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리

Search Result 8,586,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n Object Oriented Spatial Data Model Based on Geometric attributes and the Role of Spatial Relationships in Geo-objects and Geo-fields (지리-객체와 지리-필드에서 기하 속성과 공간관계 역할에 기반한 객체 지향 공간 데이터 모델)

  • Lee, Hong-Ro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8D no.5
    • /
    • pp.516-572
    • /
    • 2001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CIS) deal with data which can potentially be useful for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The information needed by each application can be vary, specially in resolution, detail level, application view, and representation style, as defined in the modeling phase of the geographic database design. To be able to deal with such diverse needs, GIS must offer features that allow multiple representation for each geographic entity of phenomenon. This paper addresses on the problem of formal definition of the objects and their relationships on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The geographical data is divided into two main classes : geo-objects and geo-fields, which describe discrete and continuous representations of spatial reality. I studied the attributes and the relationship roles over geo-object and nongeo-object. Therefore, this paper contributed on the efficient design of geographical class hierarchy schema by means of formalizing attribute-domains of classes.

  • PDF

地理敎育

  • 전장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13
    • /
    • pp.41-49
    • /
    • 1976
  • 8.15광복후부터 현재까지의 지리교육은 1960년대 초기까지는 주로 중등교육이 중심이되어 각급학교의 교육과정의 개편이 지리교육의 방향을 결정하였던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필자는 중등학교의 지리교육에 한정하지 않고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부터 각 대학에 신설된 지리학과 또는 사회생활(교육)과내의 지리전공(이후 편의상 지리과로 사용키로함)을 중심한 대학에서의 지리교육 그리고 이들 각 대학의 활동, 지리교육에 관계된 활동 및 각종 연구업적을 중심으로 개괄적으로 정리하였다. 본 논문중에 인용된 연구활동이나 업적등은 주로서 말미에 기재하였다.

  • PDF

해양기본지리정보구축에 관한 기본연구

  • Kim, Jeong-Hyeon;O, Sun-Bok;Seo, Sang-Hyeon;Choe, Yun-Su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79-89
    • /
    • 2002
  • 해양기본지리정보란 해양의 여러 정보 중 기초적인 주요지리정보로서 연안 및 해양의 지형 및 경계등의 위치 및 속성에 관한 정보를 말하며, 이러한 정보는 국가기본지리정보 체계와 다양한 해양정보시스템의 기본데이터 항목으로 사용된다. 해양기본지리정보구축을 위해서는 먼저 해양기본지리정보의 항목이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해양의 측량, 관측분야에서도 급격한 기술의 발달에 따라 선정된 항목의 기존 획득자료의 활용성 여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자료검증과정을 통해 기본 지리정보 자료획득에 대한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며, 수립된 계획을 바탕으로 정확도 높은 자료의 획득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다양한 방법에 의해 획득 및 구축되어진 해양기본지리정보는 해양수산관련 정보화시스템과 인터넷 등을 통해 여러 분야에서 활용 및 제공되어질 것이다. 해양기본지리정보와 나아가 해양지리정보체계의 보다 나은 구축을 위해 기존의 해양관련지리정보 및 외국사례의 분석을 통해 현재 추진중인 해양기본지리정보 구축의 방향 및 구축자료의 활용방안에 대해 간략히 언급해 보았다. 해양을 보존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를 유기적으로 구축, 관리 및 공급할 수 있는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의 중요성은 앞으로도 계속 커질 것이다.

  • PDF

Value Objectives and their Content in Geographic Education (地理敎育의 價値目標와 그 內容에 관한 고찰)

  • Yi, Kyeong-Ha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1 no.1
    • /
    • pp.38-48
    • /
    • 1996
  • Value objectives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geography education. Then in this study I reviewed some value objectives and their contents which have been discussed in geographic education and curriculum in secondary education. Value objectives which are reviewed in geographic education, are regional consciousness, loving home country and nation,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citizenship, art of landscape, natural and environmental beauty, and human right. But values objectives in geography curriculum are included value incalculation: national development, participation in economic development, etc.. Namely development education is more emphasized than individual life and experience in geographic education. Value objectives should be on the basis of social education and citizenship education for geographic education. Futherm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teaching methods which help student's socialization and social competence through geography education focused on value objectives and their content.

  • PDF

A Study on Method of Framework Data Update and Computing Land Change Ratio using UFID (UFID를 이용한 기본지리정보 갱신 및 지형변화율 산출 방안 연구)

  • Kim, Ju Han;Kim, Byung Gu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1D
    • /
    • pp.157-167
    • /
    • 2006
  • During the first and second NGIS projects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first one (1995~2000) was limited on construct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second (2001~2005) was focused on circulation and practical use of geoinformation from the result of the first project. In the latter half of 2nd NGIS project, However, the geographic information from the NGIS projects have not been renewed even 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geographical changes. The accurate renewal of geoinformation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o the next generation industry (e.g. LBS, Ubiquitous, Telematics). In this respect, it is time to update the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second NGIS project. Therefore, It is not only important to build an accurate geoinformation but also rapid and correct renewal of the geoinformation. NGII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has been studying for improvement of digital map that was constructed by the result of the 1st NGIS project. Through the construction of clean digital map, NGII constructed Framework Data to three kinds of formats (NGI, NDA, NRL). Framework Data was contained to other database, and provided the reference system of location or contents for combining geoinformation. Framework Data is consist of Data Set, Data Model and UFID (Unique Feature Identifier). It will be achieved as national infrastructure data.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a method of the update to practical framework data with realtime geoinformation on feature's creation, modification and destruction managed by 'Feature management agency' using UFID's process. Furthermore, it suggests a method which can provide important data in order to plan the Framework update with the land change ratio.

