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배력

Search Result 58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Measurement of Market Power in a Depletable Resource Industry (환경규제를 고려한 고갈성 자원산업의 시장지배력 측정)

  • Lee, Myunghu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18 no.4
    • /
    • pp.745-766
    • /
    • 2009
  • It is not valid to measure the degree of market power based on the markup of price over marginal market cost in an industry for which the market price of some inputs is not available because those inputs are then excluded in estimating the dual total cost function. If the roles of those inputs are ignored, the markup of price over marginal market cost is likely to be positive in the perfectly competitive industry. In order to have accurate market power markups for the environmentally regulated Korean iron and steel industry, in which the market price of raw material and the price of abatement capital are hard to obtain, in this paper, a dual cost function is derived given the optimal quantities of raw material and abatement capital, and then estimated jointly with the supply relation. The annual average degree of market power for the industry is estimated to be 0.49 over the period 1982~2001. Ignoring environmental regulation would overstate the degree of market power by about 8 percent.

  • PDF

클로즈업 - 국내 디스플레이산업, 제조업의 새로운 발전 모델로 '부상'

  • 한국광학기기협회
    • The Optical Journal
    • /
    • s.124
    • /
    • pp.33-35
    • /
    • 2009
  • 우리나라 디스플레이산업은 수년간 세계시장점유율 1위를 지속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익성 측면에서도 경쟁국을 압도하여 산업내 글로벌 포지션을 후발자에서 선발자로 변화시킨 성과를 달성했다. 우리니라 디스플레이산업은 호황기에는 최고의 수익률을 시현하고 불황기에는 최소 적자로 빠른 흑자전환 모습 을 보임으로써, 세계시장점유율과 수익성의 양 측면에서 경쟁국들을 압도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세계시장 지배력의 확대는 경기침체기 혹은 경제위기 극복 이후 우리나라 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로운 발전모델로 부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고에서는 산업연구원의 '경기침체기의 디스플레이산업, 제조업의 새로운 발전모델로 부상' 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디스플레이산업이 주목받게 된 요인을 살펴보고 국내 제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 PDF

Financial Structure, Ownership, and Corporate Control (기업의 소유구조 및 지배력과 재무구조)

  • Rhieu, Sang-Yup;Cheong, Ki-Moon
    • Korean Business Review
    • /
    • v.11
    • /
    • pp.195-216
    • /
    • 1998
  • Ownership of an asset can be identified with the right to exercise "residual control" where the contract is silent about decision rights, or with the right to receive any "residual returns" that remain after contractual. obligations are fulfilled. Although the concept of "ownership" seems reasonably clear in many of the cases, the concepts of residual control and the residual returns that define ownership are actually quite elusive. For large corporations, there is really no single individual who owns both the residual returns and the residual control. Despite the limited qualifications, ownership is clearly. the most common and effective meas to motivate people to create, maintain, and improve the value of assets. In this paper, we try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among financial structure, ownership, and corporate control with the concept of ownership defined as the residual control and the residual returns, Financial securities are not just claims to part of a firm's net income. They give the security holder certain rights. A careful matching of rights of control and returns can create incentives that increase total value of the firms. In the corporate firms, managers, lenders, and shareholders have different interests. And the financial structure affects how different those interests are and what decisions management will make. Managers are, in general, better informed than investors about the firm's prospects. The financial decisions by managers may affect investors' beliefs and, therefore, the price of shares and the value of the firm.

  • PDF

인터넷 지배와 디지털 경제, 그리고 새로운 시대

  • Hwang, Cheol-Jeung
    • 정보화사회
    • /
    • s.137
    • /
    • pp.41-43
    • /
    • 2000
  • 전세계 인터넷 이용자의 절반 이상을 미국 국민이 차지하고, 미국 국민 중에서도 44%정도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을 뿐 아니라, 보다 놀라운 것은 전세계의 인터넷에 의한 revenue의 85%, 인터넷기업의 주식가치의 95%를 대표할 정도로 엄청난 지배력을 보이고 있는 것이 바로 그 증거이다. 작년 말 유럽의 EC가 제안한 "eEurope"나 금년 초에 일본이 제시한 "21세기 구성"이 미국을 따라 잡기에는 이미 늦은 것이 아닌가 여겨질 정도이다.

  • PDF

기업지배구조의 변화 모색

  • Hwang, D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4 no.1
    • /
    • pp.151-176
    • /
    • 1998
  • 우리 나라 기업의 지배구조의 문제점은 대체로 이사회와 감사의 경영감시기능 부족, 기업인수시장의 활성화 미흡, 채권자로서의 은행의 경영감시역할 미흡 등이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기업지배체제는 오너체제로 대표되며, 여러 가지 폐해에도 불구하고 신속한 의사결정과 과감한 투자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우리 나라에서 바람직한 지배구조를 모색해 보기 위해 미국과 일본의 지배구조를 참고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이사회와 감사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둘째, 기업인수시장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한편 차입경영이라는 특징을 가진 우리 나라 기업의 현실에서 은행이 적극 개입함으로서 경영감시의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도 한다. 그러나 금융기관의 소유구조와 자율성 및 독립성이 선결과제로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기업의 지배구조에 대한 논의는 기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기업지배의 개념은 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전제로 정의된 것이기 때문에 소유자경영이 보편화되어 있는 우리 나라의 기업 현실에 외국의 기업지배제도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지배구조의 개선 노력은 점진적으로 그리고 전반적으로 추진되어야겠지만 선택은 기업의 자율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Structure and Conduct Methods of the World Rice Market: Focusing on the Top 4 Major Rice Exporting Countries (국제 쌀 시장에 대한 구조와 행위 분석: 주요 쌀 수출국들을 중심으로)

  • Kang, Hyunsoo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3 no.3
    • /
    • pp.93-11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world rice market through structure and conduct frameworks utilizing annual data from 1970 to 2007. The world rice market has been unstable for much of the period post-World War II, with prices volatile and the availability of supplies uncertain. Therefore, analysis of the structure and conduct of the world rice market can provide information to better formulate the direction of future policies. Also, this paper will describe the effects of total production, export rice price, market concentration, and real exchange rate for exporting countries on total export rice volume. On basis of the expected results, the international rice market possesses market power with respects to static calculation and hypothesis test, and it will be demonstrated that exporting countries' currency crucially affects the exporting quantity and market power of those same exporting countries.

