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리정보유통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2초

국가지리정보사업 추진을 위한 영국지리정보 유통구조 및 정책 연구 - 영국지리정보원의 역할을 중심으로- (Structures and Policies of British Geographic Information Dissemination for Korea National GIS Project)

  • 김복환;김영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2-3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20년 이상 지리정보기반을 구축하고 활용해왔던 영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영국의 지리정보구축과정, 시장구조, 정부정책을 고찰하고, 한국의 지리정보사업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있다. 영국의 경우, 정부기관 주도로 지리정보 구축사업이 진행된 이후 구축기관의 에이젼시화 과정을 거쳐 현재는 민간으로의 지리정보 이용 및 활용 확산단계에 와 있다. 이러한 변화과정을 통해서 영국의 지리정보유통시장은 지리정보 공급자와 수요자들간에 지리정보 부가가치를 목표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지리정보 가공 판매자가 나타났으며, 영국지리정보원 주도로 민간과의 파트너쉽 형성이 활발하다. 이를 토대로 민간부문에서는 지리정보의 상업화 성공을 경험하고 있으며 영국지리정보원에 의한 주요 수요자층과의 장기공급계약은 수요자층의 확대를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영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안 내용은 향후 우리나라의 지리정보사업을 위한 정책적 제안으로써 민간부문의 시장참여를 유도하는 정책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지리정보 재판매자의 자율성 확대 및 지리정보 공급자 및 기관의 고객 중심의 경영마인드 확산, 연구개발 장려를 위한 국가지리정보의 무료 혹은 저가의 지리정보이용 정책이 시급히 개발, 시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 PDF

공간 데이터베이스와 GML 문서간의 지리 정보 변환 방법 (A method of converting geographic information between spatial database and GML)

  • 안영수;박순영;정원일;배해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745-1748
    • /
    • 2002
  • 빠른 인터넷의 보급과 정보화 사회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문서를 통합하여 유통할 수 있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XML의 장점을 이용하여 지리적 특성을 가진 정보에 대한 문서의 표준이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OGC(Open GIS Consortium)에서는 GML(Geography Markup Language) 명세를 제시하였다. Geometry와 geographic feature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GML은 다양한 데이터 타입에 대한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고, 통합된 지리 정보를 유통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현재 이러한 장점을 가진 GML 지원 시스템과 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나, 구체적인 방법론에 관한 제시는 미흡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지리 정보를 GML 명세에 따른 GML 문서로 변환하는 방법과 GML 문서 내에 표현된 지리정보를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 PDF

공간 데이타 변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patial Data Translation System)

  • 이기영;노경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1-46
    • /
    • 2003
  •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지리 정보의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지리 정보를 좀더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지리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지리 정보 시스템은 고유한 데이타 포맷을 사용하여 지리 정보를 관리하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에 구축해 놓은 다양한 지리 정보 시스템의 지리 정보를 자유롭게 유통 및 활용하려는 요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존에 구축된 지리 정보 시스템의 정보를 변환하여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에 전달하여 주는 데이타 변환 과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리 정보 시스템간의 데이타 변환을 좀더 효율적이도록 국제 표준을 따르는 공간 데이타 변환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생산사양에 따른 DB 구축 및 활용성 평가 (Construction of Database and Evaluation of Application with Framework data Product Specification in Facility Area)

  • 이현직;황석훈;최동주;류지호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 /
    • pp.53-58
    • /
    • 2005
  • 21세기 지식정보화사회로 접어들어 GIS가 부각됨에 따라 GIS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지리 정보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본지리정보를 관리 감독하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2000년부터 기본지리정보구축에 관한 연구 등을 수행하여, 기본지리정보의 범위 선정과 데이터모델 표준화가 이루어 졌으며, 기본지리정보 유통과 구축에 필요한 생산사양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본지리정보의 품질 및 활용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생산사양에 따른 기본지리정보를 3단계에 걸쳐 구축하였으며 기 구축된 교통, 수자원, 행정경계 기본지리정보와 통합하여 활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지리정보의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안 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a Metadata Standard for Facilitating the Usage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 김계현;송용철;김한국;민숙주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55-68
    • /
    • 2003
  • 중앙정부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사업이 광범위하게 추진되고 있는 지금, 지리정보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각 기관들에 산재된 지리정보의 공동 활용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리정보 생산 및 관리의 효율성과 이용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지리정보 목록의작성 및 관리에 관한 지침'이 2002년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국가지리정보유통망을 통한 지리정보의 활용을 증진하기 위한 유통용 메타데이터 표준이 제정되어 있지만, 지리정보관리기관의 효율적인 지리정보 관리를 위해서는 부족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 지침에 의거하여 ISO 19115에 부합되는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은 유통용 메타데이터 표준을 모두 수용하고, 기존 메타데이터와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지리정보 관리를 위한 관리용 메타데이터 항목을 추가하여 총 13개 섹션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을 통해서 우선 사용목적에 맞는 다양한 지리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하기 위한 표준화된 기반이 구축되어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의 GIS 활성화를 위한 커다란 초석이 마련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SO/TC211의 GIS 표준 인터페이스 구성요소의 분석 (Standardization for GIS Interface: An Analysis of ISO Standards)

  • 문상호;반재훈;김창호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1998년도 학술회의 논문집 1권1호
    • /
    • pp.223-235
    • /
    • 1998
  • 앞으로 다가오는 정보화 사회에서의 국가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정보처리 및 운영능력이 대단히 중요하다. 지리정보는 이러한 정보화 사회에서 중요한 국가 간접자본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국가 GIS에서 가장 풍요한 요소는 지리정보의 호환, 공유, 유통 등을 포함한 지리정보의 활용이다. 따라서 국가적으로 GIS의 활성화를 위하여 지리정보의 표준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국제 표준화 기관인 ISO/TC211에서 수행중인 표준화 내용을 분석한다. 특히, 지리정보의 활용과 GIS들간의 상호 연동성을 위한 지리정보/지리공간 서비스를 중점으로 하여 IS0/TC211에서 표준안으로 제시하는 서비스 항목, 인터페이스 등 지리정보 서비스와 관련된 내용을 분석한다.

