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리공간시스템

검색결과 1,124건 처리시간 0.028초

Application of a Hydroinformatic System for Calibration of a Catchment Modelling System (강우-유출모형의 검정을 위한 수문정보시스템의 적용)

  • Choi, Kyu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제6권3호
    • /
    • pp.129-138
    • /
    • 2003
  • A new methodology for selecting spatially variable model control parameter values through consideration of inference models within a Hydroinformatic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overcome problems associated with determination of spatially variable control parameter values for both ungauged and gauged catchment. The adopted Hydroinformatic tools for determination of control parameter values were a GIS(Arc/Info) to handle spatial and non-spatial attribute information, the SWMM(stormwater management model) to simulate catchment response to hydrologic events, and lastly, L_BFGS_B(a limited memory quasi-Newton algorithm) to assist in the calibration process. As a result, high accuracy of control parameter estimation was obtained by considering the spatial variations of the control parameters based on landuse characteristics. Also,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necessary for estimating a large number of control parameters were reduced from the new calibration approach.

  • PDF

gCRM and Spatial Data Mining (gCRM과 공간데이타마이닝)

  • Hwang, Jung-Rae;Li, Ki-Joun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44
    • /
    • 2002
  • 고객관계관리(CRM)나 마케팅과 같은 경영방식에서도 대용량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지리정보시스템(GIS)과 같은 응용분야를 접목하고 있다. gCRM은 지리정보시스템과 고객관계관리를 결합한 것으로, 이러한 실정을 단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 경영방식이다. gCRM은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심 있는 분야를 찾아내고 분석하게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데이터마이닝이라는 기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gCRM은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공간 데이터베이스 역시 많이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공간데이터베이스로부터 관심 있는 부분이나 관계 그리고 특성 등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공간데이타마이닝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gCRM 솔루션들의 기능을 중심으로 다양한 공간데이타마이닝 기법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gCRM과 공간데이타마이닝이 접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 PDF

The Model and System of Spatial Data Interchange In Distributed Various Computing Platform (분산이기종환경에서의 공간데이터 교환 모델 및 시스템)

  • Cha, Jung-Sook;Kim, Myung-Gu;Kim, Sung-Ryong;Kang, In-So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28
    • /
    • 2002
  •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공간데이터의 특성은 양이 방대하고 구조가 복잡하여 데이터를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과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각 지리정보 응용시스템마다 특정한 포맷으로 데이터를 구축, 사용하는 실정 때문에 기존에 동일한 데이터가 구축이 되었더라도 재사용하지 못하고 다시 재 구축하여 사용하였다. 대부분의 지리정보 응용시스템에서 기존의 데이터를 재 사용지 못하고 전체 예산의 60% 이상을 데이터 구축에 중복 투자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데이터구축의 문제점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으로 시스템 환경에 의존적으로 구현되어 시스템 환경이 변하는 경우에 시스템 자체가 수정되거나 재 구현되어야 하는 문제점도 존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중복구축 및 투자와 시스템 의존적인 구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온라인상에서 검색하여 사용자가 재 사용할 수 있도록 OpenGIS에서 제안한 CatalogService를 구현하고 분산된 상호 이질적인 환경에서 서로의 데이터를 공유하고 연동하는 모델을 제안하고 구현하기 위해 WWW, COM, CORBA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Virtual GIS in the Internet Environments (인터넷 기반 가상 GIS)

  • 김경호;최승걸;이종훈;양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B)
    • /
    • pp.12-14
    • /
    • 2000
  • 최근 들어 컴퓨터그래픽, 가상현실, 3차원 위상기하학, 그리고 3차원 공간 데이터 저장 관리 기술 등의 발달로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 또는 가상 지리정보시스템의 구현가능성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진행 중이다. 특히 인터넷의 쉽고 광범위한 접근 용이성을 이용하여 인터넷 환경에서 운용되는 가상 지리정보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기반 가상 지리정보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을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간단히 언급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인터넷 환경 하에서 3차원 지형 및 시설물 등의 대용량 3차원 공간정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저장, 관리, 편집 분석, 가시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일반인 및 전문가들에게 고급의 의사결정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TTA 교통모델 기반의 GML 응용 시스템 실험 구축

  • Kim, Hak-Hun;Lee, Gi-W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 /
    • pp.101-104
    • /
    • 2005
  • TTA(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에서는 2004년 말에 우리나라 교통 분야 지리정보 데이터 표준 모델을 발표한 바 있다. 이 TTA 모델은 지리정보의 수요증대와 더불어 적절한 교통 분야 지리정보 데이터의 공유, 교환 및 활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구축뿐만 아니라 응용측면을 고려한 데이터 모델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TTA 교통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국제적 지리정보 엔코딩 표준방식인 Geography Markup Language (GML) 처리가 가능한 시험적인 응용 시스템을 구축하여 웹 기반에서의 TTA 교통모델의 실무적 적합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로 응용 도메인에서의 OGC 국제 표준인 GML의 적합성을 검증해 볼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을 통한 응용 분야에서 별도로 구축된 지리정보의 공유 및 교환이 손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각의 주요 응용 분야에서의 GIS 데이터의 공유를 위한 기반 구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The Marine GIS Application of GOCI Data (GOCI 자료의 해양지리정보 활용)

