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방질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5초

멥쌀과 찹쌀중의 극성 지방질의 조성에 관한 비교 (Comparative Studies on the Polor Lipids Composition in Nonglutinous and Glutinous Rice)

  • 신효선;양주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3-148
    • /
    • 1986
  • 우리나라에서 재배된 4품종의 멥쌀과 2품종의 찹쌀 중의 극성지방질의 조성에 대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멥쌀과 찹쌀 중의 당지방질의 주요성분은 esterified sterylglycosides, monogalactosyl diglycerides, steryl glycosides, digalactosyl diglycerides 및 cerebrosides 였으며, 이들 함량은 멥쌀과 찹쌀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멥쌀과 찹쌀 중의 인지방질의 주요성분은 Iysophosphatidyl cholines, phosphatidyl cholines, phosphatidyl inositols 및 phosphatidyl ethanolamines 이였다. 그러나 lysophosphatidyl cholines과 phosphatidyl cholines은 멥쌀이 찹쌀에서 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phosphatidyl ethanolamines 과 phosphatidyl inositols는 찹쌀이 멥쌀에서 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멥쌀과 찹쌀의 당 및 인지방질 획분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linoleic 및 oleic acid였다. 그러나 당지방질 획분 중의 palmitic acid는 멥쌀이 찹쌀에서 보다 함량이 높았고, 인지방질 획분 중의 oleic 및 stearic acid는 멥쌀이 찹쌀에서보다 적었으나, linoleic acid는 멥쌀이 찹쌀에서 보다 많았다.

  • PDF

냉이의 지방질(脂肪質) 및 지방산(脂肪酸) 조성에 관한 연구(硏究) (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Herba Capsellae (Capgella bursa-Pastoris Linne))

  • 배만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3-86
    • /
    • 1987
  • 냉이의 지질성분을 추출(抽出)정제하여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y, TLC, GLC등을 이용하여 지방질의 조성 및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냉이의 엽(葉)과 근(根)의 총지질을 분획한 결과는 각각 중성지질 62.6%, 58.5% 당지질 20.8%, 17.8% 및 인지질 16.6%, 23.7%이였다. 2. 냉이의 엽(葉)과 근(根)의 중성지질 중에는 각각 TG가 77.5%, 80.3%로 가장 많이 함유했고, SE 9.2%, 8.4% FFA 4.8%, 3.8%, 12-DG 4.1%, 3.6% FS 2.2%, 2.2% 및 1.3-DG 1.3%, 1.0%순이었다. 3. 각 지방질분획의 지방산조성은 다같이 linoleic acid, palmiric acid, oleic acid가 지방산이었다. 그리고 불포화도는 냉이 엽(葉)의 NL, GL, PL은 각각 78.0%, 66.6% 및 75.2%이고 냉이 근(根)의 NL GL 및 PL은 66.1%, 63.6% 및 6.12%였다.

  • PDF

인유(入乳) 및 우유(牛乳)의 지방산 조성에 관하여 (Fatty Acid Composition of Human and Cow's milk)

  • 윤태헌;임경자;김을상;정우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5-20
    • /
    • 1982
  • 모유 영양에 관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초유 및 성숙유의 총 지방질 함량을 측정함과 아울러 그 지방산 조성을 gas liquid chromatography 로 분석하였으며, 비교로 시유의 지방산 조성도 분석하였다. 사람의 초유의 총 지방질 함량은 성숙유의 그것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인유 지방산 중 10 :0, 12 : 0, 14 : 0 등의 지방산은 수유 기간이 경과(초유에서 성숙유로)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0 : 2, 20 : 4, 22 : 5 등의 extra-long chain 고도불포화 지방산은 성숙유에서보다 초유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초유 및 성숙유에서 가장 많은 필수 지방산은 18 : 2였으며, 초유와 성숙유 간에 유의차는 없었고 10여년전 보고치보다 높았다. 시유의 지방산 조성을 인유(성숙유)의 그것과 비교하여 본 바 단쇄, 중쇄, 장쇄 지방산들이 유의하게 높은 경향이었고, 장쇄 불포화 지방산들은 유의하게 낮은 경향이었다.

