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리조사

Search Result 1,37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Abies koreana Stand Structure of Mt. Jirisan and Mt. Hallasan (지리산과 한라산의 구상나무 임분 구조의 생태적 특성)

  • Song, Ju Hyeon;Han, Sang Hak;Lee, Sang Hun;Yun, Chung W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0 no.4
    • /
    • pp.590-600
    • /
    • 2021
  • This study compared the stand structure of Abies koreana forests between Mt. Jirisan and Mt. Hallasan by analyzing DBH distribution, stem vitality, crown structure, importance value, species diversity, and DCA. The data were acquired through the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project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the comparison of DBH class distribution, the stem density of A. koreana with DBH < 20 cm was higher in Mt. Hallasan than that in Mt. Jirisan; however, the stem density of A. koreana with DBH > 20 cm was higher in Mt. Jirisan than that in Mt. Hallasan. For A. koreana stem vitality, the ratio of alive standing was higher in Mt. Jirisan (72.0%) than in Mt. Hallasan (60.7%), whereas the ratio of alive leaning was higher in Mt. Hallasan (10.2%) than in Mt. Jirisan (1.1%). A. koreana stand in Mt. Jirisan was a mature stand with four evenly developed and distinct layers, whereas the tree layer in Mt. Hallasan was less than 10 m and the stand had three layers without a subtree layer. Mt. Hallasan's importance value of A. koreana was 39.4% higher than Mt. Jirisan's importance value of 26.6%.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A. koreana community of Mt. Jirisan was 2.52 times higher than that of Mt. Hallasan, which was 1.58. DCA results revealed that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Mt. Jirisan and Mt. Hallasan was relatively distinguished, and the degree of scattering of species composition of Mt. Jirisan was relatively dense compared with that of Mt. Hallasan.

Development of a Feature Catalogue for 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해양 지리정보 피쳐 카탈로그 작성에 관한 연구)

  • Hong, Sang-Ki;Yun, Suk-Bum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6 no.1 s.11
    • /
    • pp.101-117
    • /
    • 2004
  • Standards are essential to facilitate the efficient use of GIS data.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ISO TC211's 19100 series and various technical specifications from OpenGIS Consortium are some of the examples of efforts to maintain the interoperability among GIS applications. Marine GIS is no exception to this rule and in this context. developing standards for marine GIS is also in urgent needs. Using the same meaning and definition for the features commonly found in marine GIS applications is one of the ways to increase the interoperability among systems. One of the key requirements for maintaining the standard meanings for features is to build a common feature catalogue.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feature catalogue and describe the ways in which the feature catalogue can be organized. To identify the common features found in various marine GIS applications, a comprehensive search has been made to collect and analyze the features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To maintain the interoperability with the National GIS (NGIS) system, the features used in various NGIS applications have been analyzed as well. The result of these analyses are used to create a comprehensive list of common features for marine GIS. This paper then explains the common feature catalogue for marine GIS and the provides the appropriate classification and coding systems for the common features. In addition, a registration tool for registering the common features into the standard registry has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This Web-based tool can be used to input features into the feature catalogue by various applications and also to maintain a standard-compliant feature catalogue by standard agencies.

  • PDF

A Study on the Deployment of Geoportal Service for Interoperable GIS Use (GIS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Geoportal 서비스의 전개방안 연구)

  • Kim, Jung-Ok;Yu, Ki-Yun;Kim, Yong-Il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447-452
    • /
    • 2005
  •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의 발전과 더불어 지리정보시스템(GIS)은 웹사이트를 통한 공간 데이터의 접근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진보는 지리정보 산업이 단순한 공간자료 전달이 아닌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새로운 단계로 성장한 것을 의미하며, 또한 공공의 목적뿐만 아니라 민간분야의 사업에 활용되어 부가가치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웹을 이용한 지리정보 유통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등장한 geoportal은 유럽의 여러 선진국과 미국 등에서 지역적 국가적 세계적인 범위의 공간정보 관리를 위하여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럽과 미국 등 기존의 통합유통체계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해 우리의 geoportal 아키텍처를 제시하였다. 아키텍처는 Web portal, Web service, Data management를 구성요소로 하여 상호운용을 위한 미들웨어에 대해 논의한다.

  • PDF

Koreans Sense of Home: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thos and Relevant Geographical Attributes (한국인의 고향관: 그 지리학적 요인과 정서(ethos)의 관계)

  • 이은숙;신명섭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3
    • /
    • pp.401-42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고향의 개념을 의미론적 측면과 지리학적 입장에서 정의하고, 한국 사람들이 고향이라고 지칭하는 고향의 공간적 대상, 고향에 대한 감정과 선호, 고향의 지리적 특징 및 이미지 등을 조사하여, 이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고향에 대한 애착의 본질과 정서(ethos)를 밝히려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고향에 대한 애착은 본질적으로 고향 의식과 회귀본능과 같은 고향에 대한 인류의 보편적 정서로부터 나온 것이다. 둘째. 이러한 보편적 정서 위에 한국의 사회적 배경에서 나오는 고유한 고향의식이 첨가되었다. 사회적 배경에서 발생된 고향에 대한 강한 애착은 효에 근본을 둔 유교적 전통, 남북분단, 도시화에 따른 광범위한 실향의 결과에 의해서 형성된 정서라고 볼수 있다. 섯째, 고향이미지는 이러한 한국의 정서를 반영하고 있으며, 자연환경적, 인문환경적, 감각적 요소가 모두 수렴된 전형적이며, 추상화된 유형으로 나타난다. 넛째, 한국인의 고향에 대한 정서는 인간의 본성으로부터 나오는 보편적 정서와 대체로는 일치하지만 개인이나 집단의 인구.사회적 배경과 공간적 체험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xtract the main factors related to ground subsidence near abandoned underground coal mine using PCA (PCA 기법을 이용한 폐탄광 지역의 지반침하 관련 요인 추출)

