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리공간 웹 서비스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Trends of Geospatial Web Technologies (지리공간 웹 기술 동향)

  • Jang, Y.S.;Oh, J.H.;Kim, K.O.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3 s.105
    • /
    • pp.124-135
    • /
    • 2007
  • 분산환경의 지리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연계.통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부각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SOA를 기반으로 하는 지리공간 웹(geospatial web)은 다양한 지리공간정보 콘텐츠 및 서비스에 대한 검색,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또한 지리공간 웹은 최근의 차세대 웹(웹 2.0) 환경에 발맞추어 기존의 공급자 위주정보제공 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참여를 통해 스스로 발전해가는 지리공간 디지털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본 고에서는 SOA 및 웹 2.0(web 2.0)에 대한 개요와 함께, SOA를 기반으로 한 지리공간 웹 기술 동향과 웹 2.0 환경을 플랫폼으로 하는 다양한 지리공간정보 서비스 기술 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Automatic Extraction Method of Control Point Based on Geospatial Web Service (지리공간 웹 서비스 기반의 기준점 자동추출 기법 연구)

  • Lee, Young Rim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2
    • /
    • pp.17-24
    • /
    • 2014
  • This paper proposes an automatic extraction method of control point based on Geospatial Web Service.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3 steps. 1) The first step is to acquires reference data using the Geospatial Web Service. 2) The second step is to finds candidate control points in reference data and the target image by SURF algorithm. 3) By using RANSAC algorithm, the final step is to filters the correct matching points of candidate control points as final control points. By using the Geospatial Web Service, the proposed method increases operation convenience, and has the more extensible because of following the OGC Standard.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tested for SPOT-1, SPOT-5, IKONOS satellite images and has been used military standard data as reference data. The proposed method yielded a uniform accuracy under RMSE 5 pixel. The experimental results proved the capabilities of continuous improvement in accuracy depending on the resolution of target image, and showed the full potential of the proposed method for military purpo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Open Interfaced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Platform (개방형 인터페이스 기반 국토정보 서비스 플랫폼 개발 연구)

  • Chang, Yoon-Seop;Kim, Jae-Chul;Choi, Won-Geun;Kim, Kyung-Ok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1 no.1
    • /
    • pp.17-24
    • /
    • 2009
  • Recently many of earlier GIS services are changing to the form of user-participated dynamic geoweb service like many new impressive web 2.0 services substitute for earlier old-fashioned web 1.0 services. Many relevant technologies are necessary to be developed so as to integrate a number of geospatial data and functions all around into the useful geoweb services.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the integration easy and to cope with the rapid changes in geoweb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trend of relevant geoweb technologies were reviewed before, and the development of open geospatial service platform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open 2D/3D map service engine, user-participated mashup engine, Open API search engine and so on were im plemented as the core components of that platform. The platform will be able to be used as the common platform among a number of applications in the fields such as public/private GIS integration, u-city projects and GIS/LBS services etc.

  • PDF

The Design of 3D Web Map Service Components (3차원 웹 맵 서비스 컴포넌트의 설계)

