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상파 TV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28초

지상파채널의 재전송 동의와 중재 기준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transmission Consent and Arbitration for the Retransmission of Terrestrial Broadcasting Signal in Japan)

  • 김경환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8권
    • /
    • pp.46-62
    • /
    • 2009
  • 지상파채널의 재전송은 산규매체의 도입 시마다 논쟁거리다. 유일하게 매년 수천억 원의 제작비를 지출하는 지상파채널을 재전송하는 것이야말로 신규매체의 시장안착에 결정적 요인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지상파채널을 재전송하는 문제를 놓고 지상파방송사들과 신규매체 사이에는 지상파 재전송에 따른 정당한 대가 지불이 필요하다는 주장과 지상파채널의 재전송은 국민의 시청접근권 확보 차원에서 필수불가결하다는 주장이 팽팽하게 대치해 왔다. 최근 도입이 본격 추진되고 있는 종합편성채널의 의무재전송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지상파채널의 재전송 문제는 콘텐츠사업자인 지상파 사업자와 전송사업자인 케이블SO 간의 대립구도에 지상파계열 채널 사용 사업자와 케이블PP계열의 채널사업자까지 가세되면서 대립구도가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 추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처럼 지상파방송의 비중이 높으면서도 다양한 신규 유료방송사업자의 도입이 활발한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상파채널의 재전송을 둘러싼 분쟁의 원인과 해결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지상파방송의 디지털전환과 더불어 예상되는 국내 지상파방송사업자와 케이블TV 사업자 간의 지상파 재전송과 관련해 야기될 분쟁의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일본은 지상파채널의 재전송을 위해서는 해당채널사업자로부터 재전송동의가 필요하다. 만약 이 과정에서 사업자 간 협의에 의한 재전송동의에 실패할 경우 규제기관인 일본총무성에 중재 신청이 가능하다. 2009년 현재 지상파채널의 재전송과 관련한 일본총무성의 중재 사례는 6건이다. 중재 신청된 사례는 아날로그 지상파채널의 재전송이 4건, 디지털 지상파채널의 재전송이 2건이며 모두 구역 외 지상파채널의 재전송 관련 건이었다. 중재 결과는 중재 신청을 취하한 1건을 제외하면 전부 케이블TV의 지상파 재전송을 허용하는 판단이 내려졌다. 일본총무성은 재전송 동의제도가 케이블TV사업자의 재전송 행위로 인해 해당 채널 사업자의 방송 의도가 침해되거나 왜곡되는 사태를 방지함으로써 방송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목적임으로 재전송동의를 거부하는 사업자는 재전송으로 인한 방송 의도의 침해 및 왜곡 사실을 구체적으로 입증하도록 요구한다. 일본은 재전송과 관련한 방송 의도의 침해 및 왜곡에 해당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은 5가지로 정의하고 있다. 첫째, 방송프로그램이 방송사업자의 의사에 반해, 일부 재편집되어 방송되는 경우다. 둘째, 방송사업자의 의사에 반하여 이시(異時) 재전송되는 경우다. 셋째, 방송시간의 전 후에 재전송되는 동일 채널로 별도 프로그램을 편성함으로써 재전송되는 방송사업자의 프로그램과 혼란을 발생시키는 경우다. 넷째, 케이블TV의 방송시설 설치 및 시설설치에 필요한 자금력이 부족하여 케이블TV 사업자로서 적합성에 문제가 있는 경우다. 다섯째, 케이블TV의 송수신 기술수준이 현저하게 떨어져 양질의 재전송이 기대되지 않는 경우다. 반면, 일본은 재전송으로 인해 지상파 사업자에게 발생하는 재산적 피해 여부는 재전송 거부의 정당한 사유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상파 디지털방송 전송기술 동향 (Trends of Terrestrial Transmission Technology for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 이유석;류관웅;김영민;서재현;김흥묵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1권3호
    • /
    • pp.60-69
    • /
    • 2016
  • 대용량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지상파 방송의 전송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미국의 표준화 단체인 Advance Television Systems Committee(ATSC)에서는 초고화질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동시에 HD급 이동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차세대 방송방식인 ATSC 3.0의 표준화 완료를 목표로 현재 막바지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ATSC 3.0으로 불리는 ATSC 차세대 방송방식의 물리계층에 대한 표준화 동향과 ATSC 3.0 물리계층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프레임 동기를 위한 부트스트랩, Constellation 및 Layered Division Multiplexing(LDM)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 물리계층의 획기적인 전송용량 증대 기법인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MIMO) 기술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 PDF

