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방괴사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초

오리병아리의 간장(肝臟)에서 한국산 Aflatoxin이 유발시킨 병변(病變)에 관한 병리조직학적연구(病理組織學的硏究) (Histopathologic Studies on Livers in Ducklings Administered Aflatoxin Produced by Korean Industrial Strain of Aspergillus flavus)

  • 윤화중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3-145
    • /
    • 1975
  • 한국산 aflatoxin의 독성을 비교 규명하기 위하여 결정 aflatoxin, 사료배합 aflatoxin 및 표준 aflatoxin을 오리병아리에 각 1회씩 경구투며 또는 급식시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종 aflatoxin의 독성으로 인하여 유발된 공통된 주요 병리조직학적 병변은 출혈(出血), 간세포(肝細胞)의 괴사(壞死), 지방변성(脂肪變性) 및 담관세포(膽管細胞)의 증식(增殖) 등이였다. 2. 병변(病變)의 정도(程度)는 독소의 투여량과 경과시간에 따라 다양(多樣)하게 나타났다. 3. 한국산 aflatoxin의 독성은 표준 aflatoxin에 비해 약간 더 심한 병변(病變)을 나타냈으며, 한국산 aflatoxin에서도 결정 aflatoxin을 투여한 경우보다 사료에 배합하여 급식시킨 경우가 약간 더 심한 병변(病變)을 나타냈다. 4. 닭병아리의 간장에서 aflatoxin이 유발시킨 병리조직학적 소견보다 오리병아리의 간장에서의 경우가 그 정도에 있어 더욱 심하고 뚜렷하였다.

  • PDF

강원 남부지역 도축우의 복부 지방괴사병 발생 실태 조사 (Survey of Abdominal Fat Necrosis on Cattle in Southern Kang-won)

  • 박영남;박순성;조인화;정행준;이정현;박양주;이유섭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8-207
    • /
    • 1994
  • 4, 919 Samples of the slaughtered cattle(female) were investigated the abattoir in southern Kangwon to reveal the incidence rates of abdominal fat necrosis from June to December 1993.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incidence rate of abdominal fat necrosis investigated from 4, 919 samples was 4.39%. 2. It revealed that the incidence rate of abdominal fat necrosis increased gradually with the advance in the age, 2.5% in below 5 years, 6.0% in 6 years, 7.2% in 7 years, 8.5% in 7 years, 8.9% in older than 9 years and that incidence rate of the sites of lesion, pericolonic fat 84.7%, perirectumic fat 48.6%, perirenal fat 37.9%. mesenteric fat 24.0%, others 7.8%. 3. The size of necrotic fat were $2{\times}3cm{\sim}10{\sim}18{\times}15{\sim}25cm$ in average and color was yellowish white or milk white.

  • PDF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골재생의 임상적 활용 (Clinical Use of Mesenchymal Stem Cells in Bone Regeneration)

  • 박찬우;임승재;박윤수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490-497
    • /
    • 2019
  • 최근 줄기세포에 대한 생물학적 지식의 발전으로 인해 이를 실제 환자의 치료에 적용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골수 흡인물로부터 처음 발견되었으나 현재는 지방, 피부, 근육, 제대혈 등 다양한 조직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다능성 기질세포로 이해되고 있다. 그동안 중간엽 줄기세포의 골형성능은 여러 실험 및 동물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으며 골결손, 골괴사, 불유합 등의 어려운 임상 상황에서 일부 성공적인 골재생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각 질환별 적응증이나 표준화된 적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효능 및 안전성에 대한 객관적 증거가 부족한 상태이다.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골재생은 앞으로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으나 표준적인 치료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아직 해결되어야 할 과제들 또한 남아 있다.

실험적 간섬유화에서 Fat-storing Cell의 미세구조의 변화에 대한 연구 (Ultrastructural Changes of Fat-storing Cells in Experimental Hepatic Fibrosis)

