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능형 해상교통정보 체계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tudy on Basic Design of Maritime Information Gateway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about Korean e-Navigation Service (유관기관 정보 공유를 위한 지능형 해상교통정보 체계의 대용량 해양 정보 연계 시스템 기본 설계에 대한 연구)

  • Yong-hak Song;Hyun Kim;Do-ye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308-309
    • /
    • 2022
  •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s providing maritime safety services using combine limite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Korean e-Navigation service, and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reliability and quality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ystem. However, linking real-time operating systems requires a separate system configuration that can be linked after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with minimal performance impact.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will make a basic design of a big-data maritime information gateway system of the Korean e-Navigation service that minimizes the impact of performance and reflects the security of personal information.

  • PDF

A Study on Privacy Security in Maritime Information Gateway System (지능형 해상교통정보 연계시스템에서의 개인정보 보안에 관한 연구)

  • Yong-hak Song;Hyun Kim;Deuk-Jae Cho;Jong-Hwa Beak;Do-ye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02-203
    • /
    • 2023
  •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is providing maritime safety service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Korean e-Navigation service, and research is continuously needed to improve reliability and quality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ystem. In order to secure such competitiveness, we presented the basic design for the big-data maritime information gateway system for minimizes thereal-time operation impact of the Korean e-Navigation service, and a theoretical hardware structure diagram including pseudonymization procedures to implement the overall system and solve privacy security issues. However, the proposed structure diagram and design include only the overall concept, to link real-time maritime information, required detailed privacy security method to satisfy the Privacy Ac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will identify factors to violate the Privacy Act within the real-time maritime information(privacy of shipowner, shipping company, captain, navigator, fisherman, etc.) linked by the big-data maritime information gateway system, and research the method to link the secured information to other institutions by encrypting identified the factors.

  • PDF

Design of Data Pipeline for Linkage the Intelligent Maritime Transport Information System (지능형 해상교통정보시스템 연계를 위한 데이터파이프라인 설계)

  • Jong-Hwa Baek;Kwang-Hyun Lim;Deuk-Jae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315-316
    • /
    • 2022
  • In order to reduce maritime accidents and promote maritime safety and the happiness of the sea people,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has been providing Intelligent Maritime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to the public from the end of January 2021. Various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collected through this service,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is underway to develop and verify a service algorithm by apply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data science to realize a safer and more efficient intelligent maritim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In order to develop and implement this, a data pipeline system that connects the collected and stored data and can access, use, and store data from multiple systems smoothly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a data pipeline that can be used in various systems such as a datascience based service algorithm development environment and an intelligent maritime transportation service test-bed was designed.

  • PDF

해상교통 환경 재현을 위한 항해사 인지행동 분석모델 연구

  • Kim, H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8-9
    • /
    • 2019
  • 해상교통과 같이 선박, 항해자, 관제센터, 해운선사, 기상시스템, 지리정보시스템 등의 높은 복잡도와 방대한 범위의 요구사항을 갖는 시스템의 M&S를 위해서는 인간을 포함한 체계가 필요하다. 디지털 환경에서 해상교통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주요 요소인 인적요인에 대한 모델링 필요하며, 현실감 있는 해상교통 상황의 재현 및 예측을 위해 항해자의 인지과정, 행동양식, 항해전문성, 항해오류 등을 모델링하여 반영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발표에서는 해상교통류 분석을 위한 지능형 선박 에이전트 개발을 위해 선박운항과 관련된 항해자의 인지 및 행동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항해자의 행동과 유사한 에이전트 기반의 인지 및 행동 모델 개발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Status and prospect of e-navigation Service (e-navigation 정책을 활용한 서비스 현황과 전망)

  • Kim, Jae-Myoung;Oh, Moon-Kyu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413-416
    • /
    • 2009
  • e-navigation 전략은 선박의 출발항부터 도착항의 부두 접안에 이르는 전 과정의 안전과 보안을 위한 관련 서비스 및 해양환경 보호 증진을 위해 선박과 육상 관련 정보를 융합하여 통합된 수집, 교환, 표현 및 분석을 수행하는 체계를 말한다. 이는 기존의 선상 시스템과 육상 시스템에서의 유용한 정보들을 융합하여 통합시킴으로서 선박의 안전을 제공하고 나아 가서는 해상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e-navigation 전략의 기반 하에 기존 제공되는 선상에서의 IBS, 육상의 VTS 등 서비스 뿐 아니라, 원격 유지보수 서비스, 선내 통합 모니터링 서비스, 지능형 선박충돌방지 서비스, 지능형 연근해상 선박교통관제 서비스 등 다양한 통합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 PDF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Interfacing Technology between Components of Coastal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해상교통 안전관리시스템(CITS)구축을 위한 연계기술 표준화 방안 연구)

  • Min Jung;Song Chae-Uk;Yea Byong-Deok;Park Jin-Soo;Lee Yun-Seok;Park Yo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5.10a
    • /
    • pp.31-36
    • /
    • 2005
  • This study describes the fundamental technologies needed to develop coastal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by using the infrastructures, managed by MOMAF and Korea Coast Guard, and high information technologies. We propose the standardized technical requirements of each system's component and the linkage requirements for interfacing components each others so as to improve the system's efficiency.

