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맥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상제 강세지 객망리 일대의 풍수지리적 의미에 관한 연구 -지맥의 연결과정을 통한 형기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irthplace of Kang Jeungsan, Gaekmang-ri, and Neighboring Areas from a Feng Shui Perspective: Focused on the Theory of Connecting Geomantic Veins)

  • 신영대
    • 대순사상논총
    • /
    • 제46집
    • /
    • pp.69-122
    • /
    • 2023
  • 본 논문은 대순진리회 성지(聖地)인 상제 강세지에 대해 현장 풍수 답사를 통해 형기론을 중심으로 강세지 일대와 그와 관련된 전반적인 풍수 국세를 탐색하였다. 연구방법의 중심은 전통적인 풍수지리 이론 중에서 형기론적인 관점에서 시루산 일대까지 이어지는 지맥의 연결과정을 통해 상제 강세지의 전반적인 풍수 국세를 고찰하였다. 고찰의 방법으로 풍수 형기론을 기반으로 객망리 일대의 풍수적 국세와 시루산을 이루기까지 지맥의 과정을 답산하고 객망리 일대의 지세와 형국, 물의 흐름과 지맥 등을 살펴 전반적인 풍수 국세를 밝히고자 하였다. 현장답사 과정에서 먼저 호남의 삼신산 중에서 영주산이라고도 불리는 두승산과 방장산을 살피고, 그다음으로 동죽산과 망제봉, 매봉산, 시루산으로 이어지는 지맥의 흐름이 연면부절하고 기복변화하는 과정에서 시루산을 이루기까지 전체적인 용맥의 변화와 산과 물의 흐름을 형기론의 관점에서 전래 된 전통 지리서 등 제반 이론들을 토대로 학술적 접근을 통해 근 본의를 논증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풍수적 관점에서 현지답사를 통해 살펴본 상제 강세지 객망리 일대의 지맥의 연결과정과 풍수적 특징과 요건들을 종합하여 볼 때 호남정맥으로부터 호남의 삼신산을 비롯해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며 뻗어내린 뭇산들과의 상호 결합 등으로 인해 대국의 풍수적 국세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인조화의 땅을 이룰 지리적 조건과 상제의 강세를 예시한 주변의 지명 등을 고려해 볼 때 풍수의 공간적 배합이 잘 이루어진 국세를 간직한 곳이며, 인간의 힘으로는 가늠할 수 없는 천혜의 큰 기운이 응집된 혈(穴)을 간직한 곳으로 판단된다.

대전광역시 산줄기 단절지점 평가 및 복원방안 (The Assessment and Restoration Plan for Fragmented Points of Mountain Range in Daejeon)

  • 조현주;이은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22-631
    • /
    • 2015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주요 산줄기 분포 현황 및 단절지점을 파악하고, 평가를 통해 우선복원지점을 선정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신상경표에 의한 산줄기 분포현황을 파악한 결과, 대전광역시는 3개의 지맥과 이들 지맥에서 뻗어 나온 10개의 세맥이 분포하고 있었다. 또한 주요 산줄기와 도로망을 중첩하여 산줄기 단절지점을 파악한 결과 총 31개의 단절지점 중 12개의 복원가능지점이 선정되었다. 평가지표 및 평가모형을 개발하여 산줄기 우선복원지점을 평가한 결과, I등급은 4개, II등급은 5개, III등급은 3개 지점이 선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각 등급별 차별화된 복원방안을 3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향후 객관적인 평가모형 개발 및 구체적인 지점별 복원방안에 대한 방법론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풍수 형기론(形氣論)으로 본 대순진리회 금강산토성수련도장 (Daesoon Jinrihoe's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as Appraised through the Hyeonggi Theory in Fengshui)