  • PDF

공간정보의 민간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 및 적합성 테스트 방안 (A Study on Metadata Standards and Compliance Testing for Commercial Distributions of Geospatial Information)

  • 곽은영;김재중;권호열;권원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17-1019
    • /
    • 2010
  • 정보화 기술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가운데 지리공간정보의 기술이 부각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시대로 접어 들면서 세상이 모든 것들이 위치를 가지게 된다. u-city, LBS, ITS 서비스 등 지리공간 데이터의 활용은 앞으로 무궁무진하게 커질 것이다. 이로 공간정보 유통시스템도 향후의 WEB 3.0기술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시대로 접어 들면서 공간정보의 민간 유통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정보의 민간 유통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 및 적합성 테스트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간정보 유통 및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irculation and Management of Spatial Data)

  • 조혜경;김영섭;김상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8-3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공간정보의 종류에 따라 국내 공간정보 유통 과정이 복잡하여 공간정보 소비자 생산자의 구매 및 판매 어려움, 공간정보 생산시 발생하는 중복 투자, 공간정보 가격 산정 어려움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GIS와 인터넷을 통합한 가상의 공간정보 유통 관리 기구를 제시하며 이 기구의 적합한 설계 구현 운영 방법을 기술하며 갖추어야 할 기능요건에 대한 요구명세서를 작성한다. 가상의 공간정보 유통 관리 기구인 공간정보 유통 관리 시스템은 메타데이터 생성, 메타데이터 등록, 메타데이터 버전 관리, 카탈로그 작성 및 변경, 보고서 생성, 폼 처리, 메타데이터 검색, 지불처리, GIS information pool, 공간정보 브라우징의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UFID를 이용한 기본지리정보 갱신 및 지형변화율 산출 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 of Framework Data Update and Computing Land Change Ratio using UFID)

  • 김주한;김병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D호
    • /
    • pp.157-167
    • /
    • 2006
  • 정부에서 추진한 1 2차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사업 중 1차 NGIS사업(1995~2000)은 지리정보의 구축에 편중되었고, 2차 NGIS사업(2001~2005)은 1차 사업의 결과물로 얻어진 지리정보의 유통 활용 방안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2차 NGIS사업의 후반기에서 1 2차 NGIS사업을 뒤돌아보면 지리정보의 갱신이라는 문제를 간과할 수 없다. 정확한 지리정보의 구축 유통 활용은 국가지리정보를 대표하는 핵심적 요소라 할 수 있듯이 지리정보의 신속한 갱신 또한 LBS(Location Based Services), Ubiquitous, Telematics와 같은 차세대 산업에 지리정보의 변경 사항을 신속 정확히 제공함으로서 2차적인 산업을 진행하도록 하는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1차 NGIS사업 결과 구축된 수치지도를 개선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무결점 수치지도 제작을 거쳐, NGI, NDA, NRL 3가지 파일형식으로 제공되는 기본지리정보(Framework Data)를 구축하게 되었다. 기본지리정보는 다른 지리정보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거나, 여러 지리정보를 통합하기 위해 위치적 혹은 내용적 참조체계를 제공하는 지리정보이다. 기본지리정보는 데이터 셋, 유일식별자, 데이터 모델을 구성요소로 하고 국가적 기반자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논문은 기본지리정보의 핵심 구성요소인 지형지물 유일식별자(UFID, Unique Feature Identifier)의 업무를 이용하여, 지형지물 관리기관의 현업에서 관리되는 지형지물의 생성 변경 소멸에 관한 정보를 지리정보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실용적인 기본지리정보로 갱신하는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고, 추가적으로 지형변화율을 산출하여 기본지리정보의 갱신 계획 수립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방안도 제안하였다.

생활지리정보의 서비스 동향 분석 (Service Trend Analysis for Life and Culture rela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우제윤;구지희;김의명;안병익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7-82
    • /
    • 2002
  • NGIS 2단계사업(2001년${\sim}$2005년)은 국가공간자료기반 확충, 지리정보의 전 국민 유통 및 활용, GIS 산업육성 등의 목표를 가지고 추진되고 있다. 민간부분의 GIS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컨텐츠의 개발과 생활지리정보의 서비스 방향을 설정하고 법 제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지리정보의 개념을 설정하고 국내외 생활지리정보관련 사이트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민간부분의 생활지리정보서비스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인터넷 사이트를 조사하여 생활지리정보 항목을 11개로 분류하였으며, 공공부분에서는 중앙정부(건설교통부)와 지자체의 생활지리정보 현황을 분석하고 민간부분에서는 생활지리정보관련 36개 사이트를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국외 사례는 미국, 일본, 영국, 스코틀랜드, 호주의 17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생활지리정보현황을 분석하였다. 국내외 생활지리정보 서비스분석결과 국내의 경우는 도로/교통, 건강/의료 서비스가 우세한 반면 국외사례에서는 도로/교통뿐만 아니라 문화/관광 서비스가 상당히 많이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지리정보서비스의 방향은 공공부문에서는 기 구축된 업무시스템을 민원을 중심으로 웹서비스를 통해 생활지리정보의 형태로 구현되어야 하고 민간부분의 생활지리정보는 기술부분과 컨텐츠부분으로 나누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