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수검정

Search Result 52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est for Increasing Failure Rate Average Class’ (증가평균고장률에 대한 지수성 검정법 연구)

  • 김환중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4 no.2
    • /
    • pp.369-37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신뢰성분석에서 고려되는 평균고장률의 추이에 관한 검정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즉, 수명분포가 지수분포를 따르는지 또는 수명분포의 평균고장률이 증가하는지를 검정하는 검정통계량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검정통계량은 순서통계량의 선형 함수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대표본 뿐만 아니라 소표본에서도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안된 검정통계량의 점근상대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Klefsjo(1983)가 제안한 검정통계량과 비교하여 보았다.

  • PDF

이변량 지수모형의 독립성검정

  • 김정일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4 no.2
    • /
    • pp.549-556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Block과 Basu (1974)가 제안한 절대연속이변량지수분포(absolutely continuous bivariate exponential distribution : ACBVED)의 독립성검정에 대한 Score검정과 이 검정의 점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Cordeiro와 Ferrari (1991)가 제시한 Bartlett수정항과 유사한 형태의 수정된 Score검정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수정된 Score검정의 점근성의 효과와 주변분포가 동일하다는 가정하에서 Gupta, Mehrotra와 Michalek (1984)가 제안한 우도비검정을 모의실험으로 비교하였다.

  • PDF

지수분포의 검정을 위한 수정된 W-통계량

  • 김남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41-146
    • /
    • 2000
  • Shapiro와 Wilk(1972)는 위치모수와 척도모수가 미지인 경우 지수분포의 검정통계량을 제안하였다. 그것은 척도모수의 일반화 최소제곱추정량과 표본분산의 비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 검정통계량은 일치성을 갖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척도모수의 두개의 점근유효추정량으로 구성된 통계량을 고려하고 이의 극한분포를 구하였다. 또한 두 개의 통계량의 검정력을 비교한 결과 제안된 통계량이 변동계수가 1보다 크거나 같은 분포에서 더 좋은 검정력을 가짐을 볼 수 있었다.

  • PDF

The Shapiro-Wilk Type Test for Exponentiality Based on Progressively Type II Censored Data (전진 제 2종 중도절단자료에 대한 Shapiro-Wilk 형태의 지수검정)

  • Kim, Nam-Hyu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3 no.3
    • /
    • pp.487-495
    • /
    • 2010
  • This paper develops a goodness of fit test statistic to test if the progressively Type II censored sample comes from an exponential distribution with origin known. The test is based on normalizing spacings and Stephens (1978)' modified Shapiro and Wilk (1972) test for exponentiality. The modification is for the case where the origin is known. We applied the same modification to Kim (2001a)'s statistic, which is based on the ratio of two asymptotically efficient estimates of scal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Kim (2001a)'s statistic has higher power than Stephens' modified Shapiro and Wilk statistic for almost all cases.

Fuzzy Test of Hypothesis by Uniformly Most Powerful Test (균일최강력검정에 의한 가설의 퍼지 검정)

  • Kang, Man-K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1 no.1
    • /
    • pp.25-28
    • /
    • 2011
  • In this paper, we study some properties of condition for fuzzy data, agrement index by ratio of area and the uniformly most powerful fuzzy test of hypothesis. Also, we suggest a confidence bound for uniformly most powerful fuzzy test. For illustration, we take the most powerful critical fuzzy region from exponential distribution by likelihood ratio and test the hypothesis of ${\chi}^2$-distribution by agreement index.

주식시장(株式市場)의 경기선행성(景氣先行性)에 관한 연구(硏究)

  • Ji, Ho-J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9 no.1
    • /
    • pp.207-222
    • /
    • 1992
  • 본(本) 연구(硏究)는 주식시장의 변화가 경기변동에 대하여 갖는 선행성(先行性)의 유무(有無)와 선행기간(先行期間) 및 선행패턴을 검정하였다. 기존의 경기 정점(peak)과 저점(trough)에 따른 선행시차분석(先行時差分析)이나 주식시장과 경기변동간의 단순회귀모형에 의한 ${\beta}$계수 측정 방법과는 달리, 교차상관관계(交叉相關關係)에 의한 선행 결합여부를 검정하고 Granger 정의에 입각한 인과관계검정(因果關係檢定)을 시도하였다. 1975년부터 1991년까지의 월별자료를 이용하여 교차상관계수(交叉相關係數)에 의한 Ljung-Box Q-통계량 검정을 실시한 결과 주식수익률과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선행결합(先行結合)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t-7기의 주식수익률과 t기의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간의 계수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주식수익률의 lead 1에서 3기까지 보다는 lead 4기 이후에 크게 나타났으며 업종별(業種別)로는 제조업(製造業) 관련분야에서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Granger 정의에 의한 인과관계(因果關係) 검정(檢定)을 실시한 결과, 12개월 내지 9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의 주식수익률을 이용하는 것이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의 과거 정보만을 이용하는 것보다 예측오차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식수익률이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의 원인변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업종별(業種別) Granger 검정결과는 교차상관계수(交叉相關係數)에 의한 Ljung-Box Q-통계량 검정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검정결과의 신뢰성을 높여주었다.