  • 김미진;최원희;이태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224-238
    • /
    • 1992
  • 간 섬유화에서 fat-storing cell의 변화를 미세 구조학적 측면에서 관찰하고자, 사염화탄소를 mineral oil에 녹여 1 : 1로 회석한 후 Kg당 0.5 ml의 용량을 주 2회씩 12주간 흰쥐에 복강 주입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1주 간격으로 도살하고, 적출된 간조직을 광학현미경과 연역조직화학적 검사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광학현미경적 소견상 소엽 중심주의 염증 반응 및 세포 침윤 현상은 사염화탄소 투여 후 1주부터 나타나서 4주 째 가장 심하였으며, 이시기에 desmin염색 반응 양성세포의 수도 증가되었다. 괴사 및 섬유화는 2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6주부터 결절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괴사성 병변은 8주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나 세포 침윤 정도는 감소되면서 desmin에 대한 반응성도 낮아졌고, 경변성 변화는 10주 이후부터 나타났다. 전자현미경적 소견상 fat-storing cell의 숫적 증가는 1주부터 관찰되었으며 지방적이 감소하고 rER이 팽창된 이행세포는 2주째 출현하여 4주에 가장 현저히 증가되었다. 섬유아세포는 3주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rER이 확장되었으며 지방적은 없거나 1-2개의 소적이 세포돌기에서 관찰되었다. 섬유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행세포 및 fat-storing cell은 감소하고 섬유아세포는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fat-storing cell은 간섬유화 과정에서 활성화되고 증식하여 형태학적으로 이행세포 및 섬유아세포로 전환함으로써, 정지상태에 있는 섬유아세포의 전구체로서 간섬유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BTCl 독성에 의한 대복, Gomphina veneriformis 소화선의 미세구조적 변화 및 지방갈색소 축적 (Ultrastructural Changes in digestive gland and Lipofuscin Accumulation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on Tributyltin chloride (TBTCl) Toxicity)

  • 박정준;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3-78
    • /
    • 2010
  • TBTCl에 36주 동안 노출된 대복, Gomphina veneriformis 소화선의 미세구조적 변화와 지방갈색소의 축적을 관찰한 결과 외막상피층의 경우 점액세포 감소, 섬모 탈락 및 선조연의 부분적인 소실이 관찰되었다. 소화선세관에서는 저농도의 개체들에서 소화선세관 내강에 소화효소의 양이 증가하였지만 농도 의존적으로 소화선세관의 세포들이 입방형 또는 편평형으로 변하여 세포층의 두께가 얇아지며, 부분적으로 파괴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광학현미경적 증상들을 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내장낭 외막 상피세포와 소화선세관을 둘러싸고 있는 근섬유사이에는 다수의 글리코겐 과립들이 관찰되었고, 호염기성 세포들에서는 조면소포체의 파괴와 세포의 괴사로 인하여 핵의 응축 및 핵막의 파괴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소화선세관 세포들의 변화로 세포층은 고농도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두께가 감소하였다 (P < 0.05). Long Ziehl Neelsen 염 결과, 소화선세관의 세포에서 자주색으로 관찰되는 지방갈색소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지만 (P < 0.05), 노출이 진행될수록 소화선세관 세포들이 파괴됨에 따라 그 축적도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TBT는 대복 소화선세관 세포들의 미세구조를 파괴함에 따라서 이들 세포들이 가지는 소화기능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갈색소의 축적이 높아지기 때문에 지방 갈색소는 TBT의 오염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biomarker로서 충분히 이용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자가이식기관의 생존에 필요한 장막, 흉막, 횡격막의 역할 분석 (Effect of Omentum, Pleura, Diaphragm on Tracheal Autograft Survival)

  • 금도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7호
    • /
    • pp.461-467
    • /
    • 2005
  • 기관 또는 기관지의 이식이나 기관문합술 후 그리고 폐절제술 후 기관지의 봉합면에 빠른 재혈관화를 통해 감염이나 허혈성 괴사를 막기위해 흉막, 심외막, 심외지방, 횡격막, 장막, 늑간 근육 등을 이용하여 보강해 주는 경우가 많다. 이 연구는 실험동물에서 자가기관을 흉막, 장막 및 횡경막에 이식했을 때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실험동물로 무게는 $250\~350g$ 정도의 Sprague-Dawley rats가 사용되었다. 장막, 횡격막, 흉막 세 군으로 나누어서 각 군별로 5마리씩 실험하였다. 복막 내 마취 후 기관 삽관을 시행하였고 기관을 노출시켜 세마디의 기관이식편을 잘라내었다 잘라낸 기관을 장막, 횡격막, 흉막에 각각 이식하였고 2주 후 쥐를 희생시켜 얻은 조직으로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하였다. 병리조직학적으로 절단기관편의 생존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피조직, 점막하조직, 연골조직의 괴사정도를 점수화하여($0\~3$점) 그 결과의 평균값을 표시하였다. 결과 : 병리 조직학적 검사상 장막군이 가장 좋은 보존 상태를 보였다. 괴사 점수는 흉막이식군에서 상피층서 $2.17\pm0.983$, 점막하층 $1.67\pm0.516$, 연골층 $2.17\pm0.753$으로 나타났고 장막이식군의 경우 각각 1.00\pm0.00,\;1.60\pm0.548,\;1.8\m0.447$, 횡격막이식군은 $1.40\pm0.894,\;2.40\pm0.547,\;2.2\pm0.447$으로 관찰되었다. 전체 괴사 점수는 흉막이식군에서 $6.00\pm1.789$, 장막이식군에서 $4.40\pm0.894$, 횡격막이식군에서 $6.00\pm1.414$보였다. 걸론: 세 그룹간의 비교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장막에 이식한 기관에서 가장 낮은 괴사점수가 나와 장막이 횡격막이나 흉막보다 기간 봉합면을 보호하고 신혈관 생성에 더 좋은 역할을 하는 경향을 보였다.