새 정부의 대기업집단정책

  • 이동규
    • Journal of Korea Fair Competition Federation
    • /
    • no.91
    • /
    • pp.2-7
    • /
    • 2003
  • 새 정부가 국정비전과 국정과제의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lceil$공정과 투명$\rfloor$, $\lceil$자유롭고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rfloor$은 곧 지배구조의 개선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업 지배구조의 개념 및 목표는 기업 내$\cdot$외부 이해관계자들의 견제와 균형을 통해 기업의 시장가치와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라는 점에서 지배구조를 개선해 나가기 위한 모든 시장참여자들의 노력이 필수적이다. 특히 대기업집단의 지배구조는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훨씬 더 투명해야 하고 바람직한 모델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제도의 완비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그 제도를 운용하는 정부와 제도의 적용대상이 되는 기업의 의식의 변화라고 생각한다.

  • PDF

Inter-city Flight Connectivity and Polycentricity in the Yeongnam Region (영남권 도시 간 화물 연계성과 다중심성)

  • Choi, Byung-Doo;Song, Minje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1 no.1
    • /
    • pp.39-61
    • /
    • 2015
  • This paper reviews literature on urban connectivity, and reconsiders the concept of polycentric urban region and its analysis methods, and then, applying them, explores the inter-city flight connectivity and polycentricity in the Yeongnam Region. As results of analysis,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entropy index shows a relatively dispersing pattern of the urban network of the region, and that the dominance index reveals a more polycentric (that is, less hierarchic) character of the region than that of the Capital Region, while some differences are found among individual cities in the symmetry of connectivity and the dominance and/or dependence index. Even though flows of products in textile, basic metals, and automobile industries in sub-divisions of manufacture appear a pattern of concentring into the first central city, the urban network of the Yeongnam Region in general can be characterized as a polycentrism, and policy for polycentric regional development would be suggested.

  • PDF

The Analysis of Subcontracting Trade in the IT Industry located in Gyeonggi-Do (경기지역 IT산업의 하도급거래 분석)

  • Yoon, Choong-Han;Son, Jong Chi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5
    • /
    • pp.3146-3152
    • /
    • 2014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for the controlling power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ubcontracting trade between the downstream producer and the upstream supplier using a survey data for the IT industry in Gyeonggi-Do.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ordered logit and least squar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a firm. s controlling power across the downstream producer and the upstream supplier in the subcontracting trade would grow bigger when the company is bigger, more manufacture-oriented, and has higher ratio of export in sales. Second, the analysis for the upstream suppliers indicates that the higher dependent ratio of the subcontracting trade in the sales, the lower the concentration ratio of the R&D in the sales. Lastly, the analysis of the downstream producers indicates that the higher the dependent ratio of the subcontracting trade in the sales,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ratio of the R&D in the sales, which is distinctively contrast with the analysis result of the upstream suppliers. The overall estimation results are, hence, unsupporting to the transaction cost theory which predicts the increase of R&D investments in both downstream producer and upstream supplier.

Analysis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Water Industry (우리나라 물산업 기술 경쟁력 분석)

  • Ryu, Munhyun;Park, Imsu;Kim, Sang moon;Choi, Hyo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7-47
    • /
    • 2021
  • 글로벌 물산업의 규모는 2019년 기준 약 1,000조원 수준으로 2024년까지 연평균 3.5%의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디지털 물산업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4차산업혁명 등으로 지속 성장이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물산업 시장의 성장은 물산업분야의 기술경쟁력의 중요도가 더욱 높아질 것을 예상하게 한다. 우리나라의 물산업에 있어서 기술경쟁력 분석을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나 대부분 설문조사에 근거한 정석적 분석에 의존하여 왔다. 정성적인 분석에 의존한 연구의 경우, 대상 응답자들이 특정 분야에 치중되어 분석되거나 긍정적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어 우리나라의 물산업 기술의 현재 상황을 과대평가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연구시점, 설문분야에 따라 결과가 상이할 수 있어 결과의 신뢰성 및 시계열적 추이분석이 어려워 물산업정책 수립을 위해 활용되는데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연구에서는 기존의 정성적 분석에서 벗어나 정량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우리나라의 물산업 기술수준과 시장지배를 동시에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물산업의 기술영향력지수(Cites per Patent)와 시장지배력지수(Patent Family Size)를 기준으로 선도국가와 국내 물산업 기술수준 및 시장영향력을 비교하고 평가하였다. 연구결과의 정책적 활용을 위해 물기술과 물시장의 상이한 분류체계를 물시장 중심으로 재분류하여 물산업 기술경쟁력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의 국내 기술영향력 중 가장 낮은 분야는 하수도 디지털 분야로 선도국가 대비 30% 수준이었으며 시장지배력분야 또한 하수분야로 7%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