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4초

Replica technique과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한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관한 비교 연구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all ceramic crown using the replica technique and the triple-scan protocol)

  • 신미선;이장훈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72-380
    • /
    • 2017
  • 목적: 본 연구는 보철물의 적합도를 계측하는 두 가지의 측정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지르코니아로 전부도재관을 제작하고 replica technique과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하여 전부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타이타늄의 지대치 모형을 제작하여 20개의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 10개는 replica technique을 이용해 복제하고 복제된 시편을 협설, 근원심으로 절단하여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였고, 다른 10개의 전부도재관은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하여 협설과 근원심으로 단면을 형성하고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계측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alpha}=.05$). 결과: 변연과 내면 적합도는 replica technique $49.86{\pm}29.69{\mu}m$, triple-scan protocol $75.35{\pm}64.73{\mu}m$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P < .001), 내면 적합도만을 측정한 결과 각각 $58.38{\pm}31.77{\mu}m$, $64.00{\pm}46.43{\mu}m$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 .343). 결론: Replica technique과 triple-scan protocol을 이용하여 전부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비교 측정한 결과 triple-scan protocol에서의 변연 적합도가 크게 측정되었고, 내면 적합도만 비교해 본 결과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도재 소성 과정에서의 고온이 지르코니아 코어의 변연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igh Temperature of the Porcelain Firing Process on the Marginal Fit of Zirconia Core)

  • 김재홍;김기백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5-141
    • /
    • 2013
  • 본 연구는 치과에서 사용되는 심미 보철물 중에 하나인 지르코니아 기반의 전부도재관 제작 시 지르코니아 코어 위에 상부 도재를 축성하고 소성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온이 완성된 전부도재관의 변연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임상적 허용이 가능한지 알아볼 뿐 아니라, 치과보철치료를 위한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의 보철물 선택 시 임상적 참고자료로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심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상악 중절치를 지대치로 선정하여 동일한 모형 10개 제작 후 각각의 지대치에 적합한 지르코니아 코어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코어의 변연적합도 측정 후 코어 위에 상부 도재를 축성하여 전부도재관을 완성한 뒤 2차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후 비교 분석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변연적합도는 지르코니아 코어 제작한 후 전부도재관으로 제작되는 과정에 따라 더 커졌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그러나 전부도재관에서 총 80회 측정된 변연적합도의 값에서 임상적 허용 수치인 $120{\mu}m$을 넘지 않는 결과를 보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지르코니아 코어 위에 상부 도재 소성 시 변연적합도가 커지긴하나 임상적으로 허용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 지대치 삭제시 축면 경사각과 만곡 반경에 대한 조사 (Clinical convergence angle and rounding radius on tooth preparation for zirconia all-ceramic crown)

  • 김혜은;우이형;배아란;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2-28
    • /
    • 2011
  • 연구 목적: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위한 치아 형성이 실제 임상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조사하고 향후 치아 형성에 대한 교육 자료 및 추가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지르코니아 치관 제작을 위해 milling center에 보내진 모형을 조사하여 Lava CAD/CAM System으로 스캔 한 후 'ImageJ' 프로그램 상에서 측정하여,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각 치아마다 근원심면과 협설면에서의 축면 경사각을 측정하였다. 또한, 견치를 제외한 전치에서 절단연 0.4 mm 하방 부위의 bucco-lingual diameter 측정하였다. 결과 및 결론: 실험군 내에서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을 위한 지대치의 축면 경사각은 $18.67^{\circ}$로 문헌에서 추천하는 각도 보다 크게 나타났다. 지르코니아 완전도재관의 지대치 형성 시 축면 경사각은 협설과 근원심면, 악궁 내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Peak 0.4의 평균값은 1.18 mm로 밀링버의 최소직경을 고려한 요구조건인 0.8 mm 보다 큰 값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선각 부위 rounding 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종의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한 지르코니아 기반 완전도재관의 적합도 비교 (A comparison of the fidelity of various zirconia-based all-ceramic crowns fabricated with CAD/CAM systems)