  • 신영대
    • 대순사상논총
    • /
    • 제36집
    • /
    • pp.35-78
    • /
    • 2020
  • 본 논문은 대순진리회 금강산토성도장을 풍수학의 형기학적인 관점에서 전반적인 풍수의 국세와 특징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겉으로 드러난 산의 형세를 보고, 그 안에 흐르는 기의 세력을 살펴 산천에서 발생하는 기운의 강약과 후박 등을 통해 생기의 흐름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길흉을 살펴보았다. 이곳은 특히 "일만 이천의 도통군자로 창성하리라"라는 상제님의 말씀이 서려있는 곳이며, 미륵불과 도전님의 능소가 있다는 점에서 수도를 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의미 있는 도장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풍수론에 부합한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의 풍수적 상징성과 생왕지지에 대해 탐색하고, 그에 따른 지세와 형국, 동해의 맑은 수기가 어울린 용맥과 지맥, 금강산의 산세, 대순진리회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의 풍수적 입지와 지세, 지맥 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백두대간은 금강산을 거쳐 신선봉으로 이어지고 그 중 한 줄기는 금강산토성수련도장으로 이어졌고, 다른 한 줄기는 상봉을 거쳐 미시령과 설악산으로 이어져 내려간다. 따라서 대순진리회의 여러 도장들 가운데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을 형기풍수론을 토대로 살펴봄으로써, 대순진리회가 종교 건축물의 입지조건으로서 주위 환경과의 관계를 강력히 고려하고 있다는 사실을 풍수지리 제반 이론들을 토대로 학술적 접근을 통해 그 본의를 논증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이 자리하고 있는 현장을 중심으로 산과 물의 흐름을 파악하고 주변의 지세가 어떤 형태로 풍수의 이치에 부합하고 있는지 전반적으로 살펴보았다. 제반 풍수이론에 근거하여 볼 때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은 신선봉을 필두로 하여 주맥이 행도 과정에서 산줄기가 흘러내리면 물이 따라 흐르고, 물이 휘돌아 흐르는 곳에 산이 따라 이어지는 수많은 지리적 음양변화를 거치며 금강산토성수련도장으로 이어져 내렸다. 자연의 이치라 할 수 있는 산과 물의 유기적인 관계로 볼 때 때 금강산토성수련도장의 가장 두드러진 풍수적 특징은 음양합덕에 부합한 빼어난 수세와 청룡과 백호가 조화를 이룬 국세를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풍수이론에 부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통합정보제공을 위한 공간정보 기반의 국내 능선축 구축 (An Integrate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for Mountain Ridgelines Using Spatial Information)

  • 이명진;이수재;이창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7-120
    • /
    • 2014
  • 본 연구는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국내 능선축을 구축하고, 주변 자연환경의 기초정보를 분석하여 관련 정보의 통합 제공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국내 능선축(대간, 정맥, 지맥 및 기맥)을 공간정보로 구축하고 정립하였다. 둘째, 국내 능선축의 원류 및 분기 등의 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코드화를 수행하였다. 셋째, 기 구축된 능선축 주변의 자연환경(지형정보, 생태 자연도 및 국토환경성평가지도) 관련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현황을 분석하였다. 넷째, 전술된 3가지 정보를 통합하여 활용하는 방안으로 Web GIS 기반의 능선축 통합정보제공 체계를 제안하고 기본 기능을 도출하였다. 지맥 및 기맥과 같은 능선축의 구축은 기존의 대간 및 정맥의 구축과정보다 세밀히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구축방법을 보다 개선하여 정확도를 높였다. 국내 능선축을 길이에 따라서 5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능선축 자체의 연결된 현황 파악을 위하여 백두대간을 기반으로 분류체계를 코드화 하여 전체 능선축에 적용하였다. 또한 능선축 주변을 거리에 따라서 핵심, 완충, 중점으로 3가지 구분하고 주변의 기초 자연환경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능선 축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본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정규화 되지 못했던 국내 능선축을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능선축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삼음삼양(三陰三陽)의 시간배속(時間配屬)에 대한 연구 -관우삼음삼양시간배속연구(關于三陰三陽時間配屬硏究)