  • Choo, Dae-Soo;Choi, Hae-Ock;Lee, J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7-10
    • /
    • 2001
  • 웹의 특징인 조작의 간편함, 뛰어난 접근성 등으로 인해 웹을 통한 지리정보의 검색, 접근을 위한 웹 맵 서비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지리정보 분야의 대표적인 컨소시움인 OGC 를 통해서 웹 맵 서비스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가 정의됨에 따라 향후 웹을 통한 지리정보의 공유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현재 정의된 웹 맵 서비스에는 3 차원 맵 서비스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3 차원 데이터 모델에 따라 구축된 공간 데이터가 거의 없으며, 맵 출력을 위한 출력 요소 정의 언어인 SVG 또는 WebCGM 등이 3 차원 기하를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OCG 의 웹 맵 서비스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준수하면서, 최소한의 확장을 통해 3 차원 맵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웹 맵 서비스 컴포넌트를 제안한다. 3 차원 맵은 2 차원 공간 데이터와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므로, 3 차원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추가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Feature Service system based on GML 3.0 (GML 3.0 기반의 Web Feature Service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이동진;김동오;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22-24
    • /
    • 2003
  • 최근 웹 확산에 따른 일반인들의 인터넷 이용이 급증하였고 이에 따른 정보 기술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GIS 분야에서도 시대의 흐름에 맞춰 공간 데이타를 웹상에서 제공하는 웹 GIS 분야가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호이질적인 공간 데이타를 웹 기반 분산 환경에서 서비스하기 위해 표준 인터페이스와 각각의 웹 서비스 모델을 정의한 통합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OGC에서는 기존 OPenGIS의 상호운용성을 웹 환경에서 지원하고, 또한 피쳐 인스턴스 단위의 지리정보를 접근하기 위해 새로운 웹 피쳐 서비스 구현 명세를 제안하였다. 웹 피쳐 서비스 구현 명세에서는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를 통하여 요청된 공간.비공간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URL 컴포넌트를 정의하고 있다. 이 컴포넌트는 클라이언트 질의를 수행하여 피쳐 인스턴스 단위로 데이타를 검색 및 조작하고, 검색된 데이타는 GML로 정의하여 클라이언트로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OGC가 제안한 XML 기반의 표준 공간 데이타 포맷인 GML과 웹 피쳐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분산된 지리정보 데이타를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웹 피쳐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eo-Ontology Population Model using Non-Structured Web Resources (비 구조화된 웹 자원을 이용한 지리정보 온톨로지 확장 모델 설계 및 구현)

  • Song, Won-Yong;Ji, Jong-Jin;Baik, Doo-Kwon;Jeong, Dong-Wo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5a
    • /
    • pp.397-400
    • /
    • 2009
  • 현재 웹은 단순히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던 웹 1.0을 지나 정보의 사용자가 곧 생산자가 되어 개방된 웹 환경을 기반으로 사용자 스스로 콘텐츠를 제작, 재창조, 공유하는 인터넷 서비스 모델인 웹 2.0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웹의 발전 과정에서 시맨틱 웹이 등장하게 되었고 시맨틱 웹이 지리 정보와 접목되어 시맨틱 지리 정보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기존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들이 국한된 정보만을 제공받아 왔지만 웹이 발전하고 수많은 콘텐츠가 생성되면서 웹의 데이터를 지리 정보 시스템과 연결시켜서 사용자에게 풍부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속하여 비공간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특정 시스템에 종속적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시맨틱 웹에서 지향하는 풍부한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격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웹 자원을 정의된 지리정보 온톨로지(Geo-Ontology)의 인스턴스로 추가하여 지리 정보 시스템의 비공간 정보를 확장함으로써 특정 시스템에 종속적이지 않고 사용자에게 보다 풍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하고 프로토타입을 구현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Map Server based on GML (GML 기반의 Web Map Server의 설계 및 구현)

  • 강재호;백인구;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88-90
    • /
    • 2001
  • 최근 웹 확산에 따른 일반인들의 인터넷 이용이 급증하였고 이에 따른 정보 기술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GIS 분야에서도 시대의 흐름에 맞춰 지리정보 데이타를 웹상에서 제공하는 웹 GIS 분야가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호 이질적인 지리정보 데이타를 웹 기반 분산 환경에서 서비스하기 위해 표준 인터페이스와 각각의 웹 서비스 모델을 정의한 통합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OGC(OpenGIS Consortium)에서는 기존 OpenGIS(Open Geodata Interoperabillty Specification)의 상호운용성을 웹 환경에서 지원하고, 또한 상호이질석인 지리정보의 접근을 위해 새로운 웹 맵 서버인터페이스 구현 명세(Web Map Server Interface Implementation Specification)를 제안하였다. 웹 맵 서버 인터페이스 구현 명세는 웹상에서 공간 질의를 처리하기 위안 URL 컴포넌트를 정의하고 있으며, URL 형식의 클라이언트 질의를 수행한 결과를 웹 브라우저에서 이미지 포맷으로 지리정보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OGC가 최근 제안한 XML(eXtendible Markup Language)기반의 표준 공간 데이터 포맷인 GML(Geography Markup Language)과 웹 맵 서버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분산된 지리정보 데이터를 웹 브라우서를 통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웹 맵 서버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본 논문에서 개발한 웹 맵 서버를 통하여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않고도 다양한 GIS 시버들의 종류와 위치에 관계없이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를 GIS 서버들로부터 공간 데이터를 접근할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Map Service Base on GML (GML 기반의 웹 맵 서비스의 설계 및 구현)

