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방질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2초

우리나라 전통콩의 이화학적 특성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Soybeans)

  • 김강성;김민정;이경애;권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35-341
    • /
    • 2003
  • 본 실험에서는 대표적인 전통콩 6품종(청태, 서리태, 진주리, 수박태, 유태, 흑태)과 미국산 수입콩 1품종 등 7품종을 시료로 사용하여 종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과 기능성 성분을 조사하였다. 콩의 백립중은 유태가 극소립중이었고, 흑태가 대립중이었다. 품종간에 종실과 껍질을 제거한 콩의 색도도 차이를 보였다. 단백질 함량은 전통콩이 모두 40%을 넘는 함량을 나타냈고, 그중 진주리가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수입콩이 38.7%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조지방함량은 전통 콩중 진주리가 가장 낮고, 수입콩이 다른 품종에 비해 지방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총 지방질의 지방산중 linoleic acid가 가장 많았고, oleic acid, palmitic acid 순이고 불포화 지방산이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서리태가 85.2%로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포화지방산의 경우 수입콩이 16.5%로 다른 품종에 비해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진주리콩은 단일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의 함량이 높고 다중불포화 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의 함량이 낮았다. 콩의 필수 아미노산인 lysine 함량은 48.2-56.5 mg/g-protein이었다. 콩에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져진 methionine, cysteine, histidine 등은 전통콩에서도 매우 적게 함유 되어있다. Methionine의 비율이 다른 아미노산에 비해 품종에 따른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산초유의 지방산 조성과 마우스 혈청 및 간장의 지방산 조성변화 (Fatty Acid Composition of Serum and Liver in Mice and Sancho(Zanthoxylum schinifolium) Seed Oil)

  • 차재영;신승렬;조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08-312
    • /
    • 2000
  • 산초유 전지질 분획에서 주요 구성지방산 조성은 eicosenoic acid 30.88%, linoleic acid 23.4%, oleic acid 19.94%, palmitic acid 10.52% 순으로 나타났으며, n-9계열 일가불포화지방산이 약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또한 산초유의 각 지질 분획의 구성지방산 조성에서는, triglyceride 분획에서 eicosenoic acid가 41.16%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 분획들에서는 oleic acid가 34.32~53.58%로 높게 나타났다. 마우스를 24시간 절식시킨 상태에서 산초유를 마리당 500 mg씩 강제 경구투여 한 후 혈청 및 간장 전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투여전, 투여 3시간 및 6시간 후의 경시적인 변화를 관찰한 결과, 혈청 전지질 중의 eicosenoic acid가 투여 전에는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투여 3시간 및 6시간 후에는 경시적으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간장에서도 산초유 투여 6시간 후에 eicosenoic acid의 유의적인 증가가 나타났다. 따라서, 혈청 및 간장 전지질 중의 eicosenoic acid의 증가는 산초 원료유의 섭취 영향과 지방질 대사과정에서 oleic acid로부터의 전환이 시사되어진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산초유에는 일반 종실유와는 달리 n-9 계열 일가불포화지방산인 eicosenoic acid와 oleic acid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마우스의 혈청 및 간장 전지질 중의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경구투여한 원료유 지방산 섭취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시사되어졌다.

  • PDF

Spirulina platensis가 생산하는 phycobilins의 spectral 특성 및 phycocyanin 색소의 안정성 (Stability of Phycocyanin and Spectral Characteristic of Phycobilins from Spirulina platensis)

  • 주동식;조순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82-488
    • /
    • 2000
  • 실린더 배양기에선 구한 최적의 조건을 helical tubular photobioreactor (18L)에 맞도록 조절하여 수확한 S. platensis의 일반성분을 분석 한 결과, 단백질은 $64.5{\pm}2.8$, 당질은 $20.8{\pm}1.9$, 지방질은 $7.2{\pm}1.2$ 및 회분 함량은 $7.8{\pm}0.8$이었다. 본 균체로부터 c-phycocyanin을 추출하여 염석과 Sephadex G-100으로 정제한 결과 크게 3개의 획분이 확인되었다. 이 획분들의 스펙트럼을 분석한 결과, 최대 흡광 영역 652nm의 allophycocyanin과 최대 흡광 영역 622 nm의 c-phycocyanin이 확인되었고, 확실하지는 않지만 phycoerythrin으로 추측되는 한 획분을 얻을 수 있었다. 한편, c-phycocyanin 획분은 건조 균체량에 대해 $1.5{\%}$ 정도의 매우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부분 정제된 c-phycocyanin의 안정성을 실험한 결과, 저온에서는 매우 안정하였으며, $50^{\circ}C$ 이상의 온도에서는 약간 변색이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빛에 대한 반응은 15000 lux까지도 전혀 변색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25000 lux에서는 약 $25{\%}$의 변색이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pH에 대해서는 중성부근이하 pH 4까지의 산성영역에서는 매우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9 이상의 알칼리 영역에서는 다소 불안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pH 11의 조건에서는 $15{\%}$ 정도의 변색이 일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pH, 온도 및 빛 강도의 변화에 따른 금속의 영향을 확인하지는 않았으나 본 실험 조건에서는 종류에 관계없이 c-phycocyanin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침이 멥쌀의 이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Affected by Steeping Conditions)

