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도구축

Search Result 1,288,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Graph-based Wi-Fi Radio Map Construction and Update Method (그래프 기반 Wi-Fi 신호 지도 구축 및 갱신 기법)

  • Yu, Subin;Choi, Wonik
    • Journal of KIISE
    • /
    • v.44 no.6
    • /
    • pp.643-648
    • /
    • 2017
  • Among Wi-Fi based indoor positioning systems, fingerprinting localization is the most common technique with high precision. However, construction of the initial radio map and the update process require considerable labor and time effort. To address this problem, we propose an efficient method that constructs the initial radio map at each vertex based on a graph. In addition, we introduce a method to update the radio map automatically by mapping signal data acquired from users to the reference point created on each edge. Since the proposed method collects signal data manually only at the vertex of the graph to build the initial radio map and updates it automatically, our proposed method can dramatically reduce labor and time effort, which are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fingerprinting method. In our experimental study, we show validity of our radio map update method by comparing with the actual reference point data. We also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 is able to construct the radio map with an accuracy of about 3.5m by automatically updating the radio map.

A Study on Basic Plan for Upscal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ECVAM) of National Land in South Korea (대축척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작성방안 연구)

  • Lee, Moung-Jin;Jeon, Seong-Woo;Lee, Chong-Soo;Kang, Byung-Jin;Song, Won-Kyong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6 no.3
    • /
    • pp.115-145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developing upscal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ECVAM) of National Land in South Korea and presenting the application method of ECVAM. This ECVAM adopted the least indicator method and uses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This map is made through evaluation of 67 items.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of ECVAM was defined as a process of identifying land use to scientifically assess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value of land and classify conservation value into several grades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After applying ECVAM criteria of five degrees to the whole of study area, Grade I, showing the highest conservation value, accounted for 29.3% by land area of ECVAM. Grades II, III, IV and V likewise accounted for, respectively, 21.7%, 17.2%, 7.1% and the lowest conservation value of 24.7%. other result, ECVAM and land suitability assessment agreement rate is Grade I 33.05%, Grades II, III, IV and V likewise accounted for 12.92%, 15.05%, 36.93% and last value of 53.28% This study set up "the realization of the improvement ECVAM" as the vision of the advancing strategy. In order to accomplish the vision, this study established the purpose as follow; constructing strategic assessment value relation to ECVAM based on knowledge, arranging the foundation to upscaling assessment value And this study devised preparatory plans to achieve the vision and the purpose as next; construction on base theme map by 1:5,000 scalie, base on land register theme map and precision land cover map. Therefore, for applying the result of this study to the upscal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ECVAM), it considers regularly the systematic categorization of preceding item, consideration issue of national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using the ECVAM.

  • PDF

A Study on the mobile-based service method of Korea river map (모바일 기반의 한국하천지도서비스 방안)

  • Hwang, Eui-Ho;Lee, Geun-Sang;Koh, Deuk-Ko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78-8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02년 제작 배포된 한국하천지도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고 하천관리업무 지원의 체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 구축된 한국하천지도 추진현황 및 GIS DB를 분석하여 최신 IT기술 적용방안을 검토하였다. 또한, 최신 기술 동향 분석을 통하여 한국하천지도의 활용성 극대화를 위한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기술을 선정하여 시스템 설계 구축하였으며, 실시간 하천관리기술 확보를 위하여 건교부 및 공사에서 추진 중에 있는 정보시스템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한국하천지도의 유무선통합서비스 체계 구축을 위한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로써, 하천관련 종합적인 정보제공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하천관리 업무시 웹 및 모바일 시스템을 통하여 조사자료 및 관리정보를 실시간 조회 및 활용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가능하여 하천업무의 효율성 및 대국민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Visualization of Noise Map with Dynamic Geoinfomatic System (동적인 3D 소음지도 제작)

  • Lee, Seong-Jun;Kho, Mun-Sung;Yoo, Hyun-Yil;Lim, Su-Hwan;Yoon, Gook-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547-55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소음의 심각성이 나날이 심각해지는 가운데, 소음지도의 구축이 보다 더 강조되었다. 사용자에게 보다 더 편리하게 소음도를 판별할 수 있고 이용할 수 있는 소음지도 인터페이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영등포구가 구축해놓은 소음지도에 대해서 구현 방법 그것의 유효성, 실용성 및 편리성 측면에서 알아보고 문제점을 지적해보았다. 이에 개선할 점들을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 이를 적용하여 현재 영등포구가 구축한 소음지도를 보다 사용자의 편의를 강조한 인터페이스환경의 소음지도를 구축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1/1,000 Digital Map Construction System (1/1,000 수치지도 구축체계 개선방안 연구)

  • Park, Chan Hyeok;Song, Yeong Sun;Kim, Won Dae;Lee, Sang 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4
    • /
    • pp.29-38
    • /
    • 2016
  • The maps produced by the NGII(geographical information institute) are composed of 1/1,000, 1/2,500, 1/5,000 large scale maps, 1/25,000, 1/50,000 and smaller scale maps. 1/1,000 digital map, as the most large-scale digital map made by the NGII, has been constructed with the beginning of NGIS(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oject in 1995. However, 1/1000 digital maps have been not produced by the fundamental survey on the basis of systematic planning at the national level, but a lot of parts have been constructed by the public survey for the purpose of the fiscal year of the local governments. Also, these maps have been not regularly updated because of big budge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oblem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status, system, and area, and suggested plans that can improve these problems. As the improvement plan, we proposed a nationwide three regionalization for short-term modification and long-term regular update, reset of core downtown boundaries based on topographical features, diversification of budget execution method and an improved execution system.

