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방도

검색결과 16,257건 처리시간 0.054초

지방도 도로표지의 안내체계개선(안내지명 선정을 중심으로) (A Road Sign Framework Development for Rural Highway System)

  • 최기주;홍원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7-26
    • /
    • 2003
  • 주간선도로의 ITS 사업 등 동적정보의 제공이 최근 도로이용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나, 지방부의 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표지는 아직도 안내기능이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지방부 도로를 대표하는 지방도는 연장에 있어서 모든 도로를 통해서 최장이며 고속국도, 국도, 국가지원지방도와 함께 복잡한 도로망을 형성하고 있다. 즉, 도로의 대종을 차지하는 지방도는 아직도 정적정보제공기반도 취약하다는 것이며, 증가하는 수요에도 불구하고 길 찾기의 기능이 가장 미흡한 도로가 지방도이다. 이러한 지방도의 경우 같은 위계의 지방도 간에도 노선연장 및 지역적 차이가 크며, 노선의 연속성 또한 미약하다. 이러한 지방도 도로안내체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노선별 적절한 안내지명을 선정하고, 선정된 지명을 통해 도로안내 및 표지간의 연계성을 유지하기 위한 도로표지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동에 있어 중추적 기능을 수행하는 도로가 아닌 지방도는 장거리 통행을 위한 위계 높은 도로와의 연계가 필수적인 만큼 본 연구에서는 도로표지규칙의 지방도 안내지명 선정에 대한 선정원칙을 재검토하고, 지방도의 적절한 안내지명 선정을 위해서 타 노선과의 연계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9가지의 유형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노선연계 유형을 기반으로 노선별 거점을 선택하는 것으로 하였다. 한편, 안내지명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각 노선별 거점을 중요지와 주요지로 구분하여 정의, 선정하여 안내를 위한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안내지명서정요령 및 틀을 통해 지방도내의 및 지방도와 기타도로와의 연계성이 더욱 고조되고, 안내체계의 효율성의 증대가 기대된다.

유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사료내 영양소

  • 여준모
    • 월간피드저널
    • /
    • 제2권9호통권13호
    • /
    • pp.100-103
    • /
    • 2004
  • 젖소의 우유내 지방은 95~98% 정도가 중성지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나머지는 인지질, 콜레스테롤, 유리 지방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성지방을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들은 결합된 탄소의 수에 따라서 단쇄 지방산, 중쇄 지방산, 그리고 장쇄 지방산으로 구분된다. (중략)

  • PDF

초음파로 진단된 지방간과 임상검사수치의 관련성에 관한 비교 연구 (Study on Fatty Liver Duagnosed by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Clinical Laboratory Findings)

  • 양정화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9권1호
    • /
    • pp.7-11
    • /
    • 2006
  • 서울 소재 C 건강검진센터에서 시행한 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간염이나 만성 간질환 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방간의 소견을 보이는 200명의 환자(지방간군)와 정상소견을 보인 환자 200(비지방간군)을 연구대상으로 정하고 혈압과 간기능 검사 소견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혈압과의 관계를 보면 수축기 혈압이 높은 경우는 지방간군이 15명(7.5%)이었으며, 비지방간군은 0명(0%)였으며, 확장기 혈압이 높은 경우에는 지방간군이 9명(4.5%), 비지방간군에서 0명(0%)으로 지방간군에서 유의하게 수축기 및 확장기 고혈압이 많았다. 2. 지방간과 혈중지질대사의 관계를 보면 Total cholesterol은 지방간군이 212.1 mg/dl, 비지방간군이 193.4 mg/dl로 지방간군일수록 높았으며, HDL-Cholesterol는 지방간군이 52.9 mg/dl, 비지방간군이 67.9 mg/dl로 비지방간군일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Trigryceride는 지방간군이 199.8 mg/dl, 비지방간군이 134.8 mg/dl로 지방간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LDL-Cholesterol는 지방간군이 126.6 mg/dl로, 비지방간군이 112.7 mg/dl로 지방간군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지방관과 간기능의 관계를 보면 SGOT가 비정상인 경우는 지방간군에서 11명(5.5%), 비지방가군에서 0명(0%)으로 지방간군에서 많았고, SGPT가 비정상인 경우는 지방간군에서 59명(29.5%), 비지방간군에서 0명(0%)으로 유의하게 지방간군에서 많았다.

