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니

Search Result 178,305, Processing Time 0.103 seconds

Development of an efficient Service Management on Jini HomeNetwork (지니 홈네트워크상의 효율적인 서비스 관리 시스템 개발)

  • Jung, Jun-Young;Jung, Min-Soo;Kim, Kwang-Soo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0D no.6
    • /
    • pp.1017-1024
    • /
    • 2003
  • Jini is a promising HomeNetworking middleware of computing environment based on Java Technology. To support Homenetwork service based on Jini, Jini device requires a successive operation and complicated management. In this paper, our service management system is a service provider component and lookup service component including automation module. Our automatin module privide searching and setting function of a library, runtime environment and class file system cinfiguration information for Jini service. Our system can be accomplished by automation of runtime environment, simplification of service management structure, visualization of service execution.

A Study on a GIS ISP Model for Local Governments to Overcome the Problems in a Transition Period (지자체 GIS의 과도기적 문제점 극복을 위한 GIS 정보화 전략계획(ISP) 수립모델 연구)

  • 고광철;김도훈;김은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415-421
    • /
    • 2004
  •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추진하고 있는 지자체 GIS사업은 기술의 발전에 비해 제도, 교육, 사용자의 마인드, 유지관리 활동, 향후 사업 구상 등에서 상대적인 빈곤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렇듯 신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다양한 제반 여건들이 동반적으로 성숙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을 과도기적 현상1)으로 진단하고 있다. 이미 다양한 분야에서 GIS를 도입한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과도기적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새롭게 GIS를 도입하고자 하는 지자체에서도 타 지자체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간접적으로 과도기적 현상을 경험함으로 인해 효과적인 사업 추진을 구상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지자체의 경우 중앙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사업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 현재의 GIS 사업의 추세가 단순한 공간정보 중심의 사업이 아닌 다양한 속성정보와의 연계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자체 GIS정보화의 방향은 예전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간파해 야 하는 현실에 놓여 있다. 이와 같은 지자체 GIS의 과도기적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보기술의 빠른 변화속도와 외부환경의 극심한 환경변화의 상황에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관계를 진단하고, 변화에 대한 예측과 대비, 중요한 일과 급한 일을 구분한 총체적인 밑그림의 마련과 실행계획의 수립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지자체 GIS의 문제 해결의 노력이 단숨에 바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현재 추진된 사업을 기반으로 중복투자의 방지와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위한 투자의 노력이 장기간의 시간적 개념속에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를 이끌어줄 가이드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총체적인 지자체 GIS의 계획마련을 위해 건설교통부에서는 ‘국가지리정보구축 및 활용등에 관한 법률’상에 계획 수립의 항목을 명문화하고, 나아가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에 관한 지침작성을 위한 노력을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일련의 현실을 감안하여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을 체계적이고 실질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모델’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사항임에 분명하다.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 모델은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 수립의 효과로 하고 있으며, 형식적 측면에서는 GIS특성을 반영한 전략계획 수립의 방법론적 측면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처 실제 지자체 GIS정보화 전략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9단계를 설정하고 각각의 단계에 대한 중심활동을 바탕으로 지자체에서 실제 전략계획 수립에 필요한 지침을 작성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 PDF

새로운 인용색인 웹 데이터베이스_SCOPUS

  • Yu, Jae-Bok
    • STIMA Bulletin
    • /
    • s.1
    • /
    • pp.26-32
    • /
    • 2004
  • 최근 Elsevier사에서 제작하여 현재 베타버전으로 시험 서비스 중에 있는 Scopus는,13,000여종의 학술지에 수록된 2,600만여 건의 논문에 대한 초록을 제공하는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웹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에는 SCI와 SSCI에 등재된 7,000여종의 학술지와 자체적인 학술지 선정기준에 의해 추가한 6,000여종의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에 대한 초록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최근 5년간의 학술지에 수록된 각 논문의 참고문헌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들 참고문헌을 토대로 각 논문에 대한 피인용 회시수와 인용문헌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최근 등장한 Scopus가 SCI와 SSCI에 수록된 학술지를 망라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인용정보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대표적인 인용색인인 SCI, SSCI및 A&HCI의 웹 데이터베이스인 Web of Science와 필적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Elsevier사에서는, 엄격한 심사기준에 의해 핵심 학술지만을 유지시키고 있는 Thomson-ISI사와는 달리, 학술지의 망라성에 비중을 두고 최소한의 질적 수준을 갖춘 학술지라면 모두 Scopus에서 별도로 추가한 6,000여종의 학술지에 대해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Alluvial Fan Formed by Sediment Inflow (유사의 유입에 의한 충적 선상지(沖積 扇狀地) 형성에 관한 수치모의)

