based on Classes (클래스 기반의 의미수행코드 명세를 이용한 시각언어 컴파일러 자동 생성)

  • 김경아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6 no.6
    • /
    • pp.1088-1099
    • /
    • 2003
  • The syntax-directed translation using semantic actions is frequently used in construction of compiler for text programming languages. it is very useful for the language designers to develop compiler back-end using a syntax structure of a source programming language. Due to the lack of the integrated representation method for a parse tree node and modeling method of syntax structures, it is very hard to construct compiler using syntax-directed translation in visual langu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sual language compiler generation method for constructing a visual languages compiler automatically, using syntax-directed translation. Our method uses the Picture Layout Grammar as a underlying grammar formalism. This grammar allows our approach to generate parser efficiently u sing And-Or-Waiting Graph and encapsulating syntax definition as one unit. Unlike other systems, we suggest separating the specification and the generation of semantic actions. Because of this, it provides a very efficient method for modification.

  • PDF

Anaphoric Resolution in Anomia and Wernike Aphasia (실어증에서 나타나는 참조어 정보처리과정의 특성 : 명칭 실어증과 이해성 실어증을 중심으로)

  • Kim, Ga-Young;Hwang, Yu-Mi;Moon, Young-Sun;Park, Yoon;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455-461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어증 화자가 참조어(대명사)를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있어서의 오류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참조어에 관한 처리기제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명칭성 실어증 환자와 이해성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의 환자에게 두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1은 정오판정 과제로 문장, 혹은 문단을 제시하고 사용된 참조어가 옳은지 그른지를 판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실험 2는 채워넣기 과제로 문장, 문단을 제시하고 괄호 안에 들어갈 참조어를 보기에서 고르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된 참조어는 인칭 대명사와 지시 대명사, 그리고 지시 관형사였다. 인칭 대명사의 경우는 인칭과 수로 나누어 각각 1인칭, 2인칭의 단수 복수로 구분하여 제시되었으며, 문장 내에서 각각 주격조사 '가', 보조사 '는', 소유격조사 '의'와 결합되어 제시되었다. (나는, 너는, 우리는, 너희는/ 내가, 너가, 우리가, 너희가/ 나의, 너의, 우리의, 너희의) 지시 대명사의 경우는 사물을 나타내는 것과 장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구분되어 제시되었다. (이것, 그것, 저것/ 이곳, 그곳, 저곳) 지시 관형사의 경우는 '이', '그', '저'가 각각 명사와 결합되어 제시되었는데 지시대명사로 분류하였다. 실험결과는 실험과제간(정오판정, 채워넣기), 실험재료간(인칭 대명사, 지시 대명사)의 차이로 분석될 수 있다. 또한 인칭 대명사와 지시 대명사 내에서도 각각의 재료들 간에 오류반응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참조어 범주간 별개의 처리과정이 작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가 사용되는 문맥적 상황, 대명사의 개념적 거리, 빈도, 사용된 문장의 길이 등 여타의 요소들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 어휘적 의미가 전혀 활성화되지 않아 정상인과는 다른 언어처리를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류의 의미가 모두 활성화되는 것을 보여 주었다. 즉, "먹은"과 간은 어절 이해는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과 구성 형태소 어휘 접근을 통해 어절 이해가 이루어진다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다르게 한 뜻으로만 안일 수밖에 없는 "쥐어"와 같은 어절을 사용하여 이런 경우에도(즉, 어절의 문맥이 특정 뜻으로 한정하는 경우)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 과정이 일어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2의 결과는 실험 1의 결과와는 다르게 어간의 한가지 의미와 관련된 조건만 촉진적 점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실험 2에서 SOA가 1000msec일 경우, 두 의미의 활성화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이 같은 결과는 어절 문맥이 특정한 의미로 한정시킬 경우는 심성어휘집에 활용형태로 들어있다는 것이다. 또한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즉시적 점화과제에서는 일반인과 같은 형태소 처리과정을 보였으나, 그이후의 처리과정이 일반인과 다른 형태를 보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한국어 어절 분석이 구문분석 또는 활용형태를 통해 어휘 접근되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또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지연된 점화과제에서 형태소 처리가 일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ell}$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 PDF

Semantic Network Analysis for the President Directions Item : Focusing on Patterns(2001~2009) (대통령 지시사항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 : 2001년~2009년의 정권별 패턴을 중심으로)

  • Jung, Yuiryo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1
    • /
    • pp.129-137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ident Directions Item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This study has three contributions. First, this study shows the difference of policy directions through the frequency and contents of key words. Second, this study suggest patterns changes of decision-making of the president and bureaucracy through the key words network structure. Third, this study infer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esident's will and context of institutions.