  • 김성준;조광헌;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48-155
    • /
    • 2009
  • 연구목적: 최근에는 금속도재관의 심미적 문제로 심미성과 강도가 개선된 코아용 도재 및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전부도재관 시스템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금속과 유사한 강도를 가지면서 금속의 비심미성을 극복할 수 있는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보철물의 제작이 국내외에서 많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되는 여러 종류의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전부도재관의 적합도에 대한 임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다양한 CAD/CAM 시스템 중 Procera, Cerec inLab, Lava에 의해 제작된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전부도재관의 변연 적합도와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여 이를 전통적인 방식으로 주조된 금속 도재관의 적합도와 비교 평가해 봄으로써 임상 적용에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를 위해 하악 우측 제2소구치에 해당하는 레진치를 삭제하여 인상채득 후, 금속 주모형을 제작하였다. 금속 주모형의 40개의 인상을 채득 후 각 시스템마다 10개씩 총 40개의 crown을 제작하였다. 금속도재관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작하였고 Procera, Lava, Cerec inLab crown은 zirconia core를 이용하여 CAD/CAM 시스템으로 제작하였다. 수직 변연 오차와 내면 간격을 각 그룹마다 금속 주모형에 시멘트 접착 없이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oneway ANOVA와 Tukey's HSD test로 통계 내었다. 결과: 수직 변연 오차는 금속도재관이 $50.6{\pm}13.9{\mu}m$, Procera crown이 $62.3{\pm}15.7{\mu}m$, Lava crown이 $45.3{\pm}7.9{\mu}m$, Cerec inLab crown은 $71.2{\pm}2.0{\mu}m$로 측정되었다. 내면 간격은 금속도재관이 $52.6{\pm}10.1{\mu}m$, Procera crown이$161.7{\pm}18.5{\mu}m$, Lava crown이 $63.0{\pm}10.2{\mu}m$, Cerec inLab crown이 $73.7{\pm}10.7{\mu}m$로 측정되었다. 변연 적합도 측면에서 볼 때 Procera crown, Lava crown, Cerec inLab 그리고 전통적인 금속도재관은 임상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적합도 범위($120{\mu}m$) 내에 있었다. 내면 적합도 측면에서 볼 때 Procera crown을 제외한 Lava crown, Cerec inLab, 금속도재관은 임상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적합도 범위($140{\mu}m$) 내에 있었다.

반복 소성이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의 색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peated firings on the color of zirconia-based all-ceramic system)

  • 장정은;김무현;윤미정;정창모;전영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73-79
    • /
    • 2011
  • 연구 목적: 각각 다른 방법으로 색조를 부여한 세 가지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에서 반복소성이 전부도재관의 색조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관찰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지르코니아 코어를 세가지 방법으로 착색(KW군: Masking liner를 사용하여 하부 코어색 차단, KI군: 지르코니아 코어를 금속 산화물 용액에 침전시켜 착색, NM군: 지르코니아 코어를 고온에서 소결하기 전에 금속산화물과 혼합하여 착색)하여 원반형 시편을 제작하였다. 지르코니아 코어 상방에 A3 색조의 상아질 도재를 소성하고 3, 5, 7회 반복소성 후 $L^*a^*b^*$ 값을 측정하여 비교하고 다른 두 가지 색의 3차원 공간에서의 거리를 나타내는 색차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반복측정 (repeated-measures ANOVA) 분석법과 Tukey 다중범위 검증법을 사용하여 소성횟수에 따른 색조변화를 유의수준 5%에서 검정하였다. 결과: 1. 모든 실험군에서 반복소성에 따른 $L^*a^*b^*$값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P< .001). 2. 반복소성으로 $L^*$값과 $a^*$값 (KI군제외)은 감소하고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Delta}E$값이 1이상 나타난 반복소성횟수는 KW군과 KI군은 3회 그리고NM군은 7회였다. 4. 7회 반복소성 후 ${\Delta}E$값은 KI군 (${\Delta}E$ = 2.26), KW군 (${\Delta}E$ = 1.47) 그리고 NM군 (${\Delta}E$ = 1.08)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P< .001). 결론: 반복소성이 지르코니아 코어 색조를 부여방법에 따라 전부도재관의 색조에 미치는 영향을 끼쳤다.

3종의 CAD/CAM 시스템에서 지르코니아 코어의 파절 강도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in fracture strength of zirconia cores fabricated with three different CAD/CAM systems)

