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방질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5초

숯불구이시 육류의 지방질 및 소금 함량이 돌연변이 유발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pid and Salt Contents on the Mutagenicity of Charcoal-Broiled Meats and Fishes)

  • 박미은;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75-378
    • /
    • 1989
  • 돼지고기, 쇠고기, 생선의 숯불구이시 지방질 함량과 양념 중의 소금농도가 돌연변이 유발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 균주를 사용하여Ames test를 수행하였다. 숯불구이한 육류의 클로로포름: 메탄올(1:1) 추출액은 TA 100 균주보다는 frameshift 돌연변이가 유발되는 TA98 균주에서 더 예민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돼지고기, 쇠고기 및 생선에서 지방질 함량이 낮을 때 돌연변이 유발능이 약간 크게 나타났다. 돼지고기와 쇠고기에서 숯불구이전 20% 소금용액으로 처리한 시료는 처리하지 않은 시료보다 돌연변이 유발능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Red Muscle과 White Muscle의 근섬유간 지방질의 조성 비교 (Comparison of Intramuscular Fat Composition of Red Muscle and White Muscle)

  • 양융;김기태;신완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05-510
    • /
    • 1989
  • 1. 섬유간 지방질 함량은 소와 닭의 근섬유의 경우에는 white muscle보다 red muscle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돼지 근섬유의 경우에는 white muscle쪽이 높았다. 2. 근섬유간 지질의 분포를 살펴보면 중성지질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극성지질과의 조성비에 있어서는 동물의 종 및 muscle type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3. 지방관의 조성에 있어서는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비가 두 muscle type 사이에서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돼지의 근섬유간 지방질에는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 PDF

각국 인삼의 지방질성분에 관한 연구 제1보, 유리 지방질중의 지방질 및 지방산 조성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Various Ginsengs 1.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Free Lipids)

  • 최강주;김만욱;김동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193-203
    • /
    • 1985
  •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free lipids in Panax ginseng (Korea, Japan and China), Panax quinquefolium (America, Canada) and Panax notoginseng (China) were studied by means of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thin-layer chromatography and gas-liquid chromatography. Free lipid contents were 1.13 to 1.24% in panax ginseng and 0.87 to 1.18% in Panax quinquefolium and 0.39% in panax notoginseng. Neutral lipid fractions were 81.2 to 84.4%, while glycolipid fractions 8.01% to 14.47% and phospholipid fractions 3.49 to 5.74% in free lipid contents. The major components were triglycerides, free sterols, diglyceride, free fatty acids and sterol esters in neutral lipid fractions, sterol glucoside, monogalactosyl diglyceride, digalactosyl diglyceride, esterified steryl glucoside in glycolipid fractions and phosphatidyl glycerol, phosphatide, ethanolamine, phosphatidyl choline in phospholipid fractions. The contents and compositions of neutral lipids and glyclipids were some different among various ginsengs, whereas phospholipids showed relatively similar compositions in the contents. Seventeen fatty acids were analyzed in the four free lipid fractions from the various ginsengs and the main fatty acids were linole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It was found that the amounts of some fatty acids were different among the various ginsengs, but the fatty acid patterns of these ginsengs were on the whole similar.

  • PDF

각국 인삼의 지방질성분에 관한 연구 제2보, 결합 지방질중의 지방질 및 지방산 조성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Various Ginsengs ll.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Bound Lipids)