  • PDF

시판 낙농제품 중 Conjugated Linoleic Acid의 함량 (Conjugated Linoleic Acid Contents in Commercial Dairy Products)

  • 문은덕;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243-1246
    • /
    • 1998
  • 시판되는 우유 15종, 요쿠르트 16종, 치즈 5종에 대하여 항암성분으로 알려진 CLA 함량을 분석하였다. 우유와 치즈 중 CLA 함량은 지방질 g 당 각각 $4.10{\sim}2.24\;mg$$5.78{\sim}3.69\;mg$ 였으며, 제품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요쿠르트 중의 CLA 함량은 지방질 g 당 $4.54{\sim}0.13\;mg$ 이었으며, 탈지유로 제조한 것은 원유로 제조한 것에 비해 그 함량이 낮았다. 낙농제품 중 CLA함량과 특정 지방산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3가지 낙농제품에서 CLA 함량은 oleic acid 함량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linoleic acid 함량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각각 있었다. 우유 중의 CLA 함량은 linolenic acid 함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치즈와 요쿠르트 중의 CLA 함량은 linolenic acid 함량과는 서로 상관관계가 없었다.

  • PDF

한국산 두류 종실중 토코페롤 함량 및 지방산 조성 (Tocopherols and fatty acids in plant seeds from Korea)

  • 이인복;최강주;유광근;장기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1호
    • /
    • pp.1-5
    • /
    • 1992
  • 한국에서 다양한 용도의 식품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13개 두류의 종실에 대한 토코페롤과 지방산조성을 HPLC와 GC로 각각 분석하였다. 총 토코페롤 함량은 $4.74{\sim}44.05\;mg/100g$으로 두류에 따라 함량차이가 현저하였으며, 동족체별 토코페롤 함량은 ${\gamma}->{\delta}->{\alpha}-$토코페롤 순이었으나, 적소두 및 갈소두에서는 ${\delta}->{\gamma}->{\alpha}-$토코페롤 순이었다. 지방질 함량도 $0.53{\sim}20.96%$로 함량차가 현저하였으며, 특히 지방질 함량이 $15.78{\sim}20.96%$인 두류는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86.5{\sim}88.2%$로 높았고 그 중 linoleic acid가 $56.0{\sim}56.8%$로 현저하게 높았으며, 총 토코페롤 함량도 $23.2{\sim}44.05\;mg/100g$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또한 불포화지방산과 ${\gamma}$-토코페롤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토스팅에 따른 김의 지방질 산화, 산화방지성분과 색소 변화 (Toasting Effects on the Lipid Oxidation, Antioxidants, and Pigments of Dried Laver (Porphyra spp.))

  • 손수정;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77-681
    • /
    • 2014
  • 건조 김은 $120^{\circ}C$에서 40 s 또는 300 s, $250^{\circ}C$에서 2 s, 5 s의 토스팅 과정에 의해 과산화물값과 공액이중산값이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의 함량 비율인 U/S 값이 감소하는 등 그 정도가 크진 않았으나 유의하게 지방질이 산화되었으며, 토스팅 조건 차이에 따른 유의한 영향은 없었다. 또한 산화 방지 성분 중 포피란이 김의 토스팅에 가장 안정하였고 폴리페놀 화합물이 가장 불안정하였다. 토스팅에 의해 김에 존재하는 색소 중 파이코사이아닌과 파이코에리트린의 분해가 가장 컸으며, ${\beta}$-카로텐과 루테인은 30-50% 정도의 분해율을 보였고 클로로필 a의 분해율은 10% 미만으로 가장 안정하였다.

비자(榧子)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제 1 보(濟 1 報) : 비자유(榧子油)의 물리화학적(物理化學的) 특성(特性)-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Torreya nucifera Seed -I.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eed Oil-)

  • 임희수;윤광로;정동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24-327
    • /
    • 1980
  • 비자유(榧子油)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일반분석치는 수분 12.33%, 조단백질 9.46%, 조지방질 54.29%, 섬유소 5.28%, 회분 2.13%로서 조지방 함량이 대단히 높음을 알 수 있다. 2) 비자유(榧子油)의 비중은 0.92, 굴절율은 1.47, 요드값은 127, 비누화값은 182.2, 산값은 9.5, 에스테르값은 172.7이었다. 3) 지방산의 조성은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등의 포화지방산이 10%이하이며, 불포화지방산 인 올레산 31.68%, 리놀레산 46.77%, 리놀렌산 0.38%로서 리놀레산의 함량이 높고 리놀렌산은 대단히 적었다.