  • 김성곤;방정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26-1032
    • /
    • 1996
  • 쌀(품종 : 추청벼)의 수침온도$(7^{\circ},\;15^{\circ},\;20^{\circ}30^{\circ}C)$와 수침시간($2{\sim}4$시간)에 따른 이화학적 성질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쌀의 수침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침지액의 pH는 감소하였으며 그 정도는 수침온도가 높을수록 컸다. 고형분의 손실량은 수침온도 $7^{\circ}C$에서는 3.8% 정도, 수침온도$15^{\circ},\;20^{\circ}C$$30^{\circ}C$에서는 4.0% 정도로서 수침시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단백질은 수침온도에 관계없이 수침 2시간에 현저히 감소하였고, 지방질은 수침 2시간 후에 약간 감소하고 그 이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회분은 수침시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한 다음 일정한 값을 보였다. 수침한 쌀의 물결합능력은 수침온도 $15^{\circ}C$이상에서 처음에는 증가하다가 어느 시간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침한 쌀의 팽윤력은 수침온도 $7^{\circ}C$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수침온도 $15^{\circ}C$ 이상에서는 약간 높은 값을 보였으며 동일한 수침온도에서 수침시간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쌀가루-요오드 복합체의 625 nm에서의 흡광도는 대조구보다 약간 높았으며, 최대흡수파장은 대조구 558 nm보다 높은 570 nm이었다. 수침한 쌀가루의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호화개시 온도는 수침온도 $7^{\circ}C$에서는 대조구와 같았으나 수침온도 $15^{\circ}C$이상에서는 수침시간에 관계없이 대조구보다 $1.5^{\circ}C$ 낮았다. 최고점도는 모두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동일한 수침온도에서는 수침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점도붕괴도는 수침한 시료가 모두 대조구보다 큰 값을 보였고 setback은 모두 대조구보다 낮았다. 아밀로그래프의 최고점도의 대수값은 수침온도에 관계없이 일정 수침시간 범위내에서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고, 점도증가 속도 상수와 수침온도의 관계로부터 구한 활성화 에너지는 2,320 cal/mole, $Q_{10}$값은 1.14이었다.

  • PDF

Lysozyme의 Liposome 미세캡슬화와 유출 촉진 (Liposome-Microencapsulation of Lysozyme and Its Stimulated Release)

  • 김태종;김영숙;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99-404
    • /
    • 1996
  • Liposome내에 효소를 포집시켜서 식품가공공정에 응용하기 위하여 모델 효소로서 Iysozyme을 선택하여 dehydration-rehydration법으로 미세캡술화시킬 때 조제 조건이 포집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외부 환경 인자의 변화 및 유출 촉진제의 첨가가 liposome 내의 효소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MLV 현탁액을 bath sonicator에서 100 kHz로 2시간 초음파 처리했을 때 1ozyme의 포집효율이 90.9%로 가장 높았다. 초기 효소 첨가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단위 지방질당 포집 효소량은 거의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포집효율은 감소하여 1osozyme 50 mg/100 mg soy lecithin일 때 68% 수준까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그 이상의 실험농도 범위에서는 매우 완만하였다. 효소를 포집한 liposome은 $37^{\circ}C$, pH 5.9에 저장하였을때에 가장 안정하였고 산성일수록 유출속도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일정한 속도로 지속적으로 유출되었다. Tween 80 1.0%와 흔합했을 때 초기 24시간 동안에는 급격히 유출되었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완만히 유출되어 72시간 경과 후 85%까지 유출되었다. 또한 $Ca^{2+}$ ion을 25-5OmM첨가했을 때 초기 1시간동안 급격히 유출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완만히 유출되었다.