  • 최강주;김만욱;김동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204-212
    • /
    • 1985
  •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bound lipids in Panax quinquefolium (Korea, Japan and China), Panax quinquefolium (America, Canada) and Panax notoginseng (China) were studied by means of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thin-layer chromatography and gas-liquid chromatography. The could lipid contents in various ginsengs were 0.29 to 0.48%, in which neutral lipid fractions were 63.6 to 67.3%, glycolipid fractions 21.9 to 25.7% and phospholipid fractions 7.7 to 12.4%. The content compositions of neutral lipid fractions were lower and those of glycolipid and phospholipid fractions were higher in the bound lipids than in the free lipids from the various ginseng. The major components were fatty acids, diglycerides and free sterols in neutral lipid fractions, monogalactosyl diglyceride, sterol glucoside and esterified steryl g1ycoside in glycolipid fractions and phosphatidyl glycerol, phosphatidyl ethanolamine and phosphatidic acid in phosphoipid fractions. Seventeen fatty acids were analyzed in the four bound lipid fractions from the various ginsengs and main fatty acids were linoleic acid, palmitic acid and oleic acid. Total saturated fatty acid and palmitic acid contents were higher and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and linoleic acid contents lower in the total bound lipids than in the total free lipids from the various ginsengs.

  • PDF

포도 종실유의 지방질 성분 (Composition of Grape Seed Oil)

  • 유진영;신동화;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7-260
    • /
    • 1984
  • 포도가공시 얻어지는 부산물인 종실의 이용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및 종실지방질을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은 총당 $2.78{\sim}5.13%$, 조단백질 $7.68{\sim}15.37%$, 석유에테르추출물 $11.31{\sim}16.96%$, 조회분 $1.81{\sim}2.91%$이었다. 포도종실지방은 $89.5{\sim}99.3%$의 트리그리세리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방산은 주로 팔미트산$(6.7{\sim}9.1%)$, 올레산$(13.4{\sim}20.7%)$ 및 리놀레산$(68.1{\sim}78.1%)$으로 구성된 올레-리놀레산계 지방질이었다.

  • PDF

포도씨 지방질의 분획정량과 이화학적 특성 (Quantific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ape Seed Lipids)

  • 이선화;김종범;강한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173-178
    • /
    • 2001
  • 본 연구는 포도씨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식용유지 자원 등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우수자원을 발굴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포도씨의 전체 영양 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은 10.1%, 조단백질 11.7%, 조지방질 29.7%, 조회분 2.53%, 및 총 당 4.38 ${\mu}g/mg$, 환원당 3.96 ${\mu}g/mg$ 등의 평균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조성은 리놀렌산이 가장 많아 평균 66.15%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을레인산>팔미트산>스테아르산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고 리놀레닉산은 아주 적은 량을 함유하고 있었다. 중성지방질의 평균 함량은 85.4%, 당지방질은 6.50%, 그리고 인지방질은 8.06%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포도씨 지방질은 중성지방질의 주성분에 인지방질과 당지방질이 소량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포도씨 조지방질의 평균 검화가는 187.5을 나타내 들깨 기름 보다는 낮고 참깨 기름 보다는 높은 검화가를 나타내었다. 포도씨 기름의 항산화력이 참깨 또는 들깨씨 기름보다 우수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DPH) 환원 능력에 있어서 각각 12 및 50% 높은 항산화 능력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물질과 페놀 함량에 있어서 참깨유 또는 들깨유보다도 많은 량을 함유하고 있다. 암흑 또는 햇빛 보관 조건에 관계없이 포도씨 기름이 참깨나 들깨 보다 낮은 산패도를 나타내고 있어 상당히 높은 산화 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150^{\circ}C$ 열처리를 가한 다음 산패도를 측정하였을 때도 포도씨 기름은 이들보다도 낮은 산패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우수한 산화 안정성은 포도씨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과 관계가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굴비제조중 지방질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nges of Lipid Constituents during Gulbi Processing)

