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능형 교육시스템

Search Result 210,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Design on Student Modeling in a multimedia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Training Appropriate Rehabilitation Skills (Multimedia를 이용한 지능형 재활 교육 시스템에서의 Student Modeling 방법의 연구)

  • 임익진;심임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694-696
    • /
    • 1998
  • 지능형 재활 교육 시스템은 학습 대상이 정상인이 아닌 발달 장애인이라는 점과 학습자 단독으로 학습이 어렵다는 점이 일반적인 지능형 교육 시스템과 다르다. 이러한 교육 시스템은 학습자 단독 학습이 아닌 학습 보조자가 학습자의 옆에서 학습을 보조하는 형태이므로 시스템과 학습 보조자와의 연계가 시스템 구현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능형 교육 시스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Student Model의 설계 역시 학습 보조자의 개입에 대한 자유도를 어느 정도 허락하는 것인가가 주된 목표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한 지능형 교육 시스템에서의 Student Model을 구현한다.

  • PDF

A Design of Dynamic Lesson Planner i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지능형 교수시스템에서 동적 레슨 플랜생성기의 설계)

  • 이재인;이재무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7.10a
    • /
    • pp.39-52
    • /
    • 1997
  • 본 연구는 언어 교육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저작도구9authoring tool)와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지능형 컴퓨터 교사시스템(ITS : Intelligent Tutoring System)으 로 구성된 지능형 학습환경(Intelligent Learning Environment)을 설계한다. 특히, 범용시스 템에서 제공되는 불필요한 기능들을 제거하고 언어교육에 필요한 기능만을 가진 간편한 저 작도구의 설계와, 인공지능 기법을 이요하여 학생 개개인의 지식수준에 따라 차별화하여 지 능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지능형 교사시스템의 구성 방법을 제안한다.

  • PDF

Smart Education System (지능형 교육 시스템)

  • Hong, You-Si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3 no.2
    • /
    • pp.255-260
    • /
    • 2013
  • Nowadays, the intelligent education system has been studied us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t can connect to the online virtual university and it is based on web technology that can be accessed anywhere anyplace. In order to implement the intelligent tutoring system, the student's weak and strong subjects must be first determined in real time, it proposed level learning capabilities and security algorithms in this paper. Moreover, in this paper, to implement the intelligent education tutoring system it proposed qr code and student level learning simulation.

A Study on Learner Modeling Technology and Applications for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지능형 교육 시스템을 위한 학습자 모델 기술과 응용 연구)

  • Yoon, Taebok;Lee, Jee-Hy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2
    • /
    • pp.6455-6460
    • /
    • 2013
  • Learner modeling forms the foundations for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that provide adaptive and active learning guidance for learning and education quality enhance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learner modeling technologies to form the foundation of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Specific research tasks include learner modeling building techniques, diverse learner state diagnosis methods and educational data mining.

Analysis of functions and applications of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personalized adaptive learning in mathematics (개인 맞춤형 수학 학습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시스템의 기능과 적용 사례 분석)

  • Sung, Jihyun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2 no.3
    • /
    • pp.303-326
    • /
    • 2023
  • Mathematics is a discipline with a strong systemic structure, and learning deficits in previous stage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next stages of lear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requently check whether students have learned well and to provide immediate feedback, and for this purpose, intelligent tutoring system(ITS) can be used in math education.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reveal how the intelligent tutoring system is effective in personalized adaptive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nctions and applications of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personalized adaptive learning in mathematics. To achieve this goal,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s with students were applied to derive implication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the functions of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personalized adaptive learning were derived. They can be broadly divided into diagnosis and evaluation, analysis and prediction, and feedback and content delivery. The learning and lesson plans were designed by them and it was applied to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for about three months. As a result of this study, intelligent tutoring system was mostly supporting personalized adaptive learning in mathematics in several ways. Also,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more sophisticated materials and technologies should be developed for effective personalized adaptive learning in mathematics by using intelligent tutoring system.

