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리정보 자료

검색결과 1,432건 처리시간 0.037초

지하수 보조 관측망 통합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지리정보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pply to Integrated Management of Water Wells Sub-Observation Network)

  • 김경종;정세훈;권용욱;심춘보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39-4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지하수 관정관리의 효율성을 위해 지리정보와 USN기술 기반의 통합된 모듈을 구축한다. 이 모듈에서는 GPS 위치 값, 환경 센서(수온, 수심, 전기전도도)의 값을 CDMA 통신 모듈을 통해 서버로 전달받아서 저장한다. 관정의 위치를 GIS맵상에서 표현을 하기 위해서 실측 지도와 위성사진 자료를 이용하여 GIS맵을 구축하여 시스템 화면상에 실측지도와 함께 지리정보를 맵핑한다. 통합된 클라이언트 형태로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한다.

  • PDF

지리정보시스템과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도시공간구조의 파악 -대구광역권 사례연구- (Identifying Urban Spatial Structure through GIS and Remote Sensing Data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Area-)

  • 김재익;권진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4-51
    • /
    • 2009
  •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과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하여 도시공간구조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거대도시와 중소도시의 중간규모인 대도시의 공간구조를 대구광역시와 그 주변지역을 단위로 하는 대구광역권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도시구조는 인구 및 직업밀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위하여 1995, 2000, 2005년도의 Landsat TM 5 위성영상자료를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하여 피복분석을 통하여 활용되었다. 공간구조는 인구밀도와 직업밀도의 거리조락함수를 추정함으로써 파악되었다. 분석결과 대구광역권의 차원에서는 단핵도시구조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단핵도시모형의 설명력이 점차 감소하는 점, 부도심의 형성 및 성장 등의 추세를 감안하면 분석범위를 대구광역시에 한정할 경우 다핵심도시구조로 이행하고 있다.

  • PDF

도시지역의 토지이용 적지분석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이용 - 구미시를 중심으로 - (Utiliz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Analyzing Land Use Suitability in a Urban Area - A Case Study of Kumi City -)

  • 이진덕;이현화;김성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9-38
    • /
    • 2001
  • 본 연구는 도시계획의 중요한 의사결정 중의 하나로서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적지분석에 지리정보시스템의 접목을 시도한 것이다. 도 농 통합 이전의 구미시 지역을 대상지역으로 하여 관련 환경인자들과 가중치 등의 분석기준을 결정하고,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위성영상처리를 통하여 추출한 토지이용/피복도와 NDVI 식생도를 데이터베이스에 포함시켰다. 중첩법을 이용하여 주거, 상업, 공업, 녹지지역의 토지용도별 적지를 등급별로 도출하였다. 연구지역의 4가지 기능공간에 대한 적지분석 결과는 기존 토지이용 및 도시기본계획상 토지이용구상도와 비교되었다. 더 나은 분석을 위해서는 실제적인 개발계획, 지가자료, 토양자료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토지 이용별 수요추정 자료를 추가한다면 토지이용별 입지 배분 및 분포면적의 신뢰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환경부 "물"정보 사이트

  • 이병국
    • 물과 미래
    • /
    • 제37권2호
    • /
    • pp.30-35
    • /
    • 2004
  • 여기에서는 물의 질적인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각종 $\ulcorner$$\urcorner$ 관련 정보에 대한 웹사이트를 소개하고자 한다. 환경부의 웹사이트에는 여러 관련분야의 하나로서 물 분야에 대한 업무소개와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물과 직접, 간접적으로 관련된 환경지리정보를 꾸준히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다. 관련 링크 사이트로는 수질측정 자료를 제공하는 국립환경연구원의 자료제공 사이트, 물사랑 홈페이지 등과 연동되어 있다.(중략)

  • PDF

미국 광역권 지리정보협력체 구성 및 운영방안 (The Structure and Operations of Geodata Collaboratives in Metropolitan Area: U.S. Cases)

  • 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5-45
    • /
    • 2007
  • 현재 지리정보의 수요증가로 인해 지리정보데이터의 추가적인 구축과 더불어 보다 효율적 활용을 위한 시스템 간 통합 및 공유체계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국내 공유체계 내에서의 지리정보공급은 국가지리정보유통망 또는 지자체내 통합 시스템 내에서의 업무가 그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 공간정보의 다양화 요구와 인접 행정구역간의 공간계획 및 개발을 포함하는 행정협력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따른 광역권내의 지리정보공유협력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유체계와 그 효과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미국 선진사례를 중심으로 데이터의 작성, 유통, 갱신 및 관리에 따른 이들 광역권내 협력체 구성 및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의 추후 광역권내 자발적 공유협력조직의 모형 제시를 위한 참고자료로 삼고자 한다.

