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속도

Search Result 31,165,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Implementation Measures for Sustainable Smart City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 추진방안)

  • Ban, Yong Un;Kim, Yu Mi;Hong, Na Eun;Han, Kyung Min;Baek, Jong I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3 no.1
    • /
    • pp.45-57
    • /
    • 2017
  • This study has intended to propose implementation measures to promote a smart city based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concept. To reach this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issues associated with the U-City, which is the forerunner of a smart city in South Korea, and examined the planning element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through reviewing literature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smart city and sustainable smart city. The study defined the definition of the sustainable smart city and identified its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objectives for each sector of sustainable smart city.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d integrated implementation measures for a sustainable smart city to pursue. The implementation measures included three strategies and 17 major technologies based on the vision of 'transition to a sustainable smart city in respond 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se strategies were (1) establishing a sustainable smart city; (2) building and maintaining smart infrastructures; and (3) smart urban regeneration.

Sustainable Port Competitiveness in International Port Operations (국제항만 운영에서 지속가능한 항만경쟁력 확보방안)

  • Kim, Sihyu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1 no.3
    • /
    • pp.61-74
    • /
    • 2015
  • Amid intense port competition in Northeast Asia, international ports require sustainable growth based on competitiveness that incorporates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s. Despite the importance of sustainability issues in port competition, prior studies on port competitiveness have focused on ports' own handling capacities. Moreover, sustainability concerns have focused on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environmental impact minimization and environmental index development. The prior literature makes distinctions between studies of port competitiveness and works relating to port sustainability.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redefine sustainable port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triple bottom line," comprising sustainability, analysis of the relevant issues, and practices. The findings offer not only important steps in building knowledge about sustainable port competitiveness, but als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trategic agendas and guidance for future improvements in port operations.

Estimation of Flood Wave for Non-Stationary Seepage Analysis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 산정)

  • Seo, Lynn;Yoon, Kw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3-703
    • /
    • 2012
  • 대규모 하천이 많은 미국과 유럽 등은 정상 침투해석을 실시하여 제방을 설계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상류 지역은 하천경사가 급하여 홍수지속시간이 짧고, 하류 지역은 하천경사가 완만하여 홍수지속시간이 길어 비정상 침투해석을 통해 제방을 설계한다. 설계 홍수파형을 정상상태로 해석하면 대상지점의 홍수파형이 갖는 홍수지속시간과 감수부 경사가 고려되지 않아, 상류 지역은 과대한 외력이 설정될 수 있으며, 하류 지역은 과소한 외력조건으로 과소 설계될 우려가 있어 시간에 따른 수위 변화를 고려한 비정상 침투해석이 필요하다.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해서는 제방에 대한 외력조건으로 적용될 하천의 홍수파형이 필요하지만 국내에서는 홍수위와 지속시간 등 홍수파형의 시간분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서 실무에서는 설계하고자하는 대상지점의 계획홍수량에 사용된 홍수파형의 계획홍수위와 홍수지속시간을 이용하여 설계홍수파형을 결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방에 대한 부정류 침투해석을 위해 사용되는 설계홍수파형을 결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우리나라 5대강 유역에 위치한 수위관측소 중 수위자료가 충분히 구축된 지점을 대상으로 과거 홍수사상 기간의 수위수문곡선과 계획홍수량 산정에 사용되었던 설계수문곡선을 이용하여 홍수파형을 결정하였다. 제방의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한 설계홍수파형은 홍수지속시간과 감수부 경사로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 산정한 설계홍수파의 홍수지속시간은 대부분의 지점에서 계획홍수파의 지속시간보다 크게 산정되었으며, 실무에서 사용되는 계획홍수파의 지속시간이 과소산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홍수파의 감수부 경사의 경우, 본 연구에서 산정한 설계홍수파의 감수부 경사가 계획홍수파의 감수부 경사보다 비교적 완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지속시간이 긴 실제 홍수사상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현재 비정상 침투해석을 위해 외력으로 설정되는 홍수파형은 계획홍수량 산정시 이용한 계획 홍수파형만을 사용한다. 이 경우 과거 홍수사상의 홍수지속시간이 반영되지 않아 안정성 측면에서 계획홍수파형과 과거 홍수를 모두 고려한 본 연구의 방법이 더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Understand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Water Security (지속가능개발과 물 안보)