국내 도축우의 복강에서 관찰된 지방괴사의 병리학적 연구 (Pathological study on abdominal fat necrosis of adult cattle sampled from slaughterhouse in Korea)

  • 이정치;김종삼;이정길;김상기;조경오;강문일;정철;박성희;서국현;이채용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93-599
    • /
    • 2005
  • An abattoir study on the abdominal fat necrosis in adult cattle was performed pathologically. Grossly, masses of fat necrosis were leekgreen in colour, lobulated on the cut surface, and saponificated in the texture. These necrotic adipose tissues infiltrated usually into neighboring parenchymal organs including intestines and pancreas, leading to fibrosis or atrophy of them. Histopathologically, necrotic fat cells contained acidophilic, opaque, amorphous substance or basophilic fibrillar or granular minerals in their cytoplasms. The lesions of fat necrosis were divided by fibroconnective tissue. With increase of the severity, necrotic fat cells fused each other and then formed fat cysts. In this severe lesion, necrotic fat cells were partialy or completely replaced by macrophages. Multinucleated giant cells were scattered in this lesion. Interestingly, small artery in the lesion of fat necrosis revealed severe thickening of internal elastic membrane. Severe fibrosis was observed in or between the outer longitudinal and inner circular muscular externas causing segregation, degeneration and necrosis of muscle fibers. The nerve cells of Auerbach's and Meissner's plexuses surrounded by fibrosis were degenerated or necrotic. In addition, necrotic fat cells infiltrated into the pancreas, resulting in pancreas atrophy. From these results, it is speculated that fat necrosis might compromise intestinal movement due to necrosis of muscular externa and ganglion cells of Auerbach's and Meissner's plexuses.

고지방식 가토에서 nitric oxide와 대동맥 동맥경화증에 대한 에스트로겐의 영향 (Effects of Estrogen on Nitric Oxide and Aortic Atherosclerosis in Cholesterol-Fed Rabbits)

  • 유재현;이영;윤수영;박상순;나명훈;임승평;이충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1호
    • /
    • pp.855-862
    • /
    • 2000
  • 배경: 에스트로겐이 동맥경화증의 진행을 억제하고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 기전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본연구에서는 에스트로겐이 혈관의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nitric oxide와 동맥경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뉴질랜드종 웅성 가토 40마리를 실험동물로 하여 정상식이군(ND), 정상식이와 0.02ig의 estradiol-2 patch 투여군(END), 0.5% 콜레스테롤 투여군(CD), 0.5% 콜레스테롤 투여와 0.02 $\mu\textrm{g}$의 estradiol-2 patch 투여군 (ECD)의 네군으로 나누어 12주간 실험을 하여 혈중 estradiol-2, nitric oxide, cholesterol 등을 측정하고 흉부동맥과 복부동맥의 동맥경화 병변을 관찰하였다. 결과: 혈중 estradiol-2의 농도는 ED, ECD 군에서 ND, CD 군보다 의의 있게 높았다. (p<0.0001). 혈중 nitric oxide 농도는 정상 대조군 (ND)을 제외한 나머지 세군(END, CD, ECD)에서 모두 의의 있게 감소하였다.(p<0.001). 혈중 콜레스테롤은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은 CD, ECD의 두 군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나 의의는 없었다(p<0.05).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농도는 에스트로겐에 의한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흉부 및 복부동맥의 동맥경화 병변은 ND군과 END군에서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콜레스테롤을 투여한 CD군과 ECD군의 두 군에서 현저하게 발생하였으며 혈관별 발생정도의 차이는 없었다. 에스트로겐에 의한 병변의 발생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광학현미경상 동맥경화병변은 거의 지방을 탐식한 대식구의 증식으로 이루어졌었으며, 괴사나 섬유화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 전자현미경상에서는 내피세포의 광범위한 손상이 관찰되었다. 병리학적으로 에스트로겐에 의한 영향은 인정하기 어려웠다. 결론: 고지방식은 혈중 nitric oxide의 생산을 크게 저하 시키며, 그 원인으로는 지방의 과산화에 의한 내피세포의 손상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estradiol-2 patch 처치에 의해서 nitric oxide가 감소된 것은 그이유를 설명하기 곤란하나 성차이 및 에스트로겐의 투여방법에 의한 어떤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피부를 통한 에스트로겐의 투여는 혈중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의 농도에 영향을 주지 못했으며, 동맥경화의 진행에도 영향이 없었다. 에스트로겐의 동맥경화에 주는 영향에 대해서는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HepG2 세포의 포스포리파제 D 활성과 자유 지방산 방출에 대한 디프테리아 독소의 영향 (Effect of Diphtheria Toxin on the Phospholipase D activity and Free Fatty Acid Release in HepG2 Cells)