  • 전범석;홍동숙;김동오;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70-72
    • /
    • 2004
  • 최근 웹이 확산됨에 따라 일반인들의 인터넷 이용이 급증하였고, 이와 관련된 정보 기술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GIS 분야에서도 지리정보를 웹상에서 제공하는 웹 GIS 분야가 등장하게 되었다. OGC(OpenGIS Consortium)에서는 기존 OpenGIS(Open Geodata Interoperability Specification)의 상호운용성을 웹 상에서 지원하고, 또한 상호 이질적인 지리정보의 접근을 위해 웹 맵 서비스 구현 명세(Web Map Service Interfaces Implementation Specification)를 제안하였다. 웹 맵 서비스 구현 명세는 웹 상에서 공간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URL 컴포넌트를 정의하고 있으며, URL 형식의 클라이언트 질의를 수행한 결과로 이미지, GML, SVG 등의 지리정보를 반환하도록 정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맵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분산된 지리정보를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왱 럼 서비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사용자들은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않고도 본 논문에서 개발한 쇰 맵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GIS 서버들의 종류와 위치에 관계없이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XML Based Web Map Service (XML 기반의 WEB MAP Service 개발방안)

  • Kim, Tae-Hwa;Lee, Dong-Han;Lee, Yong-I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82-87
    • /
    • 2007
  • 웹 GIS 서비스는 웹의 구현기술을 기존의 GIS와 결합하여 Internet 또는 Intranet 환경에서 지리정보의 입력,수정,조작, 분석,출력 등의 작업을 처리하여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축된 시스템을 말한다. 웹 GIS 서비스의 구현은 단순히 지리공간 자료를 보여주는 일반적인 형태의 응용에서부터 공간 분석을 수행하여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수 있는 응용시스템까지 다양한 구현이 가능하다. 웹 GIS 서비스는 많은 GIS 표준 명세 규칙인 필수 사항과 옵션 사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종종 동일한 표준을 지원한다 할지라도 상호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아 서비스의 확장이 어렵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향후의 웹 GIS 응용 서버 확장에 필요한 국제표준 및 기술을 고려하여 웹 서비스를 구성하여 이들을 재사용 재조합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Ajax 기법이 적용된 비동기식 호출을 사용하여 Client 환경에서 최적의성능을 발휘하는 방안을 소개하였다.

  • PDF

Main Memory Spatial Database Clusters for Large Scale Web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대규모 웹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메모리 상주 공간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 Lee, Jae-Dong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6 no.1 s.11
    • /
    • pp.3-17
    • /
    • 2004
  •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the WWW such as a location-based service and so on. Web GIS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have also come to be a cluster-based architecture like most other information systems. That is, in order to guarntee high quality of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without regard to the rapid growth of the number of users, web GISs need cluster-based architecture that will be cost-effective and have high availability and scalability. This paper proposes the design of the cluster-based web GIS with high availability and scalability. For this, each node within a cluster-based web GIS consists of main memory spatial databases which accomplish role of caching by using data declustering and the locality of spatial query. Not only simple region queries but also the proposed system processed spatial join queries effectively. Compare to the existing method. Parallel R-tree spatial join for a shared-Nothing architecture, the result of simulation experiments represents that the proposed spatial join method achieves improvement of performance respectively 23% and 30% as data quantity and nodes of cluster become lar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