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리정치경제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volving Financial Geography: From the Marxist Geographical Political Economy to the 'Re-Politicizing' Cultural Economic Geography (금융지리학의 진화: 마르크스주의 지리정치경제학부터 '재정치화'하는 문화경제지리학까지)

  • Lee, Jae-Youl;Park, Kyonghwa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1
    • /
    • pp.102-121
    • /
    • 2021
  • Financial geography is an evolving subdiscipline in economic geography. This paper identifies and reviews three important 'waves' constitutive of the current state of financial geography: including the 'first' wave before 1990s when finance was regarded as a byproduct of the over-accumulation process in production sphere in the Marxist geographical political economy tradition; the 'second' wave in the mid-1990s during which financial geography was firmly established as a subdiscipline, influenced by the cultural turn and poststructuralist thoughts; and the most recent 'third' wave after the 2008~2009 global financial crisis that urged financial geographers to take power and politics more seriously and 're-politicize' with the analytical ideas of governmentality and financial subjectification from a neo-Foucauldian perspective. These waves have helped financial geography become a practice-oriented academic discourse, in which different philosophical thoughts, foci of analytical level and object, renditions of the subject, perceptions of power and politics, and geographies of finance and financialization coexist and also compete and contest one another.

지역경제 발전과 산업공간 재편에 관한 연구의 개념과 이론

  • 최병두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229-23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지역발전에 관한 다양한 개념이나 이론들(특히 포드주의적 축적체제 이후에 나타난 새로운 축적체제에 대한 논의로서 정치경제학이나 조절이론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념이나 이론들)을 열거하고 이들을 재검토하고자 한다 (한국공간환경학회,2000; 최병두, 2002). 우선 전통적 지역발전론으로 지역 간 균형상태와 발전단계를 강조하는 주류 이론과 지역 간 불균등발전에 초점을 두고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정치경제학적 이론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정치경제학의 연장선상에 있지만 부분적으로 주류 (지역)발전론을 결합시킨 중범위 이론으로서 조절이론 또는 (포스트) 포드주의론에 근거한 지역발전론을 검토할 것이다. (중략)

  • PDF

정부청사입지와 대전 서구의 사회$\cdot$경제적 변화

  • 장시영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125-128
    • /
    • 2003
  • 우리나라는 수도권 중심의 거점성장 정책을 통한 경제발전을 추진해 왔다. 거점성장 정책이 경제발전은 가져 왔지만 수도권의 인구집 중을 유발하였다. 수도권의 인구집중이 산업 부문에서는 노동력 공급의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하지만, 정치ㆍ사회적 측면에서는 환경문제, 정책적 지원의 부담을 함께 가져온다 또한 인구의 편재로 인해 타지역과의 불균형을 유발하는 문제점도 내재한다. (중략)

  • PDF

Digital Divide and the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through the Diffusion of the Internet (인터넷의 확산에 따른 디지털 격차와 공간구조 변화)

  • 이희연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65-65
    • /
    • 2004
  • 정보통신 부문의 급격한 기술혁신과 가격하락으로 인한 인터넷의 확산은 전 세계를 하나의 공간으로 묶어주면서 시ㆍ공간을 수렴시키고 있다. 인터넷의 확산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경제활동이 이루어지면서 디지털 경제가 진전되고 있다. 인터넷의 확산은 경제구조의 변화뿐만 아니라 정치, 사회, 문화 등의 거의 모든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중략)

  • PDF

Globalization and the Politics of Local Economic Development: Politics of Scale and the Jeju International free City Project (세계화와 지역개발의 정치 : 제주국제자유도시 형성의 정치적 과정을 사례로)

  • 박배균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71-71
    • /
    • 2004
  • 본 논문은 세계화를 외부의 힘에 의해 국가나 지역에 부여된 거부할 수 없는 과정으로 인식하는 전통적 견해를 비판하면서, 세계화가 다양한 지리적 규모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가지 정치, 사회, 경제적 과정들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물질적이고 담론적으로 구성된다는 세계화에 대한 다규모적 (multi-scalar) 입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략)

  • PDF

Gyeongbu Highway: Political Economic Geography of Mobility and Demarcation (경부고속도로: 이동성과 구획화의 정치경제지리)

  • Choi, Byung-Do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3
    • /
    • pp.312-334
    • /
    • 2010
  •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Gyeongbu Highway construction from the standpoint of political economy, which was pursued by President Park Jeong-Hee in the 1960s, focusing on the politics of mobility and demarcation implied in it. As results of examination, it can be argued that Gyeongbu Highway was seen as a powerful element to promote a socio-spatial integration of population and hence to enforce an authoritative political power of the Park regime through creation of mobility; that it has had an strong impact on changing the physical landscape of national space and the spatio-temporal rhythm of everyday life by extending the 'machine space' as a non-place; that it has provided a physical infrastructure on which the period of capital circulation could be reduced through its effect of space-time compression. But Gyeongbu Highway has led serious problems such as uneven regional development, expansion of non-place or alienated place, ecological destruction and pollution. In conclusion, a sustainable politics is suggested to overcome this kind of 'tragedy of highway' and to develop the highway as a true way of political and spatial balance and integration.

  • PDF

Labor Politics under the Kim Young-Sam Regime: from Conflictual Pluralism to Social Partnership (김영삼 정권하의 노동정치: 갈등적 다원주의에서 사회적 합의주의로)

  • Kim, Yong Cheol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3
    • /
    • pp.567-584
    • /
    • 2014
  •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labor politics under the Kim Young-Sam regime. The labor politics transformed from conflictual pluralism to social partnership. The transition was triggered by the 'IMF economic crisis,' and the transitional direction was determined by the character of political regime and the pattern of social coalition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transitional direction of labor politics is not determined by an economic crisis or international pressure, but by the relational dynamics of social coalitions forcing social actors to new perception and strategic choice.

  • PDF

경계연구의 동향: 중$\cdot$동부 유럽을 사례로

  • 김상빈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11a
    • /
    • pp.25-28
    • /
    • 2002
  • 지난 세기의 마지막 10년은 유럽의 정치 지형상에서 수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독일의 통일과 소련 연방의 해체와 신생독립국가의 탄생, 이들의 독립국가연합 결성, 과거 소련의 위성국가로 간주되었던 동유럽국가들의 국경개방 및 체제전환, 남동부 유럽의 발산 반도에서 유고연방의 해체와 그 후속국가들의 탄생등등 이러한 정치적 변동들은 엄청난 사회 경제적 변화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또한 공간구조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중략)

  • PDF

1990년대 도시정치의 변화와 새로운 도시화

  • 안영진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189-195
    • /
    • 2003
  •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세계 곳곳에서 새로운 도시화가 폭넓게 발견된다. 이른바 '새로운 도시화'(new urbanization)로 규정할 수 있는 이러한 양상에서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오늘날 (대)도시의 변화와 성장, 그리고 그 발달은 복잡 다단한 전개과정과 함께 국가와 지역에 따라 적잖은 분화와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 새로운 도시화는 기본적으로 산업사회에서 탈산업사회로의 사회구성 원리의 전환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체적으로는 1980년대에 뿌리를 둔, 하지만 1990년대에 들어서서 보다 뚜렷한 면모를 드러내며 진행되어온 정치, 경제, 사회, 환경 등의 제 조건에 있어 결정적인 변화와 결부외어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