차세대 유럽형 디지털 지상파 텔레비전 표준 DVB-T2 송신기술

  • 서정욱;이연성;전원기;백종호;김현욱;김동구
    • 정보와 통신
    • /
    • 제26권10호
    • /
    • pp.40-45
    • /
    • 2009
  • 차세대 유럽형 디지털 지상파 TV 표준인 DVB-T2 (Digital Video Broadcasting; a 2nd Generation Terrestrial)는 아날로그 TV시대의 끝을 알리는 ASO(Analogue Switch Off)에 의해 새롭게 확보될 방송 주파수를 통해 다채널 HDTV 서비스와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해줄 것으로 예상된다. DVB-T2는 DVB-T에 비해 전송효율을 30% 이상 향상시켰으며 기존 송신 인프라와 수신안테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상업화 조건을 고루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DVB-T2 End-to-End 체인 참조모델을 간략히 소개하고 송신기술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DTV 송신 신호의 전계강도 예측에 대한 연구 (The Prediction of Electric Field Intensity from DTV Transmitting Signal)

  • 서경환;이주환;정혁;최성웅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84-387
    • /
    • 2010
  • 지상파 방송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됨에 따라 아날로그 TV 방송신호와 디지털 TV(DTV) 방송신호간의 생성과 복조방식이 상이함에 따라 전파환경에 의한 방송품질의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DTV 방송신호의 수신을 위한 전파 음영지역 해소가 품질 확보에 필수적인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으로 타당성 및 신뢰성 있는 전계강도 예측 방법에 근거하여 적정지역의 송신소 및 중계기 설치가 전파 품질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국제적으로 30 MHz ~ 3000 MHz 대역 지상파 방송서비스의 전파특성 예측에 활발히 이용되는 ITU-R 권고 P.1546 전파모델을 이용하여 점-대-지역 전계강도 예측을 위한 계산 방법을 제시하고, 수치 계산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한다. 제시된 방법은 DTV 수신지역의 전계강도 예측을 통한 신호의 품질 분석은 물론, 양호한 전파환경 구축에 필요한 중계기 위치설정, 인접대역에 의한 간섭 및 양립성 분석 등에 직접 활용이 가능하다.

  • PDF

지상파 데이터 방송을 위한 t-learning 콘텐츠 접근 동기화 방법 (A T-learning Contents Synchronization Method for Terrestrial Data Broadcasting)

  • 고수아;차재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B)
    • /
    • pp.205-209
    • /
    • 2008
  • 최근 지상파 서비스에도 양방향 데이터방송 TV 서비스 기능이 본격화되면서 t-learning(TV learning) 콘텐츠 개발도 활성화 되고 있다. 학습자가 데이터방송을 통해 콘텐츠를 학습할 때,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상호작용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현재 제공되는 데이터방송은 VoD(Video on Demand)의 패키지 기반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처음 시작한 시간에 의지한 상대적인 시간으로 재생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학습자가 t-learning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점이 다양하기 때문에 VoD 방송으로는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어려운 동기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가 t-learning 콘텐츠의 어느 시점에 접근하더라도 적절한 시점에 학습자와 콘텐츠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동기화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 PDF

IP기반 케이블 TV 방송 플랫폼 연구 (Research of Cable TV Broadcast Platform based on IP delivery)

