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Natural Landscape System and Space Organization of Musudong Village's Yuhoidang Garden(Hageohwon)

무수동 유회당 원림(하거원(何去園))의 산수체계와 공간구성

  • Shin, Sang-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Kim, Hyun-Wu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Kang, Hyun-M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Woosuk University)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김현욱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강현민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11.08.09
  • Accepted : 2011.09.23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based on (edited in 18th century), analysed the landscape system and cultural landscape elements of Yuhoidang(Hageowon 何去園) Garden in Musu-dong, Daejeon, and the findings are as in the following. YuHoidang(Gwon Yijin 權以鎭) managed Hageowon Garden in Musu-dong, located on the southern branch of Mt. Bomun, to realize his utopia. The completion of Hageowon Garden was only possible due to his installation of a variety of facilities in family gravesite on the hill behind his house: Shimyoso(Samgeunjeongsa 三近精舍, in 1707), Naboji(納汚池, in 1713), Banhwanwon(in 1714) and expended exterior space(in 1727). With regard to the landscape system of the village, the main range of mountains consists of Mt. Daedun, Mt. Odae and Mt. Bomun. The main high mountain of the three is Mt. Bomun, where 'Blue Dragon' hill branches off on the east side(Eungbong), 'White Tiger' in the west(Cheongeun and Sajeong) and Ansan(inner mountain) in the south. The landscape system is featured by 'mountains in back and rivers in front'. The river in the south-west, with its source in Mt. Juryun is called as the 'Stream of outer perfect spot', while the 'Stream of inner perfect spot' rises from Eungbong, passing through the east part of the village into the south-western direction. Banhwanwon Garden(盤桓園) was created with the stream in the east and natural bedrocks, and its landscape elements includes Naboji, Hwalsudam, Gosudae, Sumi Waterfall, Dogyeong(path of peach trees), Odeeokdae(platform with persimmon trees), Maeryong(Japanese apricot tree), springs and observatories. An expanded version of Banhwanwon was Hageowon garden, where a series of 'water-trees-stone' including streams, four ponds, five observation platforms, three bamboo forests and Chukgyeongwon(縮景園) of an artificial hill gives the origin forest a scenic atmosphere. When it comes to semantics landscape elements, there are (1) Yuhoidang to cherish the memory of a deceased parents, (2) Naboji for family unification, (3) Gosudae to keep fidelity, (4) Odeokdae to collect virtue and wisdom, (5) Sumi Waterfall to aspire to be a man of noble character, (6) Yocheondae for auspicious life, (7) Sumanheon and Gigungjae to be in pursuit of hermitic life, (8) Hwalsudam for development of family and study, (9) Mongjeong to repay favor of ancestors, (10) Seokgasan, a symbol of secluded life, (11) Hageowon to enjoy guarding graves in retired life. The spatial composition of Hageowon was realized through (1) Yuhoidang's inside gardens(Naboji, Jucheondang, Odeokdae, Dogyeong, Back yard garden and others) (2) Sumanheon(收漫軒) Byeolup or Yuhoidang's back yard gardens (Seokyeonji, Yocheondae, Sumanheon, Baegyeongdae, Amseokwon and others) (3) Chukgyeongwon of the artificial hill(which is also the east garden of Sumanheon, being composed of Hwalsudam, Sumi Waterfall and Gasan or 12 mountaintops) (4) the scenic spots for unify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re Cemetry garden in the back hill of the village, the temple of Yeogyeongam, Sansinkak(ancestral ritual place of folk religion) and Geoeopjae(family school). On top of that, Chagyeongwon Garden(借景園) commands a panoramic distant view of nature's changing beauty through the seasons.