  • Choi, Jong-Kuk;Kim, Ki-Do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301-30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폐탄광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반침하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다변량 통계분석 방법의 하나인 주성분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 : PCA)기법과 지리정보시스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에서 수행한 지표지질조사, 정밀조사, 실내암석시험 등으로부터 취득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지반침하 위험지역 분포를 공간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지질, 토지이용, 경사도, 지표로부터 지하 갱도까지의 심도, 갱도의 지표상 위치로부터의 수평거리, 지하수심도, 투수계수, RMR(Rock Mass Rating) 값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요인들이 연구지역 전체에 걸쳐 분포하도록 GIS의 공간분석 기법의 하나인 표면분석(Surface Analysis), 버퍼링기법(Buffering) 및 내삽법(Interpolation)을 이용하여 래스터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로부터 추출된 자료들을 입력값으로 하는 주성분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성분분석 결과 폐탄광 지역의 지반침하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연구지역은 지질 및 지반강도 관련 요인이 침하발생의 가장 큰 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Natural Environment Assessment and Management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자연환경평가 및 관리)

  • 최송현;더글러스존스톤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2
    • /
    • pp.184-198
    • /
    • 1999
  • 최근 개발의 압력을 받고 있는 충청북도 영동 민주지산을 대상으로 산림의 질을 평가하고 관리대상을 제시하고자 73개 조사구를 설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27개의 식생과 지리정보변수를 마련하였다. 자료의 양을 줄이기 위해 ordination 기법과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변수를 축소시켰다. 식생을 분석한 결과 다섯 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DCA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요인분석에서는 13개의 변수가 5개가 요인으로 압축되었는데, 요인 1은 수종의 풍부도, 요인 2는 건중량, 요인 3은 밀도, 요인 4는 임령 그리고 요인 5는 지리적 특성으로 나뉘어졌다. 천이상황를 예측하는 모형은 다중회귀로 표현되었고, 주요 변수로는 유기물의 깊이, Shannon의 종다양도 그리고 흉고직경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GIS를 이용한 산림관리의 의사결정과정을 도출하였다.

  • PDF

Flora of the Hwaomsa Valley, Ch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 국립공원지역내 화엄사 계곡의 식물상)

  • 김용식;임경빈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5 no.1
    • /
    • pp.1-8
    • /
    • 1991
  • The flora of the Hwaomsa Valley in Chirisan National Park, Chollanam-do, Korea, was investigated during May 5-7, July 10-13, and September 28-30, 1990.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which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were enumerated as 2 classes, 31 orders, 83 families, 175 genera, 216 species, 24 varieties, and 7 forma.

  • PDF

한국 화전농업의 발달과 산지촌락의 형성

  • 옥한석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17-22
    • /
    • 2002
  • 이 연구는 한국 화전농업의 역사와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화전의 분포와 그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오대산 부근 지역을 선정하여 화전과 관련한 산지 개간과 촌락의 형성 과정을 야외 조사를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의 화전은 오랜 역사를 갖고 있으며 산림 감독이 소홀한 조선 후기에 와서 화전 면적이 급증, 일제시대에는 최전성기를 보여주었다. 오대산의 깊숙한 고산간지에까지 개척이 이루어진 것은 일제 초의 토지조사사업과 신품종 등 농업기술의 발달에 연유하였다. 일제강점기 초 평지농토에서 쫓겨난 수많은 농민들은 화전으로 농토를 개척할 수 있는 산림지로 이동하였고, 고산간지에서도 생육이 가능한 새로운 품종이나 기술이 보급된 덕분이었다. 이들에 의해 개척된 촌락은 대개 3~4대 정도의 역사를 갖는 씨족이 최고이며 조부대에 이주해온 씨족이 대부분이다. 즉 고산지에서의 산지 개척의 역사가 100년 정도에 불과하다. (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

  • PDF

Strategy of the GIS establishment for Site and Environmental Data Management for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방사성폐기물처분장 부지$\cdot$환경종합관리를 위한 지리정보 시스템 구축 방안)

  • 임용수;박세문;김창락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549-555
    • /
    • 2003
  • For the safe management of radwaste repository, data of the site and environment have to be collected and managed systematically. Particularly, for the radwaste repository, which has to be institutionally controlled for a long period after closure, data will be collected and maintained through the monitoring programme. To meet this requirement, a new programme called "Site Information and Total Environmental data management System (SITES)" is being developed. In this study, as the first stage of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that will be embedded in SITES, the scope and function of GIS are issued. Methodology for the Selection and management of thematic maps is studied as well.d as well.

  • PDF

Classification of Forest Fire Occurrence Risk Regions using GIS (GIS를 이용한 산불발생위험지역 구분)

  • Lee, Si-Young;An, Sang-Hyun;Won, Myoung-Soo;Lee, Myung-Bo;Lim, Tae-Gyu;Shin, You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7 no.2
    • /
    • pp.37-46
    • /
    • 2004
  • In order to decrease the area damaged by forest fires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s, we are making an effort to improve prevention measures for forest fir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hazard regions where forest fires occur based on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s. Forest fire sites in the Uiseong-gun, Gyeongsangbuk-do were surveyed according to the factors of forest type and topographic characteristics where the forest fires occurred. We used a correlat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forest fire occurrence factors and a conditional probability analysis and GIS to determine a forest fire danger index. The resulting forest fire danger index was used in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fire occurrence risk reg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