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발성 운동장애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기능성 음성장애의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of Functional Dysphonia)

  • 진성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5-78
    • /
    • 2014
  • 기능성 음성장애는 후두에 구조적 혹은 신경학적 병변이 없이 음성발성에 장애가 있는 질환으로, 의학적인 부분만으로 설명하기가 어려운 장애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진단에 많은 혼란이 있을 수 있는 논쟁의 여지가 많은 음성질환이다. 기능성 음성장애의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인 muscle tension dysphonia는 후두 근육과 후두 주변 근육의 지나친 긴장에 의해서 발생하는 음성장애로, 비록 후두 내/외근의 운동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는 것이 muscle tension dysphonia의 가장 첫 번째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고, 특정의 개인적인 인성의 특징(personality traits)들도 발생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 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이들 근육이 도대체 어떻게 문제가 되는 지에 대해서는 사실 아직까지 완전하게 설명하기에는 곤란한 점이 많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muscle tension dysphonia를 하나의 질환으로 보기보다는 기능성 음성장애의 문제점들을 설명하는 진단적 지표(diagnostic label)로 보는 경향이 많으며, 기능성 음성장애와 기질적 음성장애(organic voice disorder)를 아우르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해석하는 경향도 있다. 따라서 기능성 음성장애에 대한 분류나 발생기전에 대한 의견들은 아직까지 논란이 되는 부분들이 많은 상태이고, 기능성 음성장애를 더 잘 이해하고 이 질환을 성공적으로 치료해 나갈 수 있는 중요한 요인들을 찾아낼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지연성 운동장애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MK-801의 효과 (Effect of MK-801 o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ardive Dyskinesia)

  • 서정수;정영철;박근영;은홍배;김영현
    • 생물정신의학
    • /
    • 제4권2호
    • /
    • pp.246-250
    • /
    • 1997
  • 백서모델에 있어서 지연성 운동장애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MK-801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HD를 장기간 투여받는 백서에 MK-801을 동시투여하여 VCM의 발생빈도를 비교하였고 VCM (+) II군에 MK-801을 투여한후 VCM에 대해 치료효과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군(HD+MK-801)이 II군(HD+PBS)에 비해 11, 12회 측정시 VCM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VCM(+) II군에 MK-801을 0.1mg/kg와 0.3mg/kg로 투여했을 때, 그리고 마지막 용량 투여 14일후의 VCM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VCM의 발생기전과 glutamatergic pathway 사이에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제시해주고 아울러 이러한 동물모델의 결과는 인간에게 있어서 지연성 운동장애의 예방 및 그 치료에 있어서 NMDA 수용체 길항제 사용의 유용성을 암시할 수 있다.

  • PDF

남자 정신분열병 환자의 소뇌기능과 정신증상 및 인지기능간의 연관성 (Correlations of Cerebellar Function with Psychotic Symptoms and Cognitive Function in Schizophrenic Patients)

  • 김서영;전용호;권영준;정희연;황보영;심세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14권3호
    • /
    • pp.184-193
    • /
    • 2007
  • 목 적: 소뇌가 운동조절 뿐아니라 인지기능과 정신과적 증상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다는 증거들은 많다. 정신분열병에서 소뇌기능은 많은 연구들에서 대뇌고위기능의 조정곤란(Cognitive dysmetria)이라는 개념을 통해 주목 받아왔다. 다시말하면, 전전두엽-소뇌-시상핵-전전두엽 회로의 이상은 정신분열병에서 인지기능의 손상과 임상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 목적은 남자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소뇌기능이상을 ICARS를 통해 반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것이 임상 및 인지기능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방 법: 저자들은 DSM-IV-TR 진단기준에 따라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된 47명의 남자 정신분열병 환자와 이와 성별과 나이를 맞춘 건강한 대조군 30명을 소뇌의 신경학적 징후를 ICARS로 점수화하여 비교하였다. 반정량적으로 100점의 총점을 가진 ICARS는 자세와 보행, 사지운동기능, 언어장애, 안구운동장애의 4개의 구획으로 나뉜 19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실험군은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K-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 언어유창성 검사(Verbal fluency test), 시계그림검사(Clock drawing test)를 통해 인지기능검사를 받았다. 환자군에서 임상증상의 심각도는 한국형 양성 및 음성 증상 척도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Scale(PANSS)로 평가하였다. 환자군에서 ICARS의 높은 점수가 추체외로증상이나 지발성운동장애와 같이 약물사용으로 인한 부작용과 관련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위하여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 Scale(AIMS)를 시행하였다. 실험군과 변수들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기위해 독립표본 t 검증과 편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 과: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대조군에 비해 ICARS-자세와 보행장애, 운동기능, 안구운동장애-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환자들은 인지기능검사에서도 보다 심각한 손상을 보였다. ICARS 점수와 PANSS로 평가한 환자들의 음성증상 총점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인지기능검사에서는 시계그림검사, 언어유창성 검사가 음성증상과 유의하게 연관이 있었다. 또, 시계그림검사는 ICARS 점수와 연관이 있었다.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발병연령, 유병기간 및 AIMS 점수가 줄수있는 혼란변수는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AIMS 점수는 ICARS의 점수와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정신분열병은 발달학적 혹은 신경발달학적 질환으로 개념 내려지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정신분열병을 가진 환자들이 대뇌고위기능의 조정곤란(Cognitive dysmetria)이라고 불리는 전전두엽-시상핵-소뇌회로의 이상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정신분열병 환자들이 인지기능과 소뇌기능에서 심각한 손상을 가지고 있고, 특히 이것은 환자들의 음성증상의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정신분열병에서 소뇌의 역할에 대해 지지하고 있다. 또,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연성신경학적 징후를 평가하는데 있어 ICARS라는, 구조화되어 다른 검사자들에게도 통용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했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겠다. 향후 유사한 연구에서는 질병의 경과에 따라 신경학적 징후의 변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음악요소와 노래 부르기를 활용한 호흡 및 구강훈련이 정상노인의 음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spiration and Oral Motor Training based on Musical Elements and Singing on Voice of Healthy Elderly)

  • 전희운;김수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80-387
    • /
    • 2011
  • 본 연구는 음악요소와 노래 부르기 중심의 호흡 및 구강운동 훈련이 정상노인 음성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노인 기관에서 노래 부르기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65세~80세 노인 27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11명, 통제군 16명을 무작위 분류하여 선정하였으며, 훈련은 4주 동안 25분씩 4회의 그룹치료 형태로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두 집단의 사전 사후 결과를 Praat(음성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측정된 결과는 평균을 산출한 후 SPSS 19.0으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실험군은 강도(p < .001), 기본주파수(p < .01), 최대발성지속시간(p < .05), 일련운동속도(p < .001)가 유의미하게 향상을 보였으며, 통제군은 강도만 유의미한 차이로 감소를 보이고(p < .05), 나머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음악요소와 노래 부르기를 활용한 호흡 및 구강훈련은 노화로 인한 정상 노인의 음성 기능 개선에 치료적 효과를 나타내며, 이후 음성 장애를 예방하는 음성 훈련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