  • 이용범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9권2호통권33호
    • /
    • pp.46-52
    • /
    • 2006
  • ${\ulcorner}$황제내경(黃帝內經)${\lrcorner}$ 내함한의학이론(內含韓醫學理論) 기중삼응삼양적내용비상난(其中三陰三陽的內容非常難) 기원인사(其原因是)${\ulcorner}$황제내경(黃帝內經)${\lrcorner}$ 중삼음삼양적내용비상복집(中三陰三陽的內容非常複雜), 특별시삼음삼양적시간배속매편화일양(特別是三陰三陽的時間配屬每篇不日樣) 본론문통과관우(本論文通過關于子) ${\ulcorner}$황제내경(黃帝內經)${\lrcorner}$ 중삼음삼양적시간배속진행연구(中三陰三陽的時間配屬進行硏究), 득출여하결론(得出如下結論), 운기지주기순서춰시오행(목화토금수)순서(運氣之主氣順序就是五行(木火土金水)順序), 저설명주기변화주요근거형지변화(這說明主氣變化主要根據形之變化), 운기지객기순서취시기지대(運氣之客氣順序就是氣之大小)(일양(一陽)${\longrightarrow}$이양(二陽)${\longrightarrow}$삼양(三陽)${\longrightarrow}$일음(一陰)${\longrightarrow}$이음(二陰)${\longrightarrow}$삼음(三陰))${\longrightarrow}$, 저설명객기변화주요근거기지변화(這說明客氣變化主要根據氣之變化) ${\ulcorner}$소문맥해(素問脈解)${\lrcorner}$ 적삼음삼양월별배속시음관(11월:태음)(的三陰三陽月別配屬是陰關(11月:太陰)${\longrightarrow}$양관(1월:태양)(陽關(1月:太陽)${\longrightarrow}$음합(3월:궐음)(陰闔(3月:厥廠)${\longrightarrow}$양합(5월:양명)(陽闔(5월:陽明))${\longrightarrow}$음추(7월:소음)(陰樞(7月:少陰)${\longrightarrow}$양추(9월:소양)(陽樞(9月少陽). 태양소음시음양세력적기초(太陽少陰是陰陽勢力的基礎), 소이상위표리(所以相爲表裏). 소양소음시음양세력적중간(少陽少陰是陰陽勢力的中間), 소이사위표리(所以杞爲表裏) 태음궐음시음양세력적전성기(太陰歐陰是陰陽勢力的全盛期), 소이상위표리(所以相爲表裏) 차료리적의사반영경락류주(此表養的意思反映經絡流注). 태음양명경류주신체전면(太陰陽明經流注身體前面), 태양소음경류주신체후면( 太陽少陰經流注身體後面 ), 소양궐음경류주신체측면(少陽厥陰經流注身體側面). ${\ulcorner}$령추경맥(靈樞經脈)${\lrcorner}$적12경맥류주순서시태음양면경(的12經脈流注順序是太陰陽明經)${\longrightarrow}$소음태양경(少陰太陽經)${\longrightarrow}$궐음소양경적표리경락위주(厥陰少陽經的表裏經絡爲主). 수선매기류주태음양명경적이유(首先脈氣流主太陰陽明經的理由), 취시후천수곡정미화호흡대기결합이형성경맥지기(就是後天水穀精微和呼吸大氣結合而形成經服之氣). 지후맥기류주소음태양경(之後脈氣流注少陰太陽經), 설명순행태음양명경적후천영양물질전입한열경락이위신(說明盾行太陰陽陽明經的後天營養物質轉入寒熱經絡而爲寫薪), 기차맥기순해궐음소양경적(其次脈氣盾行厥陰少陽經的), 인위한열경락지화기피궐음소양경지풍기조절이후조절조습경락(因爲寒熱經絡之火氣被厥陰少陽經之風氣調節而後調節操濕經絡), 비여작반시(比如作飯時), 화기취시소음태양경(火氣就是少陰太陽經), 풍기취시궐음소양경(風氣就是厥陰少陽經), 정내지반취시태음양명경.(鼎內之飯就是太陰陽明經). ${\ulcorner}$령추음양계일월(靈樞陰陽緊日月)${\lrcorner}$ 적삼음삼양월별배속주요시추관합합관추순서(的三陰三陽月別配屬主要是樞關闔闔關樞順序). 저양배서적원인시개문화관문과정(這樣排序的原因是開門和關門過程). 재춘하(在春夏), 양경락지맥기여개문관문과정(陽經絡之脈氣如開門關門過程), 수착추관합합관추순서순행(隨看樞關闔闔關樞順序盾行), 재추동(在秋冬), 음경락지맥기여개문폐문과정(陰經絡之脈氣如開門閉門過程), 수착추관합합관추순행(隨看樞關闔闔關樞盾行).