  • PDF

연안·항만에서의 선박사고 예방 및 대응 지원 기술 개발 소개

  • Yang, Chan-Su;Jeon, Ho-Gun;Kim, Tae-Ho;Sin, Dae-Un;Park, J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39-40
    • /
    • 2019
  • 우리나라는 국제해사기구(IMO)에 "여객선 탈출지도체계의 기술개발에 관한 정보"라는 안건(IMO SSE4/INF2)을 2017년에 제출한 바 있다. 이 의제에 소개된 지능형 선박 및 인명대피 안내시스템(SEGA)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주관으로 한국해양수산부의 지원을 받아 2016년부터 2020년 3월까지 약 4년간의 프로젝트로 개발 중에 있다. SEGA는 데이터 수집과 분석, 정보 표시의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우리나라 연안에서 항해 중인 선박에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항해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SEGA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구축된 SEGA 서버와 데이터베이스는 해양기상정보, 수심정보, 해상교통정보를 처리 한다. 또한 비상상황 시 2차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선박이 대피 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이 설계되어 있다. 인명안전을 위해 SEGA는 비상상황 시 선박내부 구조정보와 화재 등 변수사항들을 고려하여 승객들에게 빠른 탈출을 위한 최적대피경로를 제공하며, 원격탐사기술을 이용하여 선박주변의 익수자를 탐지하도록 개발 중에 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항해항만학회 VTS 특별세션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 PDF