  • PDF

옥수수전분 제조공정의 부산물인 maize germ의 지질 및 아미노산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Maize Germs Separated in the Manufacture of Cornstarch)

  • 조성환;김재욱;최종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21
    • /
    • 1986
  • 옥수수전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의 산업적 이용과 공장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옥수수를 파쇄하고 비중의 차로 전분부와 분리하여 모아지는 배아함유 폐기물의 조성분을 분석 정량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성분으로 조단백질이 25.3%, 조지방이 19.2%로 나타났으며 시료 100g당 열량은 512kca1로 우수하였다. 2. 무기성품의 함량은 Ca, P이 비교적 낮았으며, K, Mg, Zn, Mn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3. 유지의 화학적 특성으로는 요오드가는 44.0 검화가 292.3, 산가 1.5, 과산화가 3.3이었으며 종자나 배아의 지방질 특성과 비슷하였다. 4.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획된 지질은 대부분 중성지질 이었으며 다음으로 당지질, 인지질 순이었다. 5. 전지질, 유리지질 및 결합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60{\sim}62.5%)$, oleic$(20{\sim}22.5%)$ 및 palmitic acid$(10{\sim}13.5%)$이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 보다 훨씬 많았다. 6. 질소화합물은 불용성 단백태질소함량이 32.5%로 가장 많고, 수용성 단백태질소 12.7% 및 peptide태 질소화합물은 3.3%로 적은 함량을 보였다. 7. 단백질의 주요 amino산은 glutamic, glycine, alanine 및 aspartic acid등 이었으며 곡류에 결핍되기 쉬운 lysine을 포함한 필수아미노산도 고루 함유되어 있었다. 8. SDS-disc electrophoresis 결과 $5{\sim}6$개의 단백질 band를 확인하였으며, $14,500{\sim}24,500$ 정도의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이 주종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인삼의 근, 엽 및 경의 일반성분, 용매별 엑기스 및 사포닌 함량 비교 (Content Comparison of Proximate Compositions, Various Solvent Extracts and Saponins in Root, Leaf and Stem of Panax Ginseng)

  • 김석창;최강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18-122
    • /
    • 1987
  • 인삼의 재배과정중에 부산물로 산출되는 지상부위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엽과 경의 반성분, 용매별 엑기스 및 사포닌함량을 근의 함량과 대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엽은 총당의 함량이 21.5%로 근보다 낮았으나 조직유질, 조지방질 및 회분은 각각 9.41%, 3.43% 및 6.83%로 높았다. 경은 조직유질이 39.2%로 현저하게 많았고 총당과 조단백질은 22.7% 및 8.54%로 근보다 낮았다. 2. 용매별 추출물의 수율은 추출용매의 극성이 클수록 높았으며 근과 경에 비하여 엽은 methanol 및 ehanol 추출물의 수율이 35.9% 및 27.3%로 현저하게 많았고, acetone 및 ethyl acetate추출물도 5.64% 및 3.52%로 높았으며 그 외의 비극성 용매의 추출물의 수율도 대체로 높았다. 3. 총 조saponin의 수율은 근과 경은 4.78% 및 2.22%였으나 엽은 19.58%로 현저하게 높았다. HPLC에 의한 분석결과 엽에는 ginsenoside-Rg1(3.32%), -Re(3.24%), -Rd(2.32 %), -Rc(0.65%), -Rb2(0.92%), -Rbl(0.29%), and -Rf(0.11%)가 함유되었고, 경에는 ginsenoside-Rgl(0.28%), -Re(0.3%), -Rd(0.05%), -Rf(0.11%)외에 미량의 -Rbl, -Rb2, -Rc가 검출되었다. 특히 엽은 총 saponin과 ginsenoside-Rg1, -Re 및 -Rd외에도 -Rc와 -Rb2의 함량이 높아서 이들 성분의 분리용 시료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인삼근의 지질 분포 (Distribution of Lipids in Panax ginseng Root)