Circulation System of Geographical Knowledg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Geography (지속가능한 지리학 발전을 위한 지리지식의 순환체계)

  • Moon, Nam-Che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0 no.4
    • /
    • pp.473-483
    • /
    • 2014
  • The geographical knowledge is composed of academic geographical knowledge, school geographical knowledge, applied geographical knowledge and popular geographical knowledge according to the diverse social need and demand. And the geographical knowledge has developed through the knowledge circulation system, which is connected to knowledge production, delivery, application and to reproduction among these knowledge fields. The discontinuity of knowledge circulation can lead to crisis of geographical whole. Therefor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geography, it is necessary to firmly build a virtuous circulation system of geographical knowledge which is linked to a knowledge production and accumulation by an academic geography, knowledge delivery by a school geography, knowledge social application by an applied geography, knowledge application in everyday life by a popular geography and knowledge reproduction by an academic geography.

  • PDF

RM-ODP Application and Architecture Design for National Integrated Geospatial Portal (지리정보통합포털 구축을 위한 개방형 분산프로세싱 참조모형 적용 및 아키텍처 설계)

  • Shin, Dong-Bin;Park, Si-Young;Jeong, Jin-Seok;Kim, Dong-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3 no.4 s.34
    • /
    • pp.75-81
    • /
    • 2005
  • This study intended to show the way of evolving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Clearinghouse' to 'National Integrated Geospatial Portal'. For this purpose we have analyzed Geospatial One-Stop Portal in the US and then suggested future model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Clearinghouse. The Integrated Geospatial Portal model is based on the Reference Model for Open Distributed Processing(RM-ODP) which is an international model for information distribution and sharing. The Integrated Geospatial Portal architecture consists of the data layer, middle-ware, presentation layer. It will help users to determine their fitness for nation wide GIS application and provide tools for accessing, visualizing, or ordering various geospatial data.

  • PDF

시계열 공간자료들의 평균과 변량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박수진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247-252
    • /
    • 2003
  • 최근 원격탐사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들이 급격하게 발달하면서, 공간상의 각종 지리사상들의 시계열적인 자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리학계의 관심은 특정 지리사상의 시간적인 변화(Time series analyses)와 공간상의 분포 (Spatial statistics)로 크게 대별되어 왔으며, 이 두 가지의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하겠다. (중략)

  • PDF

넉넉한 어머니의 품 지리산과 몸을 맑게 하는 대통밥

  • Jeon, Gi-Hwan
    • 건강소식
    • /
    • v.28 no.7 s.308
    • /
    • pp.36-37
    • /
    • 2004
  • 지리산은 넉넉하고 푸근하며 또한 정겹다. 설악산이 고운 여인을 보는 듯한 느낌이라면 지리산은 그리운 어머니를 연상시킨다. 너른 치마 자락에 아이들을 주렁주렁 매달아 키운 우리네 어머니처럼 지리산은 너른 산자락마다 온갖 짐승과 나무,새,꽃들을 키운다. 거기에 사람 사는 마을까지 흩뿌려 놓았다. 구례는 지리산 자락에 안긴 푸근한 마을이다. 등뒤에서 감싸안은 지리산과 발치를 적시며 흐르는 섬진강 덕분에 사철 풍요롭고 행복한 고장이다.

  • PDF

Standardization Trend for UBGI (UBGI 표준화 동향)

  • Kim, Eu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313-314
    • /
    • 2009
  • 미래 유비쿼터스 국토 실현에 있어서 기존의 GIS를 기반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지리정보(UBGI: Ubiquitous Geographic Information)가 핵심이다. 유비쿼터스 기술이 GIS와 결합한 개념으로서, 언제 어디서나 어떤 기기에서나 지리정보 컨텐츠를 보내고 받을 수 있는 것을 유비쿼터스 지리정보이라 정의할 때, 이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해 유비쿼터스 지리정보 표준화는 필수적이다. 아울러 표준화는 기술개발과 동시에 유비쿼터스 지리정보시장의 선점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비쿼터스 지리정보 표준화를 위한 국제적 경쟁이 치열하다. 이에 기존연구를 토대로 유비쿼터스 지리정보 표준화에 대한 개념 및 범위를 파악하고, 국제표준화기구인 ISO/TC211을 중심으로 관련 표준화기관에서의 유비쿼터스 지리정보 표준화 추진동향을 살펴보도록 한다. 이어 유비쿼터스 지리정보 국제표준화를 주도하는 과정에서의 우리나라의 역량을 강화하고, 3단계 국가GIS의 비전인 유비쿼터스 국토실현을 앞당기기 위한 유비쿼터스 지리정보 표준화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