  • PDF

CT 영상 기반 피하지방 및 내장지방 자동 분할 기법 (Automatic Segmentation Technique of Subcutaneous and Visceral Fat using CT Data)

  • 곽서현;신영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C)
    • /
    • pp.447-44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복부 CT 영상에서 피부와 장기를 제외한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의 자동 분할이다. 복부지방은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으로 구분되는데 각 지방의 절대적 양과 더불어 내장 지방의 피하지방에 대한 비율역시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다. 따라서 피하지방과 복부 지방의 양을 각각 측정한 후 그 비율을 계산하여 환자의 비만도를 알 수 있다. 이때 전문가의 수작업 없이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을 컴퓨터가 자동으로 분할하게 하여 빠른 시간에 효율적으로 지방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했다. 자동 분할 기법은 전문가의 보조 수단으로 오진단율을 줄이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일을 간편하게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방과학기술정책의 추진현황 및 발전과제

  • 윤종민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36
    • /
    • 2017
  • 오늘날의 과학기술은 국가전체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지역의 산업과 경제를 발전시키고 국가의 균형발전을 도모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지역경제 활성화의 주역인 중소 벤처기업을 육성하고, 지역산업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키며, 지역주민의 생활편의 향상을 위한 각종 지역개발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서 과학기술이 핵심적인 요소이자 중요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각 국가들은 1970년대 이후 지방의 과학기술을 육성하고 지원하기 위한 지방과학기술정책을 지속적으로 수립하여 추진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방과학기술정책이 실질적으로 수립되고 추진된 것은 1990년대 초반 이후 과학기술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유효한 수단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경제 관련 부처를 중심으로 지역과 연계한 각종 사업들을 추진하면서 부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과학기술의 지방화 내지 과학기술 지방분권에 관한 논의와 정책적 노력은 1995년에 도입된 지방자치제도의 본격적인 시행과 함께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진전과 발전은 아직도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이는 과학기술의 연구개발과 진흥이라는 정책의 특성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지방자치단체 스스로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할 수 있는 기반과 여건이 제도적인 측면에나 실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취약하였던데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 글은 과학기술의 지방분권을 강화하여야 한다는 최근의 사회적 논의와 관련하여 지방과학기술정책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의 지방과학기술정책 추진현황 및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기반과 역량을 살펴보고, 앞으로 지방 스스로가 지역의 과학기술혁신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할 수 있는 역량과 기반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제도적 과제들을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 PDF

미국의 지방채시장 활성화와 지방자치제 발전에 관한 연구 - 우리 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 김규영
    • 재무관리논총
    • /
    • 제5권1호
    • /
    • pp.75-103
    • /
    • 1999
  • 미국의 지방자치제 발전의 재정적인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는 지방채 시장의 활성화로부터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주 헌법에 명시된 법률상의 통제 외에는 지방채의 기채제한이 없으므로,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적인 의사결정에 따라 지방채 발행이 활성화되어 있다. 둘째, 대부분의 지방채가 이자소득에 대하여 연방소득세가 면제되는 면세채권의 형태로 발행되고 있는데,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부담을 경감시켜 줄 뿐 아니라, 투자자들에게 세금우위라는 투자유인을 제공하고 있다. 셋째, 지방채 발행이 활성화됨에 따라 필연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채무불이행 상태에 대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서 신용평가제도와 지방채 보험 및 보증제도가 확립되어 있다. 넷째, 발행된 지방채의 인수단에 의한 인수제도가 확립되어 있으며, 인수자들간의 역할 분담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

