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면상태

Search Result 14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velopment of a free wake model to analyze HA WT blade airload under asymmetry condition (수평축 풍력블레이드의 비대칭 환경에서의 공력 해석을 위한 자유후류기법에 관한 연구)

  • Shin, Hyung-Ki;Park, Ji-Woong;Lee, Soo-Gab;Kim, Seok-Woo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8a
    • /
    • pp.411-414
    • /
    • 2006
  •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는 다른 회전기와는 달리 항상 지면의 경계층, 요-에러에 의한 어긋난 유입류, 타워와의 간섭효과의 환경에서 운영된다. 따라서 정상운전상태에서도 이와 같은 환경에서 겪게 되는 공력하중의 해석이 블레이드의 설계에서 중요하게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의 비정상 공력하중해석을 위하여 자유후류기법을 이용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특히, 타워와의 간섭해석을 위하여 FVE라 명명한 후류 모델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Inland Flood Prevention by Drainage Pumping Station (배수펌프장 설치에 따른 내수침수저감 효과분석)

  • Lee, Jeongwoo;Park, Inchan;Kim, Munmo;Cho, W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799-80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파주시 일부지역으로서 시가지 밀집지역이고 외수의 영향이 심한 문산 배수펌프장 유역과 2000년에 신설된 선유3 배수펌프장 유역을 선정하여 2003년도 주요 호우사상에 대한 내배수시스템의 유출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배수펌프장 설치 유무에 따라 우수유출량을 배수관망을 통해 하류 하천으로 배수시킬 수 있는지를 분석하여 배수펌프장이 내수침수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유출모의는 관거내 수면을 계산하고 배수, 역류, 압력류, 월류까지도 모의할 수 있는 SWMM의 EXTRAM 블록 이용하였다. 유출모의를 수행한 결과, 배수펌프장이 설치된 현재 상태에서는 우수유출량을 원활히 배수시킬 수 있었으나, 배수펌프장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한 경우에는 비교적 작은 호우사상이더라도 첨두강우 발생후 수시간 경과후에 관거말단부 하천 외수위의 영향으로 배수 및 역류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일부지역에서는 상당한 유량이 지면으로 월류하여 침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하천 외수위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하수관거의 통수능을 평가하고 배수펌프장 설치의 타당성을 평가하여야 한다.

  • PDF

울진3,4호기 정전사고시 이차측 강제감압 사고관리 전략의 효과 분석

  • Song, Yong-Man;Park, Su-Yong;Kim, Dong-Ha;Choi, Young;Kim, Si-Dal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771-776
    • /
    • 1998
  • 울진 원전 3,4 호기를 대상으로 MAAP4.0.2 코드를 이용하여 발전소 정전사고를 모의/분석했다. 본 분석에서는 사고진행에 따른 일.이차계통의 상태변화를 원자로용기 파손때까지 상세 파악하였다. 사고관리 관점에서, 발전소 정전사고는 이차측의 대기방출밸브를 통한 강제감압에 의해 사고진행을 완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운전원 조치에 의한 완화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감압시작 2시간후에 일차측은 약 24$^{\circ}C$ 의 과냉각도를 보이며 안정되었고. 사고시작 1시간 후부터 3시간 동안의 강제감압이 성공한 경우, 노심노출시간 기준으로 약 2시간의 지면효과가 있었다.