  • PDF

한국주식시장에 적합한 사건연구 방법론의 고안

  • Jeong, Hyeong-Cha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4 no.2
    • /
    • pp.273-312
    • /
    • 1997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실제 일별 주식수익률 자료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가장 적합한 사건연구방법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80년에서부터 1995년까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상장된 675개 주식을 대상으로 무작위 복원추출 방법에 의해 50개의 개별주식으로 구성된 250개 표본을 선정하였다. 이들 250개 표본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기법에 의해 다양한 사건연구 모형의 통계적 오류와 검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에 의하면, 먼저 사건일을 정확히 포착할 수 있는 경우에는 산업별주가지수를 시장지수로 선택한 시장모형 혹은 시장조정모형으로 초과수익률을 측정하고, 횡단면 독립성을 가정한 검정법이 가장 우수한 사건연구방법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건일을 정확하게 포착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동일가중지수를 시장지수로 선택한 시장모형 혹은 시장조정모형으로 초과수익률을 측정하고, 횡단면 독립성을 가정한 검정법이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건일 집중현상으로 인한 제1종 오류를 감소시키는 데에는 개별주식의 초과수익률 간의 횡단면 독립성을 가정한 검정법보다는 횡단면 중속성을 조정한 검정법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 PDF

Boostrap testing for independence in Marshall and Olkin's model under random censorship (임의중단된 이변량 지수모형의 독립성에 대한 붓스트랩 검정)

  • 김달호;조길호;조장식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9 no.2
    • /
    • pp.13-23
    • /
    • 1996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Marshall and Olkin's bivariate exponential model under random censorship for the distribution of failure times of a system with two components. We propose a bootstrap testing procedure for independence and compare the powers of it with other tests via Monte Carlo simulation.

  • PDF

A Modification of the Shapiro-Wilk Test for Exponentiality Based on Censored Data (중도절단자료에 대한 수정된 SHAPIRO-WILK 지수 검정)

  • Kim, Nam-Hyu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1 no.2
    • /
    • pp.265-273
    • /
    • 2008
  • Kim (2001a) presented a modification of the Shapiro and Wilk (1972) test for exponentiality based on the ratio of two asymptotically efficient estimates of scale. In this paper we modify this test statistic when the sample is censored. We use the normalized spacings based on the sample data, which was used in Samanta and Schwarz (1988) to modify the Shapiro and Wilk (1972) statistic to the censored data. As a result the modified statistics have the same null distribution as the uncensored case with a corresponding reduction in sample size. Through a simulation study it is found that the proposed statistic has higher power than Samanta and Schwarz (1988) statistic especially for the alternatives with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greater than or equal to 1.

업종별 주가지수의 카오스 검정 및 비선형예측

  • Baek, Ung-Gi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4 no.1
    • /
    • pp.171-205
    • /
    • 1997
  • '80년대 중반 들어 주가지수 예측모형으로 애용되던 시계열 예측모형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것은 기존 예측모형이 선형 데이터 생성과정을 기본가정으로 채택하고 있지만 진정한 데이터 생성과정은 비선형일 수도 있다는 점에서 출발한다. 주가지수의 변동을 유발하는 경제의 기본구조가 비선형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선형모형으로 접근한다면 주가의 움직임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설정오류는 모형의 신뢰성을 크게 손상시킨다.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업종별 주가지수의 비선형 검정을 통해 주가가 어떠한 형태의 경제구조에서 생성되었는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정한다. 10개 업종지수의 검정결과 보험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업종지수가 카오스 끌개를 보유하고 있다는 증거가 포착되었다. 표본외 예측을 위해서 국지적 가중회귀법을 채택하였는데 예측결과 모형에 따라 $6{\sim}7$개 업종에서 통상최소자승법보다 예측력 우위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