  • PDF

토지정보시스템의 판매 가격 산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ce Determination for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 이용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93-301
    • /
    • 2008
  • 본 연구는 국가에서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구축한 KLIS 자료의 가격 산출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격 투입된 원가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판매량 및 회수율을 고려한 판매가와 정보량을 기준으로 한 판매가격을 산출하였다. 회수율을 고려했을 경우 많은 구임비용이 소요되었지만 정보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적은 비용이 소요되어 지리정보 활성화 측면을 고려하였을 때 정보량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항공 Lidar와 멀티빔 음향측심 자료를 이용한 해상과 육상의 통합 지형공간정보 구축 (Integrated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of Ocean and Terrain Using Multibeam Echo Sounder Data and Airborne Lidar Data)

  • 이재원;최혜원;윤부열;박치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8-39
    • /
    • 2014
  • 최근 국내외적으로 육상과 해상에 대한 3차원 지리정보의 연계 활용이 가능한 통합시스템 구축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육상에 대한 3차원 지리정보구축 작업은 항공 Lidar의 도입으로 인하여 높은 정확도로 넓은 지역의 위치정보 획득이 용이해짐에 따라 3차원 지형모델링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해상분야에서도 관련기관들이 해양지리정보체계(MGIS : 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구축과 활용을 위한 연안해역에 대한 각종 해양정보를 조사 및 측량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육상과 해상에 대한 통합 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에는 육상과 해상의 좌표계와 기준면 등이 일치하지 않아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공 Lidar 자료와 멀티빔 음향측심(Multibeam Echo Sounder) 자료를 이용하여 육상과 해상에 대한 좌표계와 기준면을 일치시킨 후 통합 지형도를 제작하여 통합 지형공간정보를 구축하였다. 통합 지형공간정보 데이터에 대한 정확도 검증을 위하여 임의의 지점 10곳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수심에 대한 RMSE가 0.46m로 IHO(국제수로기준 :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에서 규정하는 수심정확도 0.5m에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고해상도 격자 강수자료를 활용한 레이더 QPF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Radar QPF Model based on high-resolution gridded precipitation)

  • 김호준;오랑치맥 솜야;정민규;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42-442
    • /
    • 2022
  • 고해상도 시공간적 격자 형태의 레이더 강수는 돌발홍수(flash flood)와 같은 기상재해에 대비하기 위하여 실시간 예측정보로 활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레이더 강수는 과소 추정되는 경향이 있어 정량적인 보정 과정인 QPE (Quantitative Precipitation Estimation)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레이더 강수자료 보정은 지점 관측자료를 활용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지상 강수량 기반의 고해상도 격자 강수자료를 생산하여 레이더 강수자료와 직접적으로 비교하고자 한다. 이에 고도와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PRISM(Precipitation-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 방법을 사용하여 고해상도 격자기반의 자료를 생성하였다. PRISM 방법은 고도와 지리정보를 독립변수로 갖는 회귀모형 기반의 기후인자 추정 모형이다. 생산된 고해상도 격자 강수자료와 레이더 강수자료를 QPF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 모델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여 예측결과를 비교하였다. 해당 QPF 모델은 이류(advection)와 확률론적 섭동(stochastic perturbation)을 기반으로 하며, 강수 앙상블 자료를 생산한다. QPF 모델에 대해 투 트랙(two-track) 방법으로 생산된 예측정보를 통해 레이더 강수자료의 격자별 후처리 보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구글어스 기반의 지리교육 사이트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eographic Education Website Based on the Google Earth)

  • 이선주;강영옥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13-2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공간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지리 관련 학습 자료를 지도를 기반으로 매쉬업한 지리교육사이트를 구현해 봄으로써 지도를 기반으로 한 지리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최근 지오웹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지리교육에 있어서도 지도에 기반한 다양한 변화가능성을 제안하고 있지만, 지리교육분야에서 그와 관련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콘텐츠를 설계하고, 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 영상, 개념도 등 다양한 관련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둘째, 수집된 자료를 구글의 오픈 API를 활용하여 지도기반으로 매쉬업하였으며, 셋째, 교과서 분석에 따른 내용분류와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지리교육사이트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공간을 다루는 지리교육에서 텍스트위주가 아닌 지도기반으로 교육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지오웹환경에서 교과서의 다양한 개념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통계지리정보 앱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App Development)

  • 이선기;민주홍;배정환;김은정;주민완;정동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42-1145
    • /
    • 2011
  • 최근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모바일 기기의 보급 및 활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환에 맞춰 많은 서비스들이 모바일 기기를 위한 형태, 즉 앱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패러다임의 이동을 고려하여, 현재의 통계지리정보서비스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를 통해 모바일 기기를 위한 적합한 앱 형태 및 고려사항에 대하여 기술한다. 통계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지리정보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한 서비스 활용성과 이해력을 돕기 위한 통계지리정보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변화하는 패러다임을 고려한 앱 개발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통계정보의 활용성 향상시킬 수 있는 통계지리정보 앱 개발 시 고려사항 및 기능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 논문의 결과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위한 앱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