폐리의 지표성

  • Kim, Han-Seung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6 no.2
    • /
    • pp.107-134
    • /
    • 2003
  • 지표성은 두 가지 다른 철학적 관심에서 연구되어왔다. 하나는 지표어가 어떤 방식으로 그것이 지시하는 바를 지시하는가를 이해하는 의미론적 관심이고, 다른 하나는 지표어가 인식체계에서 담당하는 역할을 이해하는 행위 이론적 관심이다. 페리가 여러 문헌을 통해서 관심을 가져왔던 문제는 이 두 가지 철학적 관심을 모두 만족시키는 통일된 이론을 제시하는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 두 관심사가 서로 구별된다는 점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으며, 왜 하나의 이론에서 함께 다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논변도 제시되지 않았다. 지표성 문제에 대한 페리의 해결책은 의미론적인 것이고 는 이를 통해 행위이론의 문제도 함께 해결된다고 주장한다. 그의 의미론적 해결책은 여러 가지로 변화되어 왔지만, 필자는 이 모두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페리의 이론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의 근원은 필자가 '의미론적 토대주의'라고 부르는 입장을 페리가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표성 문제에 대한 올바른 접근은 의미론적 토대주의를 처음부터 포기하는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제안이다.

  • PDF

Early Wittgenstein's Criticism of Frege's Theory of Meaning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프레게 의미이론 비판)

  • Park, Jeong-Il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6 no.3
    • /
    • pp.347-380
    • /
    • 2013
  • In this paper I will try to show how Wittgenstein criticized Frege's theory of meaning. Frege's theory of meaning can be compressed as sense-reference theory. Frege distinguishes between sense and reference on all the linguistic expressions. In particular, he regards that a sentence has sense and reference. This distinction was raised from, so to speak, the problem of identity sentences. Wittgenstein's "fundamental thought" of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is the key of his direct criticism of Frege's sense-reference theory. That is, it is an attack on Frege's thought that the reference of a sentence is a truth value and truth values are "objects themselves" (in Frege's meaning). According to Wittgenstein, such an object does not exist and according to his picture theory, the function of a name and that of a proposition are fundamentally different. By the way, Frege can reply justly to this criticism that it is insufficient. In short, Frege's 'sense' and 'reference' etc, are the technical terms. Hence Wittgenstein's decisive criticism of Frege's theory consists in accusing his theory of logical flaws. There is an another route to the sense and reference of a sentence which Frege introduces. In discourses of judgement stroke and content stroke in his Begriffsshrift and in those of horizontal stroke since his "Function and Concept", Frege deals with the sense and reference of a sentence. Wittgenstein criticize that the sense of a complex sentence such as ~p would by no means be determined by Frege's determination.

  • PDF

Resolution of Deictic Anaphora in Real Multimodal Environments (실제 멀티모달 환경에서의 지시 대용어 처리)

  • Choi, Maengsik;Lee, Sehee;Kim, Hark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8.10a
    • /
    • pp.151-155
    • /
    • 2008
  • 언어기반 대화 시스템에서는 시스템과 사용자의 대화가 발화 자체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람과 대화하는 것처럼 지시 대용어를 사용할 수 없어서 불편하다. 그리고 사용자의 발화 의미를 시스템이 정확하게 해석하기가 어렵다. 하지만 이런 언어기반 대화 시스템과는 달리 멀티모달 대화 시스템에서는 발화 자체의 정보뿐만이 아닌 제스처와 같은 발화 이외의 행위 정보들이 포함되는데 이 정보를 이용하면 지시 대용어의 처리가 가능해짐으로 시스템과의 대화가 좀 더 자연스러워진다. 본 논문에서는 군집화와 격틀을 이용하여 여러 사물들 중에서 지시 대용어가 될 가능성이 있는 지시 후보 선정을 한다. 그리고 특출성 점수와 엔트로피를 이용하여 후보 사물들 중에서 지시 대용어가 될 수 있는 대상을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환경에서의 실험결과 평균 2.8번의 상호작용으로 지시 대용어를 처리할 수 있었다.

  • PDF

Possibilities and Limits of the Referential Tense Theory: Interpretation of Tense and Aspect in Embedded Sentences (지시적 시제 이론의 가능성 및 한계: 종속 문장의 시제와 상의 해석을 예로)

  • Kang, Jung-Goo;Lee, Jae-Sung;Park, Jun-Sik;Park, Yong-Chan;Park, Dong-I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396-402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Reichenbach(1947), Partee(1973, 1984) 및 Klein(1994)이 발전시킨 지시적 시제 이론 (Referential Theory of Tense)을 의미/통사론적으로 형식화 함으로써 이 이론의 의미론적, 통사론적 응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의미/통사론적으로 형식화된 지시적 시제 이론을 종속 문장의 시제와 상의 의미 및 구조 해석을 위하여 도입함으로써 이 이론의 장점과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려고 시도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