  • PDF

지방대학의 위기와 자구 노력

  • 이재복
    • 대학교육
    • /
    • 통권131호
    • /
    • pp.20-27
    • /
    • 2004
  • 지방대학을 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날로 커져가고 있다. 지식정보화사회에서 지방을 살리기 위해서는 대학을 육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방대학이 수도권의 대학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는데도 불구하고 지방대학을 살리자고 하는 것은 대학이란 수단을 통해 지방을 살리자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식물성 유지의 홀수 지방산에 대하여(호도, 복숭아씨, 살구씨를 중심으로) (Studies on the Compositions of Odd number Fatty acid of Vegetability lipids)

  • 차월석;유의경김연순
    • KSBB Journal
    • /
    • 제8권1호
    • /
    • pp.49-54
    • /
    • 1993
  • 천연식품인 호도, 복숭아씨, 살구씨의 지방산 함량 과 홀수 지방산의 함량을 규명하기 위하여 HPLC를 사용하여 분리 정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시료의 조지방 함량은 호도 61.78%. 살구 씨 52.34%. 복숭아씨 48.21 %이고, 중성 지질량은 호도 62.32%, 복숭아씨 91.50%. 살구씨 88.0%이 고, 당지질은 호도 34.14%, 복숭아씨 3.25%. 살구 씨 4.78%이었고, 인지질은 호도 3.54%. 복숭아씨 5.25%. 상구씨 7.27%였다. 2. 중성지질의 지방산에서 호도의 홀수 지방산이 3 37.07%. 짝수 지방산이 36.72%. 복숭아씨의 홀수 지방산이 5.4%, 짝수 지방산이 94.60%. 살구씨의 홀수 지방산이 6.85%. 8 짝수 지방산이 93.92%였교, 당지질에서 호도의 홀수 지방산은 53.7%. 짝수 지 방산은 46.21 %. 복숭아씨의 홀수 지방산은 6.97% . 9 짝수 지방산은 93.03%, 살구씨의 홀수 지방산은 10.5%, 짝수 지방산은 89.42 %였고, 인지a질에서의 경우는 호도의 홀수 지방산이 3.57%, 짝수 지방산 이 96.43%, 복숭아써의 흘수 지방산이 6.51 %, 짝 수 지방산이 93.49%, 살구씨의 홀수 지방산이 15.0 % %, 짝수 지방산이 84.2%로 각각 함유되어 었다. 3. 총 지방산중 홀수 지방산은 호도 14.47%, 복 숭아씨 1.17%, 상구씨 4.03%이고, 짝수 지방산은 호도 85.53 %, 복숭아씨 98.83%, 삼구씨 95.97% 로 각각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수 있다.

  • PDF

"항공(航空)스포츠를 통한 지방공항(地方空港) 활성화(活性化) 전약체계(戰略體系)에 관한 연구(硏究)" - 조종자의 기지선택요인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

  • 박병철
    • 항공산업연구
    • /
    • 통권70호
    • /
    • pp.40-69
    • /
    • 2008
  • 정부는 그동안 항공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함에 있어서 '항공운송'과 같은 경쟁력 있는 부문만을 특정하여 중장기적인 발전전략을 수립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지방공항은 처음부터 물적, 인적 자원을 수송하는 규모나 주변 환경여건에 있어 국제공항을 따라갈 수 없는 일정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지방공항의 적자문제를 국제공항의 목표치에 두는 것 자체가 이치에 맞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방공항은 국제공항과는 다른 관점의 항공 정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국가전체의 운송기능 향상을 위한 종합적인 대책도 지방 공항에 적용할 필요가 있지만 지방 공항 고유의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을 통한 특색 있는 공항 역할을 재정립하는 것도 필요한 것이다. 한편 항공 스포츠의 역사는 60여년에 이르고 있으나 정부 관련기관의 관심 부족과 활성화 하려는 의지부족으로 여전히 침체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항공 스포츠의 특징상 공항과의 연계성을 검토하여 보니 상당히 긍정적인 Win-Win 전략이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지방공항과 항공 스포츠 양자가 실제 활성화될 수 있는 공항정책이 구체화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다만 항공 스포츠에도 종목이 다양하므로 지방공항의 특성상 적정한 스포츠 항목과의 연계가 요구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항공 스포츠를 활용한 지방공항 활성화 방안으로 항공 스포츠에 적합한 지방공항 요건을 접근성, 안전성, 편의성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지방공항과 접목 가능한 항공 스포츠를 제시하고자 하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더 나아가 항공 스포츠를 통한 지방공항 활성화의 기대효과로서 지방공항의 활성화, 지방연계산업의 활성화, 지방공항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은 지방공항 활성화를 위한 전략체계를 항공스포츠 동호인 즉 조종자들의 기지선택 요인을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통하여 정리하였고, 일반인들의 인식과 전문가 의견을 토대로 지방공항의 활성화를 위하여 항공스포츠와 전략적 제휴를 하고자 할 경우 관련기관들이 고려할 부분과 운영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구체적인 정책적 제언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인공 사육 동물 모델 시스템을 이용한 n-3 지방산 결핍이 쥐의 뇌, 망막, 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3 Fatty Acid Deficiency on Fatty Acid Composition in Brain, Retina and Liver Using a Novel Artificial Rearing System)