  • 신언식;이영수;박원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2-30
    • /
    • 2008
  • 최근 CAD/CAM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작된 지르코니아 코어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기술력을 이용한 제품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단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3종의 CAD/CAM 시스템에서 단일 전부 도재관을 위한 지르코니아 코어의 파절 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상악 중절치 부위의 전부도재관을 위한 30개의 지르코니아 코어를 제작하였다. 각 군은 다음과 같다. 1. $Adens^{(R)}$ CAD/CAM 시스템 군, 2. $Cerasys^{(R)}$ CAD/CAM 시스템 군, 3. $Lava^{(R)}$ CAD/CAM 시스템 군. 모든 시편은 두께 0.5mm, relief $40{\mu}m$로 일관성 있게 제작하였다. 시편은 Z250/SN5S을 이용하여 파절 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군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각 군간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Kruskal waillis test와 Wilcoxon Rank Sum test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각 군의 파절 강도는 $Adens^{(R)}$ 시스템은 $615.89{\pm}156.1N$, $Cerasys^{(R)}$ 시스템은 $863.98{\pm}151.5N$, 3M $Lava^{(R)}$ 시스템은 $1143.1{\pm}286.6N$ 이었다. 각 군의 파절 강도는 3M $Lava^{(R)}$ 시스템, $Cerasys^{(R)}$ 시스템, $Adens^{(R)}$ 시스템 순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였으나, 세 그룹 모두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결과를 나타냈다. 실제 임상에서 장기간의 사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치아 부위에 따른 지르코니아 도재관의 파절강도 (Fracture strength of zirconia ceramic crowns according to tooth position)

  • 이인섭;김정미;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94-100
    • /
    • 201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상악과 하악의 각 치아부위에 $Lava^{TM}$ All-Ceramic System을 이용하여 지르코니아 전부도재관을 제작하고 각각의 파절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중절치와 견치는 절단연의 삭제량을 2.0 mm, 소구치와 대구치는 교합면의 삭제량을 1.5 mm, 그리고 축면 경사도는 $8^{\circ}$로하여모두8군의 실험군을 설정하였다. 금속 다이와 지르코니아 도재관을 제작한 후 레진시멘트 (Rely $X^{TM}$ Unicem)를 이용하여 합착하고 만능시험기상에서 치아 장축에 $30^{\circ}$경사지게 하여 중절치와 견치에 제작된 지르코니아 도재관은 절단연 중앙 부위에 하중을 가하였고, 소구치와 대구치에 제작된 지르코니아 도재관은 기능교두의 협설측 경사면 중앙부위에 하중이 가해지도록 한 후 파절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1. 지르코니아 도재관의 평균 파절강도는 하악 제1대구치에서 2963 N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하악 중절치에서 1035 N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 지르코니아 도재관과 IPS Empress 도재관과의 평균 파절강도는 모든 치아에서 지르코니아 도재관이 더 크게 나타났다. 3. 지르코니아 도재관의 파절 양상은 하중이 가해진 중앙 부위에서 치아 장축으로 수직적인 파절상을 보였다. 4. 상악과 하악의 동일 부위에 제작된 지르코니아 도재관의 파절강도는 소구치에서 상악이 하악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 .05), 다른 부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 .05). 결론: 본 실험의 결과로 지르코니아 도재관은 임상에서 활용하기에 만족할 만한 강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르코니아 코어 두께에 따른 전부도재관의 상부도재 축성방법이 보철물 색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eneering Techniques on the Color Parameters of Y-TZP Based All Ceramic Restoration of Varying Ceramic Core Thickness)

  • 허성윤;손호정;김혜영;김재홍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3-129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지르코니아 코어의 두께를 달리 제작하여 동일한 색조의 상부도재를 축성함에 있어 제작방법을 다르게 하여 두 상반된 시편을 각각 분광측색장치를 이용하여 CIE $L^*,a^*,b^*$ 색체계로 산출하여 객관적으로 색차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지르코니아 코어의 두께가 두꺼워 지고 상부도재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L^*$ 값의 수치는 높아지며 $a^*,b^*$ 값은 낮아지는 경향을 띠었다. 상부도재 축성방법을 다르게 제작한 시편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동일한 색조 시편에서 HP군은 PST군에 비해 $L^*$ 값의 수치는 낮게 측색되어 어두운 경향을 보였으며 $a^*,b^*$ 값도 낮은 수치를 보여 황색의 경향을 띠었다. 2. HP군, PST군 모두 동일한 색조에서 지르코니아 코어 두께와 상부도재 제작방법 간에 교호작용은 없었다(P=.083). 지르코니아 코어의 두께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존재하였으며(P=.001), 두께가 0.3 mm의 시편 A1, A2 색조에서 색차 값($E^*$)은 3.7 이상으로 나타났고, 그 이외 시편에서는 3.7 이하로 분석되어 임상가능 허용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전부 도재관 제작 시 같은 색조의 재료 일지라도 제작방식과 상부도재의 재료에 따라 색차 값이 존재하므로 이를 감안하여 보철물 제작에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코어의 두께가 얇은 보철물에서는 임상 허용치 이상의 색차 값을 보이므로 코어의 두께를 좀 더 추가하여 설계한 보철물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