  • 고은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22-3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디프테리아 독소가 세포막의 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HepG2 세포에서 포스포리파제 D와 유리된 지방산(Free fatty acid)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지질변화는 pH 5.1에서 최고 값을 나타냈으며, 이 pH에서 포스포리파아제 D의 활성을 3.5배 가량, 유리된 지방산의 방출은 5배 정도 증가되었다. 이는 디프테리아 독소가 세포 안으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세포막이 교란되어 재배열되었음을 시사한다. 한편 세포막을 무작위로 교란시키는 디지토닌의 영향이 디프테리아 독소의 그것보다 중성 pH에서 4배 이상 상당히 높게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보아 디프테리아 독소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선택적인 교란 현상인 것으로 보여진다. 이런 세포막 교란의 연유를 밝히고자 세포막 구멍 형성 저해제인 cibacron blue와 세포막 융합 펩티드를 갖고 있는 hemagglutinin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Cibacron blue는 디프테리아 독소에 의한 지질 변화를 50% 정도 저해시켰으며, hemagglutinin에 의한 지질변화는 디프테리아 독소의 그것과 유사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들 결과들은 디프테리아 독소에 의한 세포막 교란이 구멍형성과 독소의 소수성 펩티드가 세포막에 삽입되는 과정이 서로 연계되어 있음을 암시한다. 그 외 일련의 실험으로 디프테리아 독소가 세포막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HepG2 세포의 투과성은 상승시켰으나, 세포의 생존능력은 상당히 높게 유지되었고 DNA 토막내기 같은 세포의 괴사는 일어나지 않았다. 이런 조건하에서 디프테리아 독소는 산성 pH에서 HepG2 세포의 지질의 변화를 가져 온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도축 한우의 복강내 지방괴사증 발생과 병리조직학적 연구 (An abattoir survey and pathologic study of abdominal fat necrosis on Korean indigenous cattle)

  • 이성효;김추철;최길성;임채웅;서문정;최인열;채효석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7-77
    • /
    • 1998
  • The bovine fat necrosis is often seen as an incidental lesion in the adipose tissues of the abdominal cavity. Most of affected animals, however, have been detected at the slaughter house or routine necrops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abdominal fat necrosis in Korean native cattle, and its pathologic features. Postmortem inspection at an Chonju abattoir during a three-month period in 1997 detected at necrosis lesions in 67(6.6%) of the 1,012 animals received for slaughter. The occurrence was mainly in alimentary tracts and perirenal. Both sexes were affected, but the lesion were predominantly occurred in female. Gross lesions were white or yellowish in color and formed hard lumps irregular in shape ranging from small nodules to large solid masses. On the cut surface, lesions were occasionally seen chalky calcified granules and some of the lesions contained oil-like fluid. The surface of irregular shaped masses constricted kidneys and intestinal loops. Microscopically, the masses were encapsulated by thickened fibrous tissue, which infiltrated deeply and divided them into many irregular lobules. Initial lesions presented mild inflammatory cell and fibrous proliferation. It became fibroplasia in progressive lesions and resembled chronic lesion, eventhough no grossly apparent inflammatory reaction. The hard consistency of masses, due to fibroplasia, can compress the intestines, urinary organs, and reproductive orga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