  • Jeong, Jong-Chu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3-166
    • /
    • 2009
  • 2009년에 발사 예정인 통신해양기상위성은 우리나라 최초의 정지궤도 위성이며 해양기상관측위성이다. 해색관측에 있어서 정지제도 상에서 한반도와 주변해역을 관측하는 것은 시-공간해상력에서 향상된 해색위성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이러한 정지궤도 해색위성 자료의 해양지리정보 활용은 적용의 범위와 GOCI 자료가 제공하는 정보의 해석적 내용에 있어서 기존의 극궤도 위성자료를 활용하는 것과는 다른 차원의 자료 구축 능력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지궤도 해색위성에 탑재된 GOCI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정보를 통해 해양지리정보에 적용 가능한 분야를 해석하고 이를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해양지리정보의 다양한 구축 자료와 개발된 해양공간정보시스템은 향후 해양위성자료의 실시간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자료의 갱신과 추출 정보의 신속한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정보서비스의 효과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기상이변 등의 해양기상재해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하는 재해정보시스템의 구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round water safety evaluation system using spatial relationships (공간관계를 이용한 지하수 관정의 안전도 평가를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Jae-Bong;Kwak, Hoon-S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제11D권1호
    • /
    • pp.31-38
    • /
    • 2004
  • This paper is about to implement a system for ground water safety evaluation. Since ground water quality is affected from the contamination source of surface water, one can estimate the magnitude of affection and the source themselves.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to evaluate the spatial relationship of ground water and its contamination sources, using“contain”and“distance”operators in GIS. The research area is the Kunsan City in Chonbuk province, and are 75th wells those are located between the 4th alluvium land types. The results of measured chemical factors and results of related evaluation of these wells are stored and represented in ZEUS 2000 GIS DBMS, and an interface for searching and studying, is implemented by using ZEUS/SQLX, ZEUS/COM, and Visual Basic 6.0 programming languages. After this research,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hydro-geological geo-objects and ground water is verified and a efficient evaluation system using GIS is suggested. It is the topic of further study that tries to calibrate the suggested evaluation model by applying it to wider area.

Development of a Configuration Version Manager for a Web-based Spatial OODBMS (웹 기반 공간 OODBMS를 위한 형상 버전 관리자의 개발)

  • 김동오;장염승;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B)
    • /
    • pp.7-9
    • /
    • 2001
  • 최근 웹이 활성화되고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지리 정보 시스템 분야에서도 웹 상에서 공간 데이터의 검색 및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다루는 공간 데이터는 가변적이고 대용량이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웹 기반 공간 OODBMS의 사용이 적합하다. 이러한 웹 기반 공간 OODBMS를 사용하는 실제 응용프로그램에서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의 협동 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객체들의 버전 뿐만 아니라 일정 영역내의 연관된 객체들의 접합인 형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형상 관리 시스템, 버전관리 시스템, 협동작업 기법을 분석하여 웹 기반공간 OODBMS를 위한 형상 버전 관리 모델을 제시하였다. 형상 버전 관리 모델은 형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형상 그래프와 형상 버전 클래스, 형상 Genetic 클래스, 형상 노드 클래스와 같은 세 개의 형상 버전 관리 클래스를 내부적으로 사용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형상 버전 관리 모델에 따라 형상 버전 처리 모듈, 형상 Genetic 처리 모듈, 형상 노드 처리 모듈, 형상 그래프 처리 모듈, 협동 작업 처리 모듈로 구성되는 웹 기반 공간 OODBMS를 위한 형상 버전 관리자를 개발하였다.

  • PDF

The Development of COM-CORBA Bridge for DataProvider based on The OpenGIS SimpleFeature DataProvider (개방형GIS 데이터제공자에 대한 COM-CORBA 브리지개발)

  • Cha, Jung-Sook;Kim, Myung-Gu;Kim, Sung-Ryong;Kang, In-Soo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133-136
    • /
    • 2002
  •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공간데이터의 특성은 양이 방대하고 구조가 복잡하여 데이터를 구축하는데 많은 비용과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각 지리정보 응용시스템마다 특정한 포맷으로 데이터를 구축, 사용하는 실정 때문에 여러 가지 공간데이터 포맷이 존재하고 사용하는 방법이 다양하다. 그러므로 여러 포맷의 공간데이터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해당 데이터 포맷들을 모두 알아야 하고, 포맷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시스템이 공간데이터서버의 환경에 밀접하게 의존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공간데이터 포맷의 공간데이터서버에 접근하기 위한 통일된 접근 방법과 사용자가 상대 공간데이터서버의 환경에 독립적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고 실제 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ployment of Geoportal Service for Interoperable GIS Use (GIS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Geoportal 서비스의 전개방안 연구)

  • Kim, Jung-Ok;Yu, Ki-Yun;Kim, Yong-Il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 /
    • pp.447-452
    • /
    • 2005
  •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의 발전과 더불어 지리정보시스템(GIS)은 웹사이트를 통한 공간 데이터의 접근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진보는 지리정보 산업이 단순한 공간자료 전달이 아닌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새로운 단계로 성장한 것을 의미하며, 또한 공공의 목적뿐만 아니라 민간분야의 사업에 활용되어 부가가치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웹을 이용한 지리정보 유통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등장한 geoportal은 유럽의 여러 선진국과 미국 등에서 지역적 국가적 세계적인 범위의 공간정보 관리를 위하여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럽과 미국 등 기존의 통합유통체계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해 우리의 geoportal 아키텍처를 제시하였다. 아키텍처는 Web portal, Web service, Data management를 구성요소로 하여 상호운용을 위한 미들웨어에 대해 논의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