대전 무수동에 가꾸어진 유회당 원림(하거원)의 산수체계 및 문화경관 구성요소를 '유회당집'(18C)에 근거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회당(권이진)은 보문산 남쪽 지맥 무수동에 자신의 이상세계를 반영한 하거원 원림을 경영했다. 즉, 1707년 마을 뒷동산에 선묘를 자리잡은 이후 시묘소(삼근정사) 조성, 1713년 납오지, 1714년 반환원, 그리고 1727년에 외부공간을 확충하여 하거원 원림을 완성했다. 마을의 산수체계는 대둔산-오대산-보문산이 차례로 이어져 주맥을 이루는데, 주산인 보문산의 지맥(응봉)에서 동쪽으로 뻗은 구릉이 청룡이며, 보문산의 서쪽 지맥(천근과 사정)이 백호이고, 남산은 안산이 된다. 한편, 주륜산에서 발원한 서남쪽 내(川)가 외명당수가 되고, 응봉에서 발원한 계류(내명당)가 마을 동쪽을 관류하여 남서쪽으로 출수되는 배산임수 체계를 보여준다. 마을 동쪽으로 펼쳐지는 계류와 자연 암반 등 자연경관을 활용하여 조성된 초기의 정원(반환원)은 납오지, 활수담, 고수대, 수미폭포, 도경(복숭아나무 오솔길), 오덕대(감나무), 매룡(매화나무), 샘, 배경대 등으로 구성되었다. 반환원을 확장하여 조성된 하거원은 계류와 4개의 연못, 5개의 대(臺)와 3개의 대숲(竹林), 그리고 석가산 축경원 등 수목석 경색(景色)이 어우러진 원림을 구축했다. 의미경관 요소로 (1) 부모님 추모를 위한 유회당, (2) 가문 화합을 염원한 납오지, (3) 절개를 귀하게여긴 고수대, (4) 덕과 지혜의 의미를 일깨운 오덕대, (5) 고매한 인간됨을 염원한 수미폭포, (6) 상서로움을 취한 요천대, (7) 은일자의 삶을 대입시킨 수만헌과 기궁재, (8) 가문과 학문 발전을 염원한 활수담, (9) 선조의 은혜를 일깨운 몽정, (10) 은둔자의 모습을 표현한 석가산, (11) 묘역지킴의 기쁨과 은퇴후의 삶을 위한 하거원 등을 들수 있다. 하거원의 공간구성체계는 (1) 유회당 내원(內園: 납오지와 죽천당, 오덕대, 도경과 후정 등), (2) 수만헌별업(유회당 후원(後園): 석연지와 요천대, 수만헌과 배경대, 암석원 등), (3) 석가산(12봉) 축경원(縮景園, 수만헌 동원(東園): 활수담과 수미폭포, 12봉 가산 등), (4) 마을 뒷동산에 자리잡은 선조들의 묘원(墓園), 그리고 여경암 암자와 산신각(공동체 토속신앙 제례처), 거업재(서당) 등은 유불선(儒彿仙)이 융화된 선경처로서 원근의 계절미를 시원스럽게 부감(俯瞰)할 수 있는 차경원(借景園)으로 구성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감(權堪: 1760-1823), 용와집.
  2. 규장각 한국학연구원(2009). 조선 양반의 일생. 서울: 글항아리. pp.194-195.
  3. 김기주, 김성우(1989). 조선후기 한양의 상류주택 조영비 추정에 관한 연구. 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9(1): 190.
  4. 김두규(2005). 풍수학사전. 서울: 비봉출판사.
  5. 금강문화유산연구원(2009). 보문산공원 무수리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
  6. 신상섭(2007). 한국의 전통마을과 문화경관 찾기.
  7. 신상섭(2011). 조선후기 상류주택 사의당의 공간체계와 조경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2): 20.
  8. 신상섭, 노재현(2011). 안평대군 비해당 원림의 의미경관과 조경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9. 안동권씨 유회당종중(2006). 국역 유회당집. 서울: 경인문화사.
  10. 이종묵(2009). 사의당지, 우리집을 말한다. 서울: 휴머니스트. p.16.
  11.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zxcvbnm7997&logNo=10092252160
  12. http://blog.daum.net/dkfwl66/6963091
  13. http://gallery.kostma.net/main/doc_content.asp?group_id=131
  14. http://koreandb.nate.com/history/people/detail?sn=9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