e-Navigation 관련 산업현황에 관한 기초연구

  • Choe, Han-Gyu;Gang, Byeong-Jae
    • 선박안전기술공단연구보고서
    • /
    • s.4
    • /
    • pp.1-108
    • /
    • 2007
  • 2007. 7. 23 IMO의 NAV(항해안전전문위원회)53차 회의에서는 e-Navigation을 해상에서의 안전, 보안, 해양환경보호를 목적으로 전자적인 수단에 의해 선박과 육상에서 해양정보를 수집, 교환, 표시함으로써 항구와 항구간의 항해 및 관련된 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2005년 11월 영국의 교통부 장관 Stephen 박사는 Royal Institute ofNavigation에서의 연설에서 해상안전과 환경보호를 위하여 선박의 항해를 감시하는 관제소 및 항행하는 선박에 유용하고 정확한 정보가 더 많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첨단 기술에 의해 자동화된 항공 항법분야를 예로들면서, 선박의 항법 분야도 항해와 관련된 모든 시설 및 작업을 전자적 수단으로 대체하는 개념인 e-Navigation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영국은 이에 필요한 작업을 주도하겠다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Stephen은 e-Navigation 도입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으로 첫째, 항해 실수로 인한 사고 확률저감, 둘째,사고 발생 시 인명 구조 및 피해 확산을 위한 효율적 대응, 셋째, 전통적인항해시설 설치 불필요로 인한 비용 저감, 넷째 선박입출항 수속의 간편화 및항로의 효율적 운용으로 인한 상업적 이익 등을 들었다. 반면에e-Navigation 체계로 전환 시 예상되는 장애로는 첫째, 체계 구축을 위한 비용(특히 개발도상국가들의 경우 어려움 예상), 둘째, e-Navigation의 성과 달성을 위하여 세계 전 해역의 모든 선박이 e-Navigation 체계에 동참하도록유도하는 문제, 셋째, 전자해도 표시 및 선교 장비들에 대한 표준화 문제, 넷째, 육상에 설치할 e-Navigation 센터의 설계 및 구축 등을 꼽았다.IMO는 2005년 81차 MSC(해사안전위원회) 회의에서 영국이 일본, 마샬아일랜드, 네덜란드, 노르웨이, 싱가포르, 미국과 공동으로 제안한 ‘e-Navigation전략 개발’ 의제를 2006년 82차 MSC 회의에서 채택하고, NAV(항해 전문위원회)를 통하여 2008년까지 e-Navigation의 구체적 개념을 정립하고 향후 개발하여야 할 전략적 비전과 정책을 수립하기로 하였다. 이어서 영국을 의장으로 e-Navigation 전략개발 통신작업반이 구성되었는데, 지난 년간 19개국, 16개 전문기관이 참여하여 아래의 작업이 수행되었다. ○ e-Navigation 개념의 정의와 목적 ○ e-Navigation에 대한 핵심 이슈 및 우선 순위 식별 ○ e-Navigation 개발에 따른 이점과 단점의 식별 ○ IMO 및 회원국 등의 역할 식별 ○ 이행계획을 포함한 추가 개발을 위한 작업계획의 작성 IMO에서 수행되고 있는 e-Navigation 전략 개발 의제 일정은 2008년까지이다. 이 전략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e-Navigation이 포함할 서비스범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인프라 및 장비의 식별, 인프라 구축및 운용비용을 부담할 주체에 대한 논의, e-Navigation으로 인한 이익과 투자비용에 대한 비교 분석 등이다. 이 과정에서 정부, 선주, 항만운영자, 선원등의 입장 차이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경제 수준 차이는 전략 개발에있어 큰 어려움을 줄 것이므로, 이들이 합의된 전략을 만들기 위해서는 예정된 기간보다 다소 늦어질 가능성도 있다.e-Navigation 전략 개발이 완료되면 1단계로는 해상교통 관제시스템, 선박선교 장비, 무선 통신장비 등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각국 간에 자국 보유 기술을 표준화시키기 위한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2단계에서는 e-Navigation 체계 하에서의 다양하고 풍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관련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전망되는데, 이는 지난 10년간 육상에서 인터넷망 설치 후 이루어진 관련 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돌아보면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e-Navigation 체계 하에서 선박의 항해는 현재와는 전혀 다른 패러다임으로 바뀔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 입출항 시 요구되던 복잡한 절차는one-stop 쇼핑 형태로 단순화되고, 현재 선박 중심의 항해에서 육상e-Navigation 센터가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항해 체계로 바뀔 것이며, 해상정보의 공유와 활용이 무선 인터넷을 통해 보다 광범위하게 이루어질 것이 다.e-Navigation의 잠재적 시장 규모는 선박에 새로이 탑재될 지능형 통합 항법시스템 구축과 육상 모니터링 및 지원 시스템 등 직접 시장이 약 50조원,전자해도, 통신장비, 관련 서비스 컨텐츠 등 간접 시장의 규모가 150조원으로 총 200조원으로 대략 추산하고 있다. 향후 이 거대한 시장을 차지하기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까지 항해 장비 관련 산업은 선진국의일부 업체들에 의해 독점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조선과 해운에서 모두 선진국임에도 불구하고 이 분야에서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해 왔다. e-Navigation체계 하에서는 전체 시장이 커지고 장비의 사양이 표준화됨에 따라 어느 소수 업체가 현재처럼 독점하기는 더 이상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e-Navigation은 우리나라도 항해 장비 분야 시장을 차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조선 1위의 장점을 적극 활용한다면 다른 나라보다우위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분야의 시장은 IT 기술과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IT 강국인 우리나라가 충분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그러나, EU를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이미 e-Navigation 에 대비한 연구를10여년 전부터 수행해 왔다. 앞에서 언급한 EU의 MarNIS 사업은 현재 거의마무리 단계로 당장 실용화 할 수 있는 수준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늦었지만 우리도 이를 따라잡기 위한 연구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국내에서도e-Navigation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2006년에는 관련 산학연 전문가들로 작업반을 구성하여 워크숍 등을 개최한 바 있다. 또한 해양수산부에서도e-Navigation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사업을 기획 추진하고 있다.그러나 현재 항해통신장비들의 기술기준은 ITU의 전파규칙(RR)과 IMO결의 및 SOLAS 협약을 따르고 있는데 이들 규약이나 결의에 대한 국제적인 추이와 비교할 때 국내의 기술은 표준화되지 못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본 연구에서는 e-Navigation sytem중 표준화가 필요한 요소와 전자해도,AIS 등 e-Navigation(통합전자항법시스템)관련 국내산업현황 실태조사를 통해 국내 e-Navigation기술개발 동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 PDF

Probe Vehicle Data Collecting Intervals for Completeness of Link-based Space Mean Speed Estimation (링크 공간평균속도 신뢰성 확보를 위한 프로브 차량 데이터 적정 수집주기 산정 연구)

  • Oh, Chang-hwan;Won, Minsu;Song, Tai-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9 no.5
    • /
    • pp.70-81
    • /
    • 2020
  • Point-by-point data, which is abundantly collected by vehicles with embedded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enerate useful information. These data facilitate decisions by transportation jurisdictions, and private vendors can monitor and investigate micro-scale driver behavior, traffic flow, and roadway movements. The information is applied to develop app-based route guidance and business models. Of these, speed data play a vital role in developing key parameters and applying agent-based information and services. Nevertheless, link speed values require different levels of physical storage and fidelity, depending on both collecting and reporting intervals. Given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n appropriate collection interval to efficiently utilize Space Mean Speed information by vehicles with embedded GPS. We conducted a comparison of Probe-vehicle data and Image-based vehicle data to understand PE(Percentage Error).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PE of the Probe-vehicle data showed a 95% confidence level within an 8-second interval, which was chosen as the appropriate collection interval for Probe-vehicle data. It is our hope that the developed guidelines facilitate C-ITS, and autonomous driving service providers will use more reliable Space Mean Speed data to develop better related C-ITS and autonomous driving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