  • 박영희;송은;신말식;전덕영;홍윤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85-491
    • /
    • 1986
  • 참조기를 천일건염법과 정재건염법, 그리고 정제염 복강내 주사법으로 염장하여 조절된 실내와 자연상태에서 건조하여 재조한 굴비의 건조기간에 따른 근육과 표피의 지방질함량의 변화와 변패정도를 측정하였고 근육의 중성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을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다. 생조기의 근육과 표피와 수분함량은 각각 76.8%와 41.3%이였으며 25일 건조후에는 평균 57.3%와 21.8%로 감소하였다. 지방질함량은 생조기의 근육과 표피가 각각 18.4%, 45.8%이었으며 굴비는 건조10일까지 증가하나 그 후 감소하였다. 근육의 중성지방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oleic acid, palmitic acid, palmitoleic acid, eicosapentaenoic acid 순이었으며 굴비에는 docosahexaenoic acid가 3배정도 증가하였다. 지방질의 산값은 생조기 근육의 경우 5.3이었고 표피의 경우 6.4이었는데 25일 건조후에는 각각 $8.2{\sim}9.9$$15.2{\sim}17.8$로 증가되었다. 과산화물값은 생조기 근육에서는 33meq/kg, 그리고 표피에서는 44meq/kg이었으며 건조10일에 가장 높아 각각 $73.7{\sim}111.8meq/kg$$83.9{\sim}129.7meq/kg$이었으며 그 후 급격히 감소되었다. 요드값은 생조기 근육의 경우 137, 표피가 133이었으나 건조 25일후에는 각각 120과 106으로 감소되었다. TBA값은 생조기 근육에서는 4.4mg/kg, 그리고 표피에서는 6.3mg/kg이었으나 건조 25일후에는 각각 20.4mg/kg과 31.4mg/kg으로 증가하였다.

  • PDF

배아를 제거한 현미립내의 일반성분의 분포 (Distribution of Protein, Fat and Ash within the Degermed Brown Rice Kernel)

  • 송보현;김동연;김성곤;김용두;최갑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1-6
    • /
    • 1988
  • 일반계(천마벼, 서남벼 및 섬진벼) 및 다수계(가야벼, 원풍벼 및 이리 362호) 현미의 배아를 제거한 다음 Satake시험 도정기로 무게비로 도정율이 평균 4.4%(분획 I), 4.7%(분획 II). 5.9%(분회 III)씩 도정하여 전체 도감율이 15%정도가 되도록 하고, 현미립내의 단백질, 지방질 및 회분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단백질, 지방질 및 회분 모두 분획 I 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분획 II, 분획 III 및 잔유립의 순서로 함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이들 성분는 품종에 관계없이 비교적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단백질 함량은 분획 I 이 현미 (평균 9.0%)에 비하여 평균 1.98배, 분획 II가 평균 1.88배, 분획 III이 평균 1.59배 높았으며, 잔유립은 현미에 비하여 0.81배이었다. 지방질 함량의 경우에는 분획 I 은 현미(평균 2.1%)에 비하여 평균11.4배, 분획 II는 평균 8.7배 높았으나, 분회 III은 평균 0.70배, 잔유립은 평균 0.06배이었다. 회분의 함량은 분획 I 이 현미(평균 1.0%)에 비하여 평균 5.73배, 분획 II는 평균 4.09배, 분획 III은 평균 2.49배 높았으나, 잔유립은 평균 0.48배이었다. 단백질의 분포비율은 분획 I 및 II 가 각각 8.7%, 분획 III이 9.3%, 잔유립은 전체 단백질의 68.7%를 차지하였다. 지방질은 분획 I 및 II가 전체 지방질의 91.1%를 차지하였으며 분획 III과 잔유립은 $4{\sim}5%$정도이었다. 회분은 분획 I 이 25%, 분획 II가 19.1%, 분획 III이 1.45% 잔유립이 41.8%이었다.