  • Park, Jihyeon;Hong, Il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6-76
    • /
    • 2016
  • 2015년은 국제사회 거버넌스 및 정책 패러다임에 있어 전환점(tipping point)을 맞는다. 2000년 국제사회가 인류의 빈곤 퇴치라는 삶에 가장 절대적인 개발목표로 2015년까지 달성해야 할 빈곤, 의료, 교육 등 사회 환경 현안에서 해결해야 할 단순명료한 목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2015년 9월 UN 지속가능 세계정상 회의(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 WSSD)에서는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채택하여 2030년까지 전 세계가 경제성장, 기후 변화 등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지속가능한 인간정주환경을 조성하자는데 합의를 마쳤다. 17개의 지속가능개발목표와 부속적으로 169개의 타겟이 설정되었으며, SDGs 안에서는 MDGs의 기조를 유지하면서, 인간의 권리 구현과 성평등, 여성과 어린이의 권리 신장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와 예측이 불확실한 다양한 자연재난, 특히 물과 물 관련 재해가 빈곤 경감, 기후변화 대응, 인간정주의 모든 삶의 영역에 연계요소로 녹아 있다. 기후변화 적응과 물 안보, 특히 위기관리의 맥락이 내재되어 있는 2030년을 목표로 하는 국제사회의 Post-2015 개발의제에서 물 분야는 무엇보다 중요한 관심 분야로 부각이 되어 있다. 17개의 지속가능개발목표에서 SDG6을 "모두를 위한 물과 위생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이용(Ensure availability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water and sanitation for all)"으로 하고 수자원관리 및 물과 위생 분야의 중요성을 전세계가 공감하고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물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6번째 목표뿐만 아니라, 빈곤의 근절(SDG1), 기아근절과 지속가능한 농업의 증진(SDG2)을 비롯한 다양한 목표들에서 물 분야가 직접?간접적으로 연계 되어 있으며, 특히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더욱 심각해진 물관련 재해로부터 리질리언스 확보 등, 지속가능개발목표의 전반적인 기조에서 물안보 확보를 읽을 수 있다. 물 분야에서 지속가능개발목표의 이행을 위한 노력은 국제사회의 물 문제 해결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글로벌 동반 성장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 PDF

Oriental Environmental Values to Build a Sustainable Civil Society (지속가능한 시민복지사회를 만들기 위한 철학과 전략)

  • Lim, Gill-Chi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0 no.4
    • /
    • pp.261-277
    • /
    • 2001
  • 이 글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첫째, 경제발전은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둘째, 경제발전에 관한 여러 이론들이 있다. 어떤 한 이론도 경제 발전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 여러 가지 복합적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다. 셋째, 경제발전의 영향은 환경을 파괴한다는 증거가 있다. 넷째, 지속가능한 시민복지사회를 만들려면 동양적 환경가치관의 재발견과 적용이 필요하다. 다섯째, 1972년 스톡홀름 회의이후 환경보존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제도적 발전이 있었다. 그중 Agenda 21의 실천은 정부와 시민에게 중요한 움직임이다. 여섯째, 더 넓은 지속가능성 즉 5 가지 지속가능성의 적용을 권장한다. 특히 문화적 지속가능성의 실천이 중요하다. 일곱째, 국가투자를 적정화하면 환경투자비율을 높이면서 국민복지를 향상시키고, 경제성장을 지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덟째, 지속가능한 시민복지사회를 만들려면 개인과 단체가 전략계획의 실천을 일상화해야한다.