  • Jang, Cha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618-622
    • /
    • 2006
  • 충적 선상지(alluvial fan)는 자갈이나 유사가 과도하게 이송되어 부채모양으로 퇴적된 것으로서, 하류로 하폭이 증가하는 곳에서 형성된다. 충적 선상지는 유사가 이송하는 하천, 토석류, 그리고 박층류에 의해 형성된다. 토석류는 자갈에서부터 상대적으로 작은 진흙에 이르기까지 운반하는 밀도체이다. 충적하천의 흐름은 사행하천 및 망상하천에 이르는 흐름을 말하며, 박층류는 기본적으로 비하천 홍수류로서, 한 홍수사상에 대하여 선상지에서 부분분할로 형태로 흐른다. 본 연구에서는 충적 선상지에 대한 공학적인 문제를 검토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서 유입부에서 유사량의 유입조건에 따른 충적 선상지 델타의 형성 과정을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본 모형은 2차원 모형으로서, 이동경계좌표계를 사용하였고, 수치해석 기법으로는 CIP법이 이용되었으며, wet/dry를 고려하여, 유입 유사량의 변화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였다. 초기에는 급격하게 선상지의 높이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유입 유사량의 증가에 따라 선상지의 높이가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이 짧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 선상지의 면적은 유입 유사량이 적을 경우에는 평형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완만한 증가 현상을 보여주었다. 유입 유사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초기에 급격한 상승을 하다가 평형상태가 없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Research in Jini Architecture for Limited Devices (제한된 디바이스를 위한 지니 구조에 대한 연구)

  • 구태연;박동환;문경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499-501
    • /
    • 2002
  • 지니의 가장 큰 장점은 "Network and Play"기능이다. 이는 언제 어디서나 네트웍에 연결만 될 수 있다면 지니 네트웍 내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한다. 하지만 정보 단말기에서 지니가 동작 가능하기 위해서는 많은 제약 조건을 가진다. 우선 지니의 가장 큰 장점인 "Network and Play"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RMI가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RMI는 리소tm가 제한된 정보 단말기에 올라가기에는 너무 무겁고 OS의 성능에 따라 그 실행 가능 여부가 좌우된다. 또한 많은 정보 단말은 RMI가 동작할 만큼의 충분한 리소스를 가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단말에서 지니를 지원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룩업 서비스에 제한된 디바이스를 위한 Non-RMI 매니저들을 둠으로써 이를 해결하였다. 또한 이를 리눅스 위에 구현하여 기존의 지니 네트웍에 물려 잘 서비스됨을 보여 주었다.

  • PDF

부산 남외항 정박지 이용 현황 및 개선방안

  • Mun, Seong-Bae;Song, Jae-Uk;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138-141
    • /
    • 2015
  • 우리나라 최대의 항만인 부산항의 정박지로 북항에는 집단정박지 1개와 포인트 정박지 5개가 다대포항 입구에는 포인트 정박지 1개가 그리고 남외항에는 5개의 대기정박지가 지정되어 있다. 남외항 정박지는 정박선의 크기별로 5개의 정박지로 나뉘어 있는데 특히 N-5 정박지는 2009년에 국내 최초로 항계 밖에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최근 남외항 정박지는 기상 악화 시 주묘(走錨) 등으로 인한 접촉 충돌 등의 해양사고 위험 요인이 상존하고, 해운산업의 경기침체와 경영악화에 따라 장기계선 또는 감수보존 등의 선박들이 조종 불능상태로 방치되는 등 선박안전에 취약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남외항 정박지의 이용현황을 분석하여 정박지 운영의 문제점을 식별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한다.

  • PDF

진해만의 태풍 내습시의 정박지 이용현황 및 정박지 지정에 관한 연구(I)

  • Park, Yeong-Su;Park, Jin-Su;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
    • /
    • pp.9-11
    • /
    • 2006
  • 우리나라에는 매년 평균 $2{\sim}3$회의 태풍이 내습하고 있다. 이러한 태풍의 내습시 우리나라 남해 근방의 항만에 정박증인 선박과 항행중인 선박의 대부분을 진해만으로 피항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진해만 피항시 정박하고 있는 많은 선박들 사이로 정박지를 찾아 헤메는 선박들로 인하여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정박지 선정을 레이더를 통하여 진해만 정박지를 사전에 결정할 수 있으면 좋으리라 판단된다. 이 연구는 현재 정박지에서 선박간의 최소거리를 진해만 태풍 내습시의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화하고 이 모델을 통하여 선박간의 최소 정박지 거리제공으로 선박항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정박지 선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VTS center에서 정박지를 사전에 지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PDF

Remediation of Polluted Soil by Plant (유용식물을 이용한 오염토양 정화기술 개발)

  • 이상환;이문용;현승훈;윤영만;김정규;임수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7.05a
    • /
    • pp.116-119
    • /
    • 1997
  • 광산지 및 쓰레기매립지의 오염토양을 정화하는데 식물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강원도, 경상북도 지역에 분포하는 17곳의 폐광산과 강원도에 분포하는 농촌형 일반 쓰레기매립지 6곳을 대상으로 광산지와 매립지의 토양 특성을 조사하고, 서식 식물종의 오염 물질 제거 능력과 개척종으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광산지 토양의 경우 산성화가 진행된 곳이 많았고, 중금속함유량도 전국 토양의 평균함유량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으나, 매립지의 경우 약알카리성 토양이 많았고, 광산지와 달리 중금속 오염의 우려는 없었다. 오염토양에 서식하는 쑥을 포함한 14종의 식물체중에서 오염토양정화기술에 이용 가능한 유용식물로 Aremisia princeps(쑥), Micanthus sinensis(억새), Oenanthera odorata(달맞이 꽃)등이 중금속의 흡수력과 지상부로의 이행력이 큰 식물종으로 나타나 phytoremediation에 있어서 개척종으로 이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