  • PDF

가열 및 건조방법이 새우의 극성지방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king and Drying Methods on the Polar Lipids Composition of Shrimp)

  • 김현구;조길석;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5-30
    • /
    • 1989
  • 가열처리 및 건조방법이 새우의 극성지방질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하였다. 새우중의 당지방질의 주요성분은 esterified steryl glycoside, monogalactosyl diglyceride 및 steryl glycoside 이었으며, 열풍건조한 것은 동결건조한 것보다 esterified steryl glycoside 함량은 유의적으로 많은 반면에 monogalactosyl diglyceride 함량은 적었다. 새우중의 인지방질의 주요성분은 phosphatidyl enthanolamine,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ic acid, phosphatidyl inositol, phosphatidyl serine 이었으며, phosphatidic acid 함량은 가열처리 하지 않고 열풍건조한 것은 8.3%, 동결건조한 것은 5.9%로서 전자가 후자보다 유의적으로 많았고, phosphatidyl ethanolamine 함량은 마이크로파 처리 할 경우 동결건조한 것은 열풍건조한 것보다 그 함량이 많은 반면에 phosphatidyl choline함량은 적었다. 생새우의 당 및 인지방질 획분의 주요 지방산은 pentadecano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nervonic acid 및 eicosapentaenoic acid 이었다.

  • PDF

사상체질(四象體質)과 비만(肥滿)의 상관성에 관한 임상적 연구

  • 김달래;백태현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19-335
    • /
    • 1996
  • 연구 목적 : 복지부 발표 '1993년도 대한민국 국민들의 영양상태'보고서를 보면 1인당 섭취열량은 1969보다 257Kcal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일부의 사람들은 과도한 열량을 섭취하고 있기 때문에 비만인 사람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보니 신문이나 잡지에서는 거의 매일 살빼는 약이나 신종 다이어트방법에 대한 광고와 기사를 앞다투어 내보내고 있는 실정이다. 비만증은 근래에 발병률이 현저히 증가하면서 중풍, 당뇨병, 고혈압, 암, 간경화증, 당석증 등의 만성질환의 이환율을 증가시키고, 관절에 큰 부담을 주어 골관절염을 보다 빠르게 진전시키며, 사람들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비만증은 용모의 손상을 일으켜 정신적인 스트레스의 주요 인자로 등장하고 있기도 하다. 비만인이 증가하는 원인으로는 서구화된 음식습관으로 동물성 지방질과 단백질의 섭취증가, TV 자동차 세탁기 오디오 리모콘 등 생활이기의 사용으로 인한 운동부족, 체질과 질병 등이 재기되고 있다. 이제까지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있었으나 주된 이론은 섭취음식의 절재와 운동량을 증가시키는 것이었으며, 체질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비만증을 해결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이에 저자는 1992년 8월 20일부터 1995년 8월 19일까지 만 3년동안 상지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체질의학과에서 치료받는 4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사상체질과 비만과의 상관성을 임상적으로 연구하고 그 효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연구 결론 : 상지대학교 부속한방병원에 내원치료를 받고 있는 비만증환자들을 대상으로하여 체질과 비만과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만증 환자의 70.2%가 태음인이었다. 2. 치료결과 4주동안에는 $1.48{\pm}1.64kg$, 5주부터 8주동안에는 $2.05{\pm}2.10kg$, 9주부터 12주동안에는 $2.18{\pm}2.27kg$, 13주부터 16주동안에는 $2.08{\pm}2.88kg$이 감량되었다. 3. 체중감량에 있어 태음인이 가장 많은 감소를 보였다. 연령별로는 10대에서 가장 많은 감소를 보였다. 4. 비만환자의 혈액 가운데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방단백이 높온 사람보다 유리지방산과 중성지방이 높은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5. 비만인의 혈청지질에서는 FFA, TG가 높았다. 그 이유는 육식보다는 당질과 지방질의 섭취로 나타난 것이었다.

  • PDF

미강의 산화 지질이 단백질과 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Peroxidized Lipid on the Protein Isolate and Protease Activity of Rice Bran)

  • 송영옥;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90-595
    • /
    • 1990
  • 미강으로부터 추출한 단백질과 부분 정제한 단백 분해효소에 미강 지질을 산패시킨 과산화지질 및 이들의 분해산물을 반응시킨 model system에서 아미노산과 효소활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Protein isolate의 아미노산 조성은 반응 후 현저히 파괴되었으며, 특히 염용성 protein isolate의 경우 90% 이상의 파괴가 관찰되었다. 아미노산 중 aspartic acid, cystine, glutamic acid, histidine, methionine, phynylalanine, 그리고 valine 등은 현저히 감소되었다. Protease 활성의 감소는 formaldehyde와의 반응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formic acid, 미강의 과산화지방질, 그리고 미강 산화지질의 hydroperoxide의 순으로 영향을 받았다. 미강 protease 활성 저해에 미치는 영향은 과산화 지방질의 2차 생성물의 영향이 1차 생성물의 영향보다 현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