  • 류재욱;문준우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5-38
    • /
    • 2018
  • 최근 미디어 소비 환경은 지상파 방송과 같은 Mass Media 중심에서 모바일, Multi Device 기반의 개인화 서비스 위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 다양한 유료방송사, 통신사, 지상파 방송 사업자들은 변화하는 미디어 소비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방송 플랫폼 도입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케이블TV 방송사업자가 변화하는 미디어 소비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IP기반 방송 플랫폼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감 미디어 제공을 위한 양방향 미디어 전송 환경의 연구와 MPEG의 차세대 미디어 전송을 위한 표준화 현황을 알아보고, IP기반의 방송 플랫폼의 필요성 그리고 플랫폼의 구조에 대하여 설계 하였다.

  • PDF

TV채널 폭 확장에 의한 지상파 UHDTV방송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Terrestrial UHDTV effect by TV channel width expansion)

  • 박성규;박구만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2-25
    • /
    • 2014
  • UHDTV방송을 준비하면서 대용량 영상데이터의 전송이 중요시 되고 있다. 그러나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행태는 언제 어디서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매체를 더 선호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신능률을 높이고, 향후 8K UHDTV 등 초고화질 서비스도 가능하도록 TV채널 폭의 확장에 의한 UHDTV방송의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지상파 디지털 TV방송의 전송방식 (Transmission Technology of DTTB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Broadcast))

  • 박병렬
    • 기술사
    • /
    • 제34권4호
    • /
    • pp.30-35
    • /
    • 2001
  • The 8-VSB modulation technology developed by ATSC was adapted for national terrestrial DTV broadcasting. It uses same bandwidth of 6㎒ as the one of NTSC TV broadcasting. The simulcast on the both of analog and digital is mandated for some period, some shortage within the limited frequency resource . ATSC transmission technology is excellent in long distance broadcasting, but it is even poorer than other transmission technology In mobile receiving. The design of transmission system in the ATSC broadcasting is food enough with the provision of wide area service without Interference from adjacent channel. To provide adequate DTV service within the broadcasting area, transmission technology is an important factor

  • PDF

데이터 방송 기술

  • 김진웅;안치득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11권3호
    • /
    • pp.35-44
    • /
    • 2000
  • 세계의 주요 선진국들은 90년대 후반에 디지털 방송을 시작하였으며, 지상파 방송에 대해서 2010년 이내에 대부분 기존의 아날로그 TV 방송을 중단하고 완전히 디지털로 이행하는 계획을 세워 놓고 있다. 디지 털 TV 방송을 시 작함으로써 고화질, 다채널의 이점뿐만 아니라 데이터 방송을 통하여 다양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더 나아가TV를 통한 전자상거래가 가능하게 되는 등 TV수신기는 향후 각 가정의 정보, 오락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 훨씬 더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본 고에서는 디지털 방송의 가장 큰 장점으로 대두된 데이터 방송의 세계적인 기술 개발, 표준화 현황 등을 살펴보고 국내 표준화 대응 방향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 PDF

지상파 이동 멀티미디어방송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개발 (The Development of Multimedia Player Platform for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기명석;서정일;강경옥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65-47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야a Broadcasting, DMB) 서비스를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기의 플랫폼과 구조를 설계 구현한다. 지상파 DMB 방송은 유럽의 Eureka-147 방식의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를 기반으로 하며 디지털 라디오방송과 함께 오디오 외에도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전송하고, 콘텐츠에 대화형 기능을 포함하는 서비스 형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향후 지상파 DMB 수신기가 단순한 멀티미디어의 재생뿐 아니라, 다양한 서비스의 수용, 기존의 이동단말과의 결합, 하나의 수신기를 이용한 다기능 등의 새로운 형태의 구조를 요구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현재 지상파 DMB 방송 규격은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의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방식과는 다르며, 한국을 제외하고는 세계 어느나라에서도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 규격이 정해진 바 없기 때문에 DMB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 구조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에서 제공하는 지상파 DMB 방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기 플랫폼은 국내 업체들에게 관련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수신기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지상파 DMB수신기의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