  • 임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66-47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인공 사육 모델 시스템과 인공 쥐용 분유를 이용하여 출생 직후 12시간 이내에 엄마 쥐들로부터 신생 쥐를 분리하여 n-3 지방산 결핍분유와 n-3 지방산 적절분유로 3주 동안 사육한 후(이유기) 각각 장기들을 취하고 또한 성숙 쥐(15 wks)의 뇌, 망막, 간을 취하여 뇌 성장 발달 과정 동안 n-3지방산 결핍이 이들 장기들의 지방산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유기와 성숙기 쥐의 뇌 지방산 조성은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n-3지방산 결핍군의 경우 n-6지방산의 함량은 높았으나 (p<0.05),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과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낮았고(p<0.05), 총 saturated 지방산의 경우는 변화가 없었다. 기대했듯이 뇌 DHA의 경우 n-3 지방산 결핍군은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이유기 때 $50\%$, 성숙기에는 $70\%$까지 감소하였고 반면 n-6 계열인 DPAn-6의 함량은 상당히 증가하였음을 살펴볼 수가 있었다. 이유기의 망막의 총 saturated 지방산과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에는 식이군 사이에 변화가 없었고 22:4n-6, DPAn-6와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p<0.05), 22:5n-3, DHA와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상당히 감소하였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p<0.05). 성숙 쥐 망막의 지방산조성의 경우 20:4n-6, 22:4n-6, 22:5n-6와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p<0.05), 22:5n-3, DHA와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상당히 감소하였다(p<0.05). 특히 n-3 결핍군의 망막 DHA는 이유기 때 $57\%$ 감소에서 성숙기에 $63\%$까지 감소하였다. (p<0.05). 간의 경우, 이유기의 n-3 지방산 결핍군의 DHA는 $65\%$ 감소한 반면 간의 DPAn-6는 $59\%$ 증가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이유기의 간 지방산 조성과는 대조적으로 성숙기의 n-3 지방산 결핍군의 18:2n-6, 20:3n-6, 20:4n-6와 22:4n-6 지방산 함량이 현저히 감소된 것과는 달리 DPAn-6의 함량이 n-3 지방산 적절군보다 $143\%$까지 증가되었음 관찰할 수 가 있었다(p<0.05). 이상의 장기들의 n-3지방산 결핍군은 이유기와 성숙기에서 DPAn-6/DHA비와 n-6/n-3비 또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컸으나(p<0.05) DPAn-6와 DHA의 합에는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뇌 성숙 발달 과정동안 n-3 지방산 결핍은 뇌의 DHA의 결핍을 초래하고 이러한 비정상적인 조건에서 DPAn-6의 증가를 유발하였으며 이러한 지방산 조성의 변화와 공간과 후각에 기초를 하는 기억 학습 능력 저하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