  • PDF

무수동 유회당 원림(하거원(何去園))의 산수체계와 공간구성 (A Study on the Natural Landscape System and Space Organization of Musudong Village's Yuhoidang Garden(Hageohwon))

  • 신상섭;김현욱;강현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06-115
    • /
    • 2011
  • 대전 무수동에 가꾸어진 유회당 원림(하거원)의 산수체계 및 문화경관 구성요소를 '유회당집'(18C)에 근거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회당(권이진)은 보문산 남쪽 지맥 무수동에 자신의 이상세계를 반영한 하거원 원림을 경영했다. 즉, 1707년 마을 뒷동산에 선묘를 자리잡은 이후 시묘소(삼근정사) 조성, 1713년 납오지, 1714년 반환원, 그리고 1727년에 외부공간을 확충하여 하거원 원림을 완성했다. 마을의 산수체계는 대둔산-오대산-보문산이 차례로 이어져 주맥을 이루는데, 주산인 보문산의 지맥(응봉)에서 동쪽으로 뻗은 구릉이 청룡이며, 보문산의 서쪽 지맥(천근과 사정)이 백호이고, 남산은 안산이 된다. 한편, 주륜산에서 발원한 서남쪽 내(川)가 외명당수가 되고, 응봉에서 발원한 계류(내명당)가 마을 동쪽을 관류하여 남서쪽으로 출수되는 배산임수 체계를 보여준다. 마을 동쪽으로 펼쳐지는 계류와 자연 암반 등 자연경관을 활용하여 조성된 초기의 정원(반환원)은 납오지, 활수담, 고수대, 수미폭포, 도경(복숭아나무 오솔길), 오덕대(감나무), 매룡(매화나무), 샘, 배경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반환원을 확장하여 조성된 하거원은 계류와 4개의 연못, 5개의 대(臺)와 3개의 대숲(竹林), 그리고 석가산 축경원 등 수목석 경색(景色)이 어우러진 원림을 구축했다. 의미경관 요소로 (1) 부모님 추모를 위한 유회당, (2) 가문 화합을 염원한 납오지, (3) 절개를 귀하게여긴 고수대, (4) 덕과 지혜의 의미를 일깨운 오덕대, (5) 고매한 인간됨을 염원한 수미폭포, (6) 상서로움을 취한 요천대, (7) 은일자의 삶을 대입시킨 수만헌과 기궁재, (8) 가문과 학문 발전을 염원한 활수담, (9) 선조의 은혜를 일깨운 몽정, (10) 은둔자의 모습을 표현한 석가산, (11) 묘역지킴의 기쁨과 은퇴후의 삶을 위한 하거원 등을 들수 있다. 하거원의 공간구성체계는 (1) 유회당 내원(內園: 납오지와 죽천당, 오덕대, 도경과 후정 등), (2) 수만헌별업(유회당 후원(後園): 석연지와 요천대, 수만헌과 배경대, 암석원 등), (3) 석가산(12봉) 축경원(縮景園, 수만헌 동원(東園): 활수담과 수미폭포, 12봉 가산 등), (4) 마을 뒷동산에 자리잡은 선조들의 묘원(墓園), 그리고 여경암 암자와 산신각(공동체 토속신앙 제례처), 거업재(서당) 등은 유불선(儒彿仙)이 융화된 선경처로서 원근의 계절미를 시원스럽게 부감(俯瞰)할 수 있는 차경원(借景園)으로 구성된다.

낙동정맥 삼척시 용소골 계곡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Yongso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Samcheok-si)

  • 조현서;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82-590
    • /
    • 2010
  • 백두대간에 대한 관심은 현황조사 및 분석, 관리 및 복원 방안 등 다양한 연구결과를 도출한 반면, 지맥인 정맥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현황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향후 관리 및 복원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낙동정맥 중 용소골의 식생구조를 밝히고자 $10m{\times}10m(100m^2)$ 조사구 30개소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상대우점치 및 평균상대우점치에 의한 군집분류 결과 소나무군집, 박달나무군집, 황철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의 5개 유형이 용소골 계곡을 대표하는 군집이었다. 소나무군집은 능선부에 주로 분포하며 꼬리진달래가 출현하는 것이 특징이었고 박달나무군집은 참나무류와 경쟁을 피할 수 있는 능선부 급경사지와 완만한 전석지에 분포하였다. 단위면적당($400m^2$) 종다양도는 0.7914~0.9442이었으며 수령은 30~115년으로 층위구조가 형성된 보호가치가 있는 숲이었다.