  • PDF

보리와 맥아(麥芽)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에 관한 비교(比較) 연구 -제(第)2보(報) : 극성지질(極性脂質)의 조성(組成)-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Barley and Malt -II. Composition of Polar Lipids-)

  • 이상영;김종승;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42
    • /
    • 1981
  • 우리나라에서 재배된 4가지 품종의 보리와 이들의 맥아에서 추출한 총지방질중 극성지질의 조성을 관, 얇은막 및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가지 품종의 보리와 이들 맥아의 총지방질중 당질의 평균함량은 8.9% 및 12.3%, 인지질의 평균함량은 17.3% 및 19.2%였으며, 보리중의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은 맥아에서 평균 39.5% 및 11.5%가 증가하였다. 2. 보리의 당지질 중에는 DGDG 와 MGDG가 평균 35.5%및 28.6%로 주요성분이 었고 SG와 Cerebroside는 20.7% 및 15.2%이었으며, 보리중의 DGDG 와 MGDG 는 맥아에서 감소되었으나, SG 와 Cerebroside는 증가하였다. 3. 보리의 인지질 중에는 phosphatidyl choline(PC), lysophosphatidyl choline(LyPC), diphosphatidyl glycerol(DPG), phosphatidyl ethanolamine(PE)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맥아는 보리에 비하여 PC, LyPC는 감소하였으나 PE와 DPG는 증가하였다. 4. 보리와 맥아의 지방질중 당지질 및 인지질 획분의 지방산조성과 그 변화는 총지방질과 중성지질 획분의 지방산조성 및 그 변화 패턴과 비슷하였다. 그러나 당지질 획분중에는 리놀레산, 인지질 획분중에는 팔미트산의 함량이 다른 획분들에 비하여 많았다.

  • PDF

폐엽종실(廢棄種實)의 식량자원화(貪糧資源化)에 관(關)하여 -제(第) 1 보(報) : 포도씨의 화학적(化學的) 조성(組成)-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Food Resources from Waste Seeds -I. Chemical Composition of Grape Seed-)

  • 윤형식;권중호;황주호;최재춘;신대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50-256
    • /
    • 1982
  • 미이용(未利用) 폐엽종자(廢葉種字)를 식량자원(貪糧資源)에 이용(利用)하기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爲)하여 포도씨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과 단백질(蛋白質) 성분(成分)을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포도씨의 일반성분중(一般成分中) 조지방(粗脂肪)은 25.1%, 조단백질(粗蛋白質)은 12.0%였다. 2. 포도씨 기름에는 중성지방질(中性脂肪質)이 95.46%이나 복합지방질(複合脂肪質)은 약(約) 4.5%에 불과하였으며, 중성지방질(中性脂肪質)의 성분(成分)으로써는 91.89%가 트리-글리세리드였고, 스테롤에스터, 스테롤, 디-글리세리드 및 유리 지방산은 각각(各各) 3.24% 2.87%, 1.20% 및 0.80%였다. 3.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총지방산(總脂肪酸)과 중성지방질(中性脂肪質)에서 리놀레산$(69.72{\sim}71.72%)$과 올레산$(18.09{\sim}19.46%)$이 주지방산(主脂肪酸)이었고, 총지방질(總脂肪質)과 인지질(燐脂質)은 올레산$(20.20{\sim}35.27%)$과 팔미트산$(26.80{\sim}39.98%)$의 함량(含量)이 비교적(比較的) 높았으며, 중성지방질(中性脂肪質)에서 분별(分別)한 트리-글리세리드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올레산이 43.08%로 가장 늪은 함량(含量)이었다. 4. 염(鹽)$(0.1\;M\;MgSO_4)$ 용해성(溶解性) 단백질(蛋白質) 의 추출율(抽出率)은 약(約) 31%,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은 글루탐산이 가장 높은 함량(含量)이었고 다음이 아르기린, 아스파르트산의 순(順)이었다. 5. 포도씨 단백질(蛋白質)의 전기영동(電氣泳動) 결과(結果) 3개의 밴드를 나타내었고, 분획(分劃)된 주단백질(主蛋白孫)의 수득율(收得率)은 약(約) 82%였으며,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은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및 아르기린의 순(順)으로 높은 함량(含量)이었다. 6. 염용해성(鹽溶解性) 단백질(蛋白質)에서 분획(分劃)된 주단백질(主蛋白孫)의 분자량(分子量)은 약(約) 81,000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