  • 김우갑;이창섭;정병갑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93-103
    • /
    • 1988
  • 인삼근의 구조적인 차이점에 따른 지질의 함량 및 지방질 조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chloroform-methanol로 추출한 지질을 column, thin layer, gas-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각 부위별 정제 지질은 1.08~2.23%로서 그 조성면에서 볼 때 중성지질은 64.2~73.5%였고 당지질은 15.4~17.4%였으며 인지질은 10.4~19.2%였다. 특히 피층에서는 중성지질의 함량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이곳에만 특징적으로 존재하는 지질분비관에서 합성 분비된 중성지질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점은 조직화학적 관찰 결과 분비관 내강의 분비물질이 nile blue에 적색의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더욱더 뒷바침 될 수 있었다. 중성지질 획분중에는 triglycerides, sterol esters and hydrocarbons 의 함량이 높았고 그외에 1,3-diglycerides, monoglycerides, 1,2-diglycerides, free sterols, free fatty acids와 미동정된 5종류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중심주에서는 unidentified II, IV 및 V가 검출되지 않은 점이 특이하였다. 당지질 획분 중에는 sterol glucoside, digalactosyl diglyceride 및 esterified sterol glucoside가 주성분이었고 미동정된 6종류가 검출되었다. 인지질 획분 중에는 phospatidyl glycerol,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ethanolamine이 주성분이었고 그 외에 phosphatidic acid, phosphatidyl inositol 및 미동정된 2종이 검출되었다. 각 부위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 획분 중에서 모두 18종류의 지방산이 동정되었는데 주요지방산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였으나 각 지방산의 함량은 부위별 및 지질분획에 따라서 다소 상이하였다.

  • PDF

장려품종 나물콩으로 재배한 콩나물의 일반성분 및 관능적 특성 (Proximate Compositions and Sensory Attributes of Soybean Sprouts with Recommended Soybean Cultivars)

  • 이경애;김용호;김희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5-333
    • /
    • 2016
  • 네 품종의 장려품종 나물콩(녹채콩, 다원콩, 서남콩, 풍산나물콩)으로 재배한 콩나물의 일반성분 함량과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생콩나물과 데친 콩나물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콩나물을 자엽(머리 부분)과 배축(줄기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의 일반성분 함량도 측정하였다. 생콩나물과 데친 콩나물의 탄수화물, 지방질, 단백질, 회분 함량은 자엽이 더 높았으며, 수분 함량은 배축이 더 많았다. 콩나물의 일반성분은 나물콩 품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데친 후 성분 함량이 변화하였다. 생콩나물은 콩비린 맛과 풀맛이 약하고 고소한 맛과 단맛이 강할수록, 데친 콩나물은 콩비린 맛과 풀맛이 약하고, 고소한 냄새, 고소한 맛, 단맛이 강할수록, 콩나물무침은 고소한 맛과 단맛이 강할수록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생콩나물에서 기호도가 가장 좋았던 서남콩 콩나물과 풍산나물콩 콩나물은 데친 콩나물과 콩나물무침에서도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므로, 서남콩과 풍산나물콩이 데친 콩나물 및 콩나물 무침용 콩나물 생산에 적합한 나물콩으로 생각되었다.

한국 청소년의 에너지 소비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ergy Expenditure in Korean Adolescent)

  • 오승호;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
    • /
    • 1992
  • 본 연구는 $16{\sim}18$세의 남자 고등학생 7명을 대상으로 4주간 평상시와 같은 생활양식과 적정 체중을 유지시키면서 에너지 섭취량(GE)과 체내 에너지 보류량(BE)의 변동을 측정하므로서 (에너지 평형법) 에너지 소비량(EE)을 산출하였다. 에너지 섭취량과 대변으로의 에너지 손실량(FE)은 열량계로 측정하였고 소변의 것 (UE)은 질소 배설량으로부터 환산하였다. 지방 조직량(FM)은 피부두께를 측정하여 산출한 신체 밀도법에 의하였다 1) 총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당질, 단백질 및 지방질의 구성비는 각각 $73.7{\pm}0.3%,\;13.5{\pm}0.3%$$12.9{\pm}0.5%$이었다. 2) 총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대변으로의 에너지 손실율은 2.4% 이었다. 3)대변과 소변으로의 에너지 손실량을 감하여 산출한 1일1인당 평균 대사에너지량(ME)은 $2582{\pm}61kcal$이었다. 4) 28일동안의 체성분 변동량으로부터 산출한 체내 총 에너지 변동량(BE)은 평균 $4309{\pm}1837kcal$가 감소되었다. 5) 1일1인당 평균 에너지 소비량은 $2736{\pm}59kcal$로서 체중 kg당 $46{\pm}1kcal$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