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hophysiology of Functional Dysphonia

기능성 음성장애의 병태생리

  • Jin, Sung Min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Kangbuk Samsung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진성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Functional dysphonia refers to a voice disturbance that occurs in the absence of structural or neurologic laryngeal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Poorly regulated activity of the intrinsic and extrinsic laryngeal muscles is cited as the proximal cause of functional dysphonia (FD). Recently, the term functional dysphonia has been replaced in some clinical circles by diagnostic label muscle tension dysphonia (MTD), which serves to highlight excess, dysregulated, or imbalanced activity of the intrinsic and extrinsic laryngeal muscles as proximal cause of the observed dysphonia. And recent research evidence points to specific personality traits as important contributors to its development and maintenance. However, the origin of this dysregulated laryngeal muscle activity 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better understand the pathogenesis of functional dysphonia, and factors contributing to its successful management.

기능성 음성장애는 후두에 구조적 혹은 신경학적 병변이 없이 음성발성에 장애가 있는 질환으로, 의학적인 부분만으로 설명하기가 어려운 장애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진단에 많은 혼란이 있을 수 있는 논쟁의 여지가 많은 음성질환이다. 기능성 음성장애의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인 muscle tension dysphonia는 후두 근육과 후두 주변 근육의 지나친 긴장에 의해서 발생하는 음성장애로, 비록 후두 내/외근의 운동이 제대로 조절되지 않는 것이 muscle tension dysphonia의 가장 첫 번째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고, 특정의 개인적인 인성의 특징(personality traits)들도 발생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 하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지만, 이들 근육이 도대체 어떻게 문제가 되는 지에 대해서는 사실 아직까지 완전하게 설명하기에는 곤란한 점이 많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muscle tension dysphonia를 하나의 질환으로 보기보다는 기능성 음성장애의 문제점들을 설명하는 진단적 지표(diagnostic label)로 보는 경향이 많으며, 기능성 음성장애와 기질적 음성장애(organic voice disorder)를 아우르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해석하는 경향도 있다. 따라서 기능성 음성장애에 대한 분류나 발생기전에 대한 의견들은 아직까지 논란이 되는 부분들이 많은 상태이고, 기능성 음성장애를 더 잘 이해하고 이 질환을 성공적으로 치료해 나갈 수 있는 중요한 요인들을 찾아낼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