유비쿼터스 컴퓨팅${\cdot }$네트워킹 환경에서 교육학습 시스템

  • No, Yeo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205-210
    • /
    • 2005
  • 유비쿼터스 컴퓨링과 네트워킹 환경이 준비됨에 따라 교육 분야에서도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교육학습 시스템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특히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단순히 새로운 기술을 교육학습 분야에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고방식과 대상을 바꾸는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 분야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여야 한다. 기존의 e-learning에서는 지능시스템이 교육학습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이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맞춤형 학습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기본 환경이 제공하기 위하여 유비퀴터스 환경의 하부 단위에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 지능형 학습 기술들을 도출하고 적용 방법을 제안한다.

  • PDF

Instructional Planning in Web-based Tutoring System (Web 기반 지능형 교수시스템에서의 교수계획)

  • 최진우;우종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679-681
    • /
    • 1999
  • 최근 웹의 폭발적인 성장으로 인하여 웹을 교육의 매개체로 활용하려는 노력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웹 기반 교육 시스템들은 대체로 수동적이며, 정적인 하이퍼텍스트 위주이기 때문에, 학습상황을 수시로 점검할 수 있는 상호작용기능이 부족하고, 특정 학습자의 학습결과에 따른 동적인 학습환경의 제시가 어렵다. 일반적으로 웹기반 교육시스템은 다양한 지식계층의 사람들에게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학습전략이 요구되며, 따라서 최근에는 기존의 지능형 교수시스템(Intelligent Tutoring System: ITS)에서 연구된 풍부한 기술들을 웹 환경에 도입함으로서 보다 지능적이며 적응력 있는 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웹 기반 교육시스템에서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한가지 방안으로 ITS의 동적 교수계획기법을 웹 기반 시스템에 도입한다. 문제영역으로 C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을 선정하여 이를 웹 기반 교수시스템으로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기존 시스템들의 서버 집중형 구조에서 탈피하여 CORBA를 이용한 분산기반구조로 시스템 개발에 접근하였다.

  • PDF

Design of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Based on the Ontology of Procedural Knowledge (절차 지식 온톨로지 기반 지능형 교수 시스템 설계)

  • Yu, Jeong-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71-75
    • /
    • 2007
  • 오늘날 지능형 교수 시스템은 과거와는 달리 전문영역 지식, 학습자 지식과 융통적인 개별 학습과 개인교수를 지원하기 위한 교수 전략에 대한 지식이 사용되고 있다. 학습자들이 배웠던 내용이 무엇인지를 설명하고 가르칠 도메인 지식을 전문영역 지식으로 표현한다. 교수법 모듈은 학습을 제어하거나 가르치기 위한 모든 결정을 한다. 학생 모형은 학습자의 지식을 기술하고 학습자 개개인에 대한 특정한 정보를 저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교수 시스템의 구성 요소인 학습자 모형의 지식을 기존의 인공지능에서의 지식 표현 기법인 생성 시스템의 절차 지식을 온톨로지를 사용하여 설계하였다.

  • PDF

Learning data analysis strategy in intelligent learning system (지능형 학습 시스템에서의 학습데이터 분석 전략)

  • Shin, Soo-Bum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8a
    • /
    • pp.37-44
    • /
    • 2021
  • This study is about a strategy to analyze learning activities in an intelligent learning system. To this end,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intelligent learning system and the type of learning using the intelligent learning system were analyzed. The learning types were presented as individual, adaptive, competency-based, and blended learning, and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most of them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learning activity analysis is based on data such as mouse clicks, keyboarding, and uploads generated by the system. Through this, basic analysis such as viewing time and number of uploads can be performed. However, more diverse learning analysis is needed for personalization and adaptation. It can judge not only learning attitude and achievement level, but also metacognitive level and creativity level. However, since the level of metacognition includes complex human cognitive activities, the teacher's intervention is required in the judgment of the intelligent learning system.

  • PDF

Analy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Curriculum of SW Universities (SW중심대학의 인공지능 교육과정 현황분석)

  • Woo, HoSung;Lee, HyunJeong;Kim, JaMee;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23 no.2
    • /
    • pp.13-20
    • /
    • 2020
  • The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is due to an increase in influence on companies, organizations, daily lives an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ey elements in the teaching subj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 subjects of Korean universities based on the intelligent system area of Computer Science 2013 in terms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are five out of nine universities that run the required courses. Based on the 12 detailed knowledge domains of intelligent systems, the compulsory subjects of universities are distributed in the field of basic search theory, basic knowledge expression and reasoning, and inference based on uncertainty. The elective courses of each university covered topics