Guidelines for the Construction of Vulnerability Map of Fire in Seoul (서울시 화재위험지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Kang, Youg-Ok;Park, Mi-Ra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195-200
    • /
    • 2005
  • 도시의 안전을 위해서 재해 발생시 대응 및 복구와 같은 사후처리도 중요하지만 재해에 취약한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적 차원에서 이러한 지역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도시 관리차원에서 필요한 방재지도의 유형 중 하나로 화재를 상정하여, 화재위험지역을 선정하는 기준을 설정하고 이 기준에 맞춰 서울시 종로구 창신동을 사례지역으로 하여 화재위험지도를 시범적으로 구축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화재위험지도성은 방재업무에 있어 지역성에 기초하여 취약지구를 사전에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지구단위계획 등의 도시계획업무에서 방재를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수립 및 도시계획시설 배치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Inspection of Digital Maps (수치지도 검수방안에 관한 연구)

  • 조윤숙;이종용;김명진;최현옥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8 no.1
    • /
    • pp.31-50
    • /
    • 2000
  • In establishing the NGIS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computerizing maps such as topographical maps as well as thematic maps. If the digital maps are mapped according to their use purpose, they can be efficiently used. The goals of this study is to describes the reasonable inspection process of digital maps. For these goals, quality controls and test processes of digital maps are investigated and then the error types of digital maps are analyzed. Nine standards which are data lineage, data format, positional accuracy, attribute accuracy, topology, logical consistency, edge-matching , completeness, outline range are established and nine steps, multi steps, which are making a work plan, analysing error types of digital maps, inspection with the naked eyes, a computerized inspection , a automatic inspection, the judge of results, the analysis of results are proposed.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Electronic Disaster Map by Each Local Self-Government (지방자치별 전자재해지도 구축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 Koo, Min-Seok;Kang, Hyeon-Young;Kim, Sung-Je;Kim, Ch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05a
    • /
    • pp.831-832
    • /
    • 2012
  • In this paper, we survey problems and implementation states of electronic disaster map which is made each local self-government as a unit. If many local self-governments establish and service a electronic disaster map, they only provide simple functions and low utilization ratio. We know the these causes and research for improving methods.

  • PDF

A Study on Establishing the Under Space Integrated Map for Safety Management of Harbor Structures (항만구조물 안전관리를 위한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방안 연구)

  • Park, Dong-Hyun;Jang, Y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139-140
    • /
    • 2016
  • 최근 대도심지를 중심으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지반침하, 지반함몰, 도로붕괴 등의 지하안전사고로 인해 정부는 지하안전 대책 수립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특히, 국토교통부는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본사업에 박차를 가하여 지하공간 안전관리체계를 마련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국토교통부에서 구축계획하고 있는 지하공간통합지도는 서울, 부산, 대전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하고 있어, 태풍, 집중호우 등에 의한 지반침하 및 함몰 등의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항만구조물을 관리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만구조물의 안전관리를 위한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Design of Metadata Management Demonstration System for damage prediction from storm and flood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메타데이터 관리 시범 시스템 설계에 대한 연구)

  • Lim, So Mang;Baeck, Seung Hyub;Hwang, Eui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72-472
    • /
    • 2017
  • 재해로 인한 피해가 급증함에 따라 이를 예방하기 위한 풍수해 피해예측의 필요성이 증가하였고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타 부처 및 각 지자체에서는 각종 재해지도들을 작성하여 만들어진 재해지도는 작성 유형과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와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데이터 정보를 표준화 시키고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아 연계 활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메타데이터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데이터 변화의 근원과 변화의 흐름을 말한다. 메타데이터 관련 표준으로는 ISO19115(국제표준), KSXISO19115(국가표준), TTAS.KO-10.0139(유통목록 표준), TTAS.IS-19115(관리용 표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표준을 준용하여 풍수해 피해 예측지도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 및 관리 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메타데이터 관리 시범 시스템 구축을 위한 표준, 정보의 특성, 사용자 수준 등을 고려하여 설계 기본방향 설정하였으며,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정보 메타데이터 표준안 수립에 반영하였다. 그 결과, 메타데이터 패키지는 총 9개의 섹션(클래스)으로 구성하여 정의하였고 하위개체를 설정 및 연계하여 메타데이터 개체셋 정보를 구성하였다.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메타데이터 관리 시범 시스템 설계 제시를 위해 DB항목 조사 및 도출, 데이터 연계 활용 모델 구축, 프로토타입 개발순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표출 대상 데이터 항목별 분류, 방재활용 단계, 지역구분 등을 주제로 데이터 Mapping 자료를 작성하였고, 설계 기본 방향에 의하여 설정된 기준으로 데이터 항목별 메타데이터 DB를 작성하여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메타데이터 관리 시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표준 데이터 및 풍수해 피해예측지도 표준 데이터 모델 구축에 활용 가능하며 표준화 연계활용을 위한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