  • PDF

A Modelling of segmental Duration based on Regression Tree of the Normalized Duration (정규화 지속시간 회귀트리를 기반으로 한 음운지속시가 모델화)

  • 정지혜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e
    • /
    • pp.278-281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자연음성으로부터 통계적인 방법으로 일반적인 음성합성 규칙을 생성하기 위해, 남녀 각각 1명이 200문장에 대해 발성한 문음성 데이터를 음운 세그먼트, 음운 라벨링, 음운별 품사 태깅, 문법 정보 태깅하여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 음성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휴지지속시간을 분석하여 긴 휴지와 짧은 휴지로 분류하였고, 이러한 휴지가 어느 경우에 나타나는가를 조사하였다. 음운지속시간을 보다 정교하게 예측하기 위하여, 각 음운의 고유 지속시간의 영향을 배제시킨 정규화 지속시간에 대해 2가지 class(장, 단)의 휴지시간을 고려한 회귀트리로 음운지속시간을 모델화하였다. 제안된 모델의 평가 결과 예측치와 관측치 간의 다중 상관 계수는 남성은 0.82, 여성은 0.84 정도로 평가되었다.

  • PDF

체계동태기법을 이용한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 전략 평가모형의 정립과 적용 - 담양군 대나무 신산업 육성전략의 파급효과 분석

  • Jeong, Hoe-Seong;Jeon, Dae-Uk;Kim, Byeo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6.04a
    • /
    • pp.79-100
    • /
    • 2006
  • 지역개발과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의 수립을 위해 지역의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통합한 지속가능발전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발전 전략의 모색과 관련정책의 파급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러한 통합모델의 개발과 적용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높은 환경질을 유지하고 대나무와 같은 생태자원을 육성함으로써 생태관광과 대나무신산업 등의 새로운 지역개발 정책을 수행하는 전라남도 담양군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 체계동태모형을 구축한다. 담양군 사례분석의 결과는 죽림육성 정책과 대나무신산업과 같은 지역특화산업에 대한 기술개발 및 각종 재원의 병행이 인구유입과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매우 효과적임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지역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시스템적 사고를 통해 지역개발에 있어서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살린 생태자원의 육성과 적절한 산업정책을 병행하는 생태발전 전략이 지역의 지속가능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정보시스템 재해에 대비한 업무 지속성 관리

  • 김종기;김기윤;이경석;김정덕
    • Review of KIISC
    • /
    • v.11 no.1
    • /
    • pp.9-19
    • /
    • 2001
  • 정보시스템이 기업 활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됨에 따라 정보시스템을 안전하고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기업의 활동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의 기술 및 경영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정보시스템 재해에 대한 대책에 있어서도 종래의 기술 중심으로 업무의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의 수립으로 변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 활동에 치명적인 장애를 초래하는 재해에 대비하기 위한 비상계획의 개념과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최근에 대두된 업무 지속성 관리의 측면에서 업무 지속성 계획을 수립하고 운용하는 방법론을 CCTA에서 제시한 수명주기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 PDF

A study on the duration of Korean fricatives /s, s'/ and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duration (한국어 마찰음 /ㅅ,ㅆ/의 지속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Song YoonGyou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33-336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마찰음 /ㅅ, ㅆ/가 지속시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가지고 있는가를 관찰하고, 나아가 지속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어떠한 것이 있는가를 기술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음성합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분석 결과, /ㅅ/보다 /ㅆ/가 더 긴 지속시간을 가졌으며 마찰음을 선행하는 음소의 성질, 단어에서 마찰음이 가지는 음절 위치, 그리고 마찰음 앞에서 끊어읽기가 이루어졌는가의 여부가 지속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 PDF

온톨로지 자동 구축과 온톨로지를 위한 지속적 자기 개선 모델에 대한 연구

  • Kim, Yun-Deok;Kim, Gi-Beom;Kim, Jo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166-167
    • /
    • 2015
  • 수동적 온톨로지 구축은 해당 도메인의 지식을 가진 전문가가 필요하고, 시간적인 소모가 크다. 또한 완성된 온톨로지의 수동적인 지속적 개선은 상당한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온톨로지의 자동 구축과 지속적 자기 개선 방법이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기계 학습을 통한 온톨로지 구축의 자동화 방법과 지속적 자기 개선 모델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