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반강도

Search Result 1,94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he Characteristics of Axial Bearing Capacity for the High Strength H-pile (고강도 H말뚝의 연직 지지력 특성)

  • 신방웅;여병철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6 no.2
    • /
    • pp.135-143
    • /
    • 2000
  • 고강도 H말뚝은 다른 말뚝에 비해 관입성이 우수하며, 경제적으로 시공이 가능하여 도로공사 및 건축공사의 기초말뚝으로 광범위하게 전세계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강도 H말뚝, 강관말뚝 및 PHC 말뚝에 정재하시험과 동재하시험을 실시하여 허용지지력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말뚝에 대한 동재하시험을 통해 시간경과효과를 평가하였다. 정재하시험과 동재하시험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하중-침하곡선이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고강도 H말뚝, 강관 말뚝, PHC 말뚝이 지반내에 향타되었을 때의 허용지지력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재하시험 결과 시간경과효과로 인해 지반의 허용지지력이 상승됨을 알 수 있어 앞으로 기초말뚝 설계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termination of Mix Design and Target Strength for Lightweight Soils using Recycled material (폐기물을 첨가한 경량혼합토의 배합설계와 목표강도 결정)

  • Yoon, Gil-Lim;Bae, Yoon-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10.03a
    • /
    • pp.468-474
    • /
    • 2010
  • 최근 국내에서 연약지반개량을 위하여 적극 도입되기 시작한 차세대 지반처리기술인 경량혼합토공법의 배합설계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경량혼합토는 건설잔토나 준설토 및 현장에서 발생하는 점토나 실트질 흙을 사토처리 하지 않고 현장에서 유용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이고 환경적인 공법으로서 일본에서는 지난 10여년에 연간 수백만톤의 경량혼합토를 생산하여 건설현장에 적용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폐자원(폐타이어가루, 왕겨)을 경량혼합토에 첨가하여 건설재료 재활용을 위한 역학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혼합토를 제작하기 위해 필요한 배합설계변수인 원료토의 중량, 함수비 및 기포재와 첨가할 물의 양, 그리고 강도를 발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고화재로서 시멘트첨가량에 대한 최적의 배합설계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지금까지 제안된 시멘트함유량은 초기의 경량혼합토 목표강도가 주어지면 원료토의 조건에 따라 원하는 비중과 강도를 토대로 적절하게 현장에 적합하게 결정하는 단계에 있으나 일부 현장에서 지나친 목표강도 설정으로 과대한 시멘트를 사용하는 사례가 많아 국가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량혼합토의 목표강도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최적의 시멘트함유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Replacement Behaviour of Soft Soil by Centrifuge Modelling Test (원심모형시험을 통한 연약지반의 강제치환거동 연구)

  • 이승원;이영남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6 no.6
    • /
    • pp.141-15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토사나 사석을 이용하여 자체를 축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약지반의 강제치환거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험조건에 대한 원심모셩을 수행하였다. 제체축조에 따른 연약지반의 강제치환거동은 제체의 성토시공방법, 성토재의 입경, 연약지반의 종류와 강도 등에 따라 맣은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성토과정 중에 발생하는 과잉간극수압의 크기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급속시공인 경우에 연약지반의 파괴영역은 회적으로 확대되고 성토사면의 기울기는 완만해졌으며, 성토재의 입경이 클수록 치환깊이가 증가하고 성토사면의 기울기가 급하게 형성되었다. 그리고 동일점토에서는 지반의 강도가 클수록 치환량이 적었지만, 점토의 종류가 다른 경우에는 지반내 발생하는 과잉간극수압의 크기와 소산성조에따라 치환거동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valuation of Strength Incremental Ratio of Korean Marine Clayey Soil (국내 해성 점성토의 강도증가율 평가)

  • Kim, Ju-Hyun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6 no.3
    • /
    • pp.31-39
    • /
    • 2017
  • Applicability of Skempton's and Hansbo's equation for estimating strength incremental ratio of Korean marine clayey soil was analyzed. These empirical equations have been commonly applied to design soft ground improvement by, especially, staged loading method. Strength incremental ratios proposed by Skempton (1954, 1957) and Hansbo (1957) using field vane tests(FVTs), measured in Scandinavia depends on plasticity index and liquid limit. Although lean clay in Scandinavia can be classified as clay based on USCS, this soil contains no clay mineral because it was produced by the glacial grinding of rock, sometimes, called rock flour. On the contrary, plasticity indices of Korean marine clayey soils increase linearly with the percentage of clay fraction (% finer than $2{\mu}m$ by weight). Except for strength incremental ratios using $q_u/2$ values in the case of soils having a low plasticity, such as Incheon, Hwaseong and Gunsan soils, these values are in the range of 0.25 to 0.35, independently of the plasticity index, $I_p$.

Applicability of Preconsolidation Pressure Interpretations of Korean Marine Clays (국내 해성점토 지반에 대한 선행압밀압력 평가방법의 적용성)

  • Jeong, Sang-Guk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6 no.4
    • /
    • pp.93-101
    • /
    • 2017
  • In this study, a subjective weighting factors were awarded based on some indication of the difficulty of assessing the preconsolidation stress using traditional methods (Casagrande, Onitsuka et al., Silva, Becker et al., Janbu and Karlsrud methods) such as those proposed by Casagrande and Janbu using undisturbed sample obtained from Gwangyang dredged clay with high plasticity located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n peninsular. These numbers only assess the relative ease of finding preconsolidation stress and say nothing regarding the accuracy of the value. The data were compared with measurements of undrained shear strength using strength incremental ratio, checking where or not the values are in the range of 0.25 to 0.35 (typical values of Korean marine clay) and analyzing standard deviation(degree of variability). The measurements of undrained shear strength were obtained from unconfined compression tests (UCT). When determining preconsolidation stress of Korean marine clay, at first, the work method proposed by Becker et al. and the bilogarithmic method proposed by Onitsuka et al. should be used. In addition, preconsolidation pressure should be estimated using the traditional Casagrande method as a basic of comparison.

Evaluation of ground characteristics near underground rainfall storage facilities using shear wave velocity (전단파 속도를 이용한 지하 저류조 주변 지반특성 평가)

  • Jo, Seon-Ah;Oh, Tae-Min;Cho, Gye-Chu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6 no.2
    • /
    • pp.225-236
    • /
    • 2014
  • Shear wave velocity was used to estimate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void ratio and shear strength) of ground near an underground rainfall storage facility. An oedometer cell was utilized to measure the shear wave velocity and the displacement of specimens. Shear strengths were obtained by direct shear tests. The relationships along the shear wave velocity, void ratio, and shear strength were verified and used to infer the shear strength profile with the depth. In addition, changes in shear strength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rainfall storage system were estimated using the suggested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in-situ shear strength deduced from the shear wave velocity-void ratio-shear strength relationship is in good agreement with that obtained from an in-situ investigation (SPT).

A Development of Seepage Analysis Model for Unsaturated Soil during Rainfall (강우시 불포화지반의 침투해석모형 개발)

  • Lee, Jung-Sik;Han, Heui-Soo;Jang,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96-800
    • /
    • 2009
  • 토목구조물 및 사면의 붕괴는 집중호우가 내리는 경우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사면에서는 붕괴까지의 변형이 급속히 진행되어 이를 사전에 예방하기는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침투 및 배수과정에서의 사면 붕괴는 강우침투로 인한 지반의 물리적 특성변화가 직접적으로 사면의 안전계수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때 발생하는 물리적 특성변화로는 침투시 사면 내 지반의 단위 중량은 증가하여 전단응력의 증가 및 전단강도 감소현상이 발생하며, 이와 반대로 사면 내 배수로 인하여 전단응력의 감소 및 전단강도의 증가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침투로 발생하는 지반의 포화도 변화를 지반 내 투수계수의 함수로 설명하여 강우로 인한 지반의 침투 및 배수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지반 내 지하수의 침투과정은 라플라스 공식을 적용한다. 그러나 라플라스 공식은 정상 상태(Steady State)일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고, 강우 등으로 인한 지하수의 수두 변화가 발생한 비정상 상태(Unsteady State)의 경우에는 부적합하므로 사면과 옹벽 등의 토질구조물에서는 안전성 변화를 계산할 수 없다. 이를 위해 사면 내 지반의 침투 및 배수과정을 투수계수의 함수로 나타내어, 강우의 침투과정을 Fourier Series, 변수분리법 및 섭동함수를 사용하여 식으로 유도함으로서 강우에 의한 지반의 침투 및 배수과정에 따른 사면 내 지하수의 분포를 예측한다. 침투과정 해석을 위하여 지표에서 포화대까지의 깊이 10m의 모델사면 및 지표부터 포화대까지의 포화도는 직선으로 비례한다는 가정을 적용한다. 먼저 푸리에 급수를 이용, 시간에 따른 온도를 열전달에 관하여 편미분하여 발생하는 열확산계수를 투수계수로 변환함에 따라 지하수의 시간과 수직방향거리에 대한 지반의 포화도를 산정한다. 변수분리법은 산정된 포화도에 지반의 초기조건과 경계조건를 고려하기 위해 적용하며, 변수분리법에 의해 산정된 지하수 분포를 섭동함수법으로 과도 및 정상상태로 분류한다. 본 연구의 수행으로 인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Fourier Series와 변수분리법, 섭동함수를 이용하여 강우에 의한 지반의 포화도 변화를 수식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둘째, 지반에서의 강우침투과정을 식으로 표현함으로서, 깊이별 시간에 따른 포화도의 영역이 상부로부터 하부로 전이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셋째, 푸리에 급수를 이용한 지반의 침투계산으로 강우로 인한 지반의 포화영역 및 불포화영역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으며, 각 깊이별 포화도를 계산하여 각 구간에서 불포화구간의 전단강도에 대한 보다 정확한 계산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UNDRAINED SHEAR STRENGTH OF OVERCONSOLIDATED CLAY USING GEOSTATISTICS AND CONE PENETRATION TEST (지구통계학과 콘관입시험기를 이용한 과압밀의 비배수전단강도의 분석)

  • 윤길림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10a
    • /
    • pp.25.1-33
    • /
    • 1995
  • 지반공학 및 지반환경분야에서 문제의 관건은 표층과 흙의 성질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다. 표층의 상황은 어느 현장이나 공간적으로 그 성질을 달리하므로 기술자의 경험이나 지구통계학을 이용하여 적절한 현장의 상태를 분석하게 된다. 휴스톤대학에 위치한 미국국립시험현장에서 수행한 28개의 콘관입시험을 통해 얻은 자료를 가지고 지구통계학적분석을 하여 비배수 전단강도의 3차원적 형태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구통계학의 유용함과 현장의 변화가 상당함을 쉽게 이해하게 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Strength Change of Clay Mixing Eco-friendly Soil Binder and Microorganism (친환경 고결제와 미생물을 혼합한 점성토의 강도 변화특성)

  • Kim, Taeyeon;Park, Jongseo;Lee, Bongji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8 no.10
    • /
    • pp.15-22
    • /
    • 2017
  • The soil improvement method so far has been developed with an emphasis on enhancing the strength of the ground. A soil improvement method using a excellent cementitious stabilizer in economical efficiency and handling property is mainly used. The soil improvement method using cementitious stabilizer is effective but environmental and human harmful substances are detected and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arbon dioxide emission and groundwater pollution are pointed out. Therefore, as part of an alternative method capable of solving such problems, researches on the soil improvement method incorporating biological technology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trength change when mixed with environmentally friendly soil binder and microorganism in clay, and it was analyzed by uniaxial compression test, direct shear test, SEM, XRD. As a results of the test, we confirmed the cementation caused by microbially induced calcite precipitation and the strength increase enhancement by it.

Stabilization Mechanism for Sands Treated with Organic Acids from Laboratory Tests (유기산 재료를 이용한 사질토의 안정화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Ki, Jungsu;Yee, Eric;Lee, Jonghwi;Chun, By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4 no.6
    • /
    • pp.39-46
    • /
    • 2013
  • The field of ground amelioration, many construc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more prosperously up to now, but even now, the majority focuses on the improvement of ground strength. And they could not suggest concrete solutions to the occurrence of environmental issues. To address this problem, soil improvement methods employing organic acid material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as eco-friendly technologies for increasing the soil strength, but details regarding the basic stabilization mechanism are not known yet.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oil stabilization mechanism; for this purpos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nd pH tests were conducted by using an improved eco-friendly organic acid material. The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samples processed with the organic acid showed a considerable increase in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ver time as compared to the strength of the samples that were processed without the organic aci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organic acid material promoted microbial breeding and improved the soil structure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voids in the soil. Therefor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is method needs to be analysed mor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