등고선을 이용한 자행정보의 3차원 시각화 기법 (A 3-D Visualization Method for Geographical Information based on Contour Lines)

  • 한정규;백중환;황수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23-133
    • /
    • 2001
  • 기존의 위성 영상이나 지도 이미지를 이용한 지형의 3차원 시각화 방법은 전처리 과정이 복잡하고 3차원 지형의 생성에 필요한 데이타가 방대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등고선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3차원 지형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지형의 3차원 시각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지형 데이타의 3차원 시각화를 위해 반드시 처리해야 하는 세가지 문제인 등고선 대응 문제, 타일링 문제, 지맥 문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를 위해 가상 등고선의 개념을 정의하고 왜곡된 등고선을 대응되는 등고선과 유사한 모양이 되도록 확장하여 3차원 표면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방법은 3차원 지형을 정확하고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남극 포웰분지 북부인근 남스코시아 해령의 지체구조 (Tectonic Structures of the South Scotia Ridge Adjacent to the Northern Part of the Powell basin, Antarctica)

  • 홍종국;진영근;박민규;이주한;남상헌;이종익
    • 지구물리
    • /
    • 제9권4호
    • /
    • pp.409-416
    • /
    • 2006
  • 남극 포웰분지 북부 지역과 남스코시아 해령을 포함하는 지역에 대한 48채널 탄성파 탐사가 2004년에 러시아 선적 Yuzmogeologia 호를 임차하여 수행되었다. 자료처리는 Promax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탐사자료의 해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남스코시아해령 중앙에 위치한 에스페리데스 해연과 이스턴 해연은 서로 유사한 지층구조를 보이며, 크게 2개의 층상구조를 보인다. 하부층은 주로 단층활동과 동시대에 퇴적된 지층으로 이 시기 해연이 확장하였을 것으로 해석된다. 상부층은 해양성 퇴적물이 주로 퇴적되었으며 해연의 확장이 거의 정지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남스코시아 해령의 남쪽지맥의 지형은 동서 방향의 확장에 의한 함몰지형이 나타난다. 이러한 함몰지형은 포웰분지의 해저확장 또는 그 이전에 작용하였던 열개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함몰대 내부에 두꺼운 퇴적층이 존재한다.

  • PDF

안동지역에서의 풍수경관

  • 옥한석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요약집
    • /
    • pp.95-98
    • /
    • 2002
  • 본 연구는 안동지역에 있어서 이른바 명당이라고 하는 음택 풍수 경관을 조사하여 그 형태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안동문화원에서 펴낸 $\boxDr$안동의 분묘$\lrcorner$ 에 나오는 분묘를 대부분 조사하고 이를 형기론적 입장에서 형국으로 분류하였다. 태백산에서 소백산을 잇는 낙동정맥 살의 문수산(1206m)에서 하나의 지맥이 남쪽으로 흘러 태자산, 박달산, 오적산, 학가산(870m), 보문산(643m), 검무산(331m)을 이루어내어 안동의 서쪽 산줄기를 형성하며, 태백산에서 백병산, 일월산, 주방산(주왕산), 보현산, 황학산, 오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우측을 이루어내어, 이들 우백호와 좌청룡이 안동군 풍천면의 구담리에서 마주하게 된다. 그 사이로 안동군, 예안현 등이 입지하였다. 이러한 안동의 산세에 따라 낮은 구릉, 완만한 사면 및 높은 배후 산지가 전개되며 낙동강 본류와 지류가 흘러 다양한 형국이 나타나게 된다. 안동의 경우는 날짐승(봉, 학, 꿩), 꽃(모란, 연꽃, 칡넝쿨), 길짐승(닭), 들짐승(거북, 뱀), 물건(등잔, 가마솥, 밥상), 용, 달 등이 33개가 나타난다. 이들의 분포를 살펴보면 크게 낙동강 본류 이북 쪽에 집중한다. 이들 명당은 고도 상으로 해발고도 200미터 부근에 대부분 입지한다. 무릇 명당이란 안산과 조산을 넘어 득수가 잘 이루어져야 하므로 낙동강 본류를 중심으로 하고 그 지류를 향하여 분포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들 명당의 형태와 공통된 특징을 살펴본 결과 명당은 반개방성, 중첩성, 안정성, 조화성, 균형성의 5가지 특징이 나타나는 곳이다. 이러한 명당의 특징은 태조산, 중조산, 소조산를 거쳐 주산 아래 산이 겹겹이 에워싸게 되고, 계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