  • PDF

국내 대학원 과정의 현황과 문제점

  • 변유량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3 no.2
    • /
    • pp.15-17
    • /
    • 1987
  • 현재 우리나라 대학원생 수는 약70개 대학에 6만여명에 달하여 학부학생에 대한 비율은 약 8%이다. 이와같은 대학원생의 양적확대는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는 많은 우려도 있으나 아무튼 대학원 교육이 도약의 단계에 들어섰다는 것은 사실이다. 오늘날의 사회발전과 산업의 고도화를 담담하는데 필요한 고급인력, 특히 연구개발 부분의 국제 경쟁력 강화하기 위한 연구인력과 고등교육의 확충에 따른 교수를 비롯한 학자를 양성하여야 하는 대학원의 국가적 사명은 매우 크다. 그러나 문제는 오늘의 대학원 교육이 과연 국가가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기대하는 고급인력의 구실을 할 만큼 충분한 질적 수준에 도달하고 있느냐 하는 것이다. 교육에 임하고 있는 교수는 이러한 기대 역할을 수행하기에 미흡한 상태이며 해결하여야 할 과제가 허다하다는 사실을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그동안 우수한 많은 인재들이 국내 대학원보다 해외 유학의 길을 택하였고, 고급기술인력을 주로 해외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우리의 손으로 우리의 고급인력을 양성하여야 한다는 자각이 각 학문분야와 산업계에서 열도 높게 일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는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이 필연적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오늘날 우리 대학원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한정된 지면에 일일이 열거할 수 없으며 필자가 평소 느끼고 있던 몇가지 근본적인 점만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WTO 일반이사회 및 농업협상 특별회의 동향

  • Korean Advanced Farmers Federation
    • 월간 한농연
    • /
    • s.44
    • /
    • pp.16-20
    • /
    • 2005
  • 10월 19일부터 20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는 WTO 일반이사회와 농업협상 특별회의가 진행되었다. 파스칼 라미 WTO 사무총장 취임 이후 가속화된 DDA 농업협상이 타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되는 가운데 진행되었던 이번 협상은, EU(유럽연합) 내부의 의견 조율이 되지 않아 당초 예상과는 달리 교착 상태에 들어갔다. 하지만 미국과 G20(브라질, 인도 등 농산물 수출 개도국 그룹)은 민감품목의 숫자를 전체 농산물의 1%로 설정할 것을 요구하였고, G10(농산물 수입국 그룹)을 제외한 상당수의 국가들이 관세상한 설정과 급격한 관세 감축을 요구하고 있어, 우리 농업에 매우 불리한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합회는 정책조정실 한민수 차장을 10월 18일부터 23일까지 제네바 현지에 파견하여 DDA 농업협상 상황을 살펴보고 대응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제네바 출장을 마친 한민수 차장과의 인터뷰 내용을 월간 한농연 11월호 지면을 통해 소개한다.

  • PDF

Development of New Hybrid Cultivar 'Senock' in Zoysiagrass (한국잔디 신품종 '세녹(Senock)' 개발)

  • Choi Joon-Soo;Yang Geun-Mo
    • Proceedings of the Turfgras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5.04a
    • /
    • pp.31-38
    • /
    • 2005
  • 본 실험은 한국잔디 신품종 '세녹'(특허출원:10-2003-0072018) 개발에 관한 것이다. 한국에서 수집한 유전자원 중 갯잔디와 금잔디간에 인공교배를 수행해서 F1계통을 얻었다. 작성한 F1계통을 포장상태에서 방임수분을 통해 변이확대를 하였으며, 이들 방임수분 후대에서 선발한 것이 '세녹'이다. '세녹'은 유전적으로 잔디의 녹색도가 진하며, 낮게 자라는 특성이 있고 품질이 우수하며 잎의 강직성이 높다. 엽폭이 3.1mm로 중엽형이며, 초장이 14cm로 낮고, 잎각도가 67.3도로 넓다. 지면으로부터 최하위 엽의 잎 몸 기부까지의 길이가 2cm로 낮은 형태적 특성을 갖고 있어 낮은 잔디깍기에 적응할 수 있는 영양번식형 잔디이다. 또한 RAPD 밴드 특성에서 한국잔디 신품종 세녹(Senock)이 특이 밴드를 갖고있어 식별성이 높다.

  • PDF

Slotted flap을 부착한 WIG선에서의 수치해석 및 진동 저감을 위한 플랩 형상 최적설계

  • Baek, Seung-Chan;Yang, Ji-Hye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6.03a
    • /
    • pp.541-54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Slotted flap을 장착한 WIG선(Wing In Ground effect ship)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WIG선의 공력특성을 수치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따라 플랩 형상에 대하여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주 익형에 대한 형상은 NACA 4412로 고정한 상태에서 플랩의 각도와 x, y좌표를 설계변수로 설정하였으며, 그에 따라 설정한 평균 $C_L$값을 유지하면서 진동의 진폭 크기가 작아지도록 제한 조건 및 목적 함수를 설정하였다. 최적화된 익형에서 플랩과 주 익형 사이에서 분출되는 유체는 코안다 효과의 영향을 받아 플랩 윗부분을 타고 흐른다. 이로 인해 진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박리영역이 억제되었으며, 진동이 최소화 되었다. 결론적으로 플랩의 최적화를 통하여 기본 설계 익형에서 89%의 진동이 저감되는 것과 동시에 Lift/Drag 96.2로 기본 설계 익형에 비해 4.1배 향상되었다.

  • PDF

The Effects of Tire Inflation Pressure on Soil Compaction and Tractive Performance of Tractor (타이어공기압에 따른 트랙터의 견인성능과 토양다짐)

  • 박원엽;이규승;오만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15-2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타이어의 공기압이 농용트랙터의 견인성능과 토양다짐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적으로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타이어공기압에 따른 트랙터의 견인성능 실험 결과, 공기압의 감소는 트랙터의 운동저항은 감소시키고, 견인력과 견인효율은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약지에서 운용되는 트랙터는 공기압의 조절을 통해(최소 허용 공기압까지 타이어공기압의 감소를 통해) 견인성능과 작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트랙터의 타이어공기압과 통과횟수의 증가는 모두 토양다짐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양다짐을 줄이기 위해서는 트랙터가 통과한 궤적상을 연속해서 통과할 수 있도록 작업 계획을 세우면 전체 경작 면적에 대한 토양 다짐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타이어의 공기압을 최소 허용 공기압 수준까지 감소시킬 경우 토양다짐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 위의 결과로부터 트랙터의 작업성능의 향상과 토양다짐의 최소화는 타이어공기압의 조절을 통해 어느 정도 이를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운전석에 설치된 제어판을 통해 지면의 상태에 따라 타이어의 공기압을 운전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최첨단 기술인 CTI시스템을 농용트랙터에 적용하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utomatic Assembly and Inspection (조립 및 검사 자동화)

  • 고광일
    • Journal of the KSME
    • /
    • v.34 no.2
    • /
    • pp.112-117
    • /
    • 1994
  • 최근의 전자기기는 반도체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소형화, 고기능화 및 다양화 뿐만 아니라 경박단소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대응하여 표면실장용 전자부품이 등장하여 그 사용이 점차증가하고 있고 여기에 발맞춰 국내 . 외 전자기기 제조업체가 제품내의 PCB를 SMD화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표면실장 부품의 조립을 위한 고밀도, 고정도의 실장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부품 자동삽입 등 기존의 방법들로 조립된, 전자기기 내부에 사용 되는 PCB의 조립상태 및 각 부품의 특성들을 검사하기 위한 In-circuit Tester의 기술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여 자동화되어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소에서는 '90년에 능 Mounter GCA-M2000 모델을 개발 완료하였고 현재 관련 사업부에서 양산중에 있으며, 아날로그 방식 및 디지털 방식의 In-circuit Tester 모델도 개발 완료하여 현재 양산 중에 있다. 이 지면을 빌어 소개할 기회를 갖고자 한다.

  • PDF

An Interface Implementation of a Pre-order System based on Android Platform (안드로이드 기반 사전주문시스템 인터페이스 구현)

  • Han, Ji-Young;Park,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284-1286
    • /
    • 2013
  • 최근 이동성과 휴대성이 강조된 모바일 주문시스템이 주목 받고 있으나 식품산업의 특성상 사용자의 도착시간에 따라 제품의 상태 및 만족도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한 카페음료 사전주문 시스템과, 고객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받아 도착시간을 예측하여, 고객에게 보다 따뜻한 양질의 음료를 제공하는 커피앤코 시스템(Coffee&Co. System)의 안드로이드 인터페이스 기능을 소개한다. 서버와 웹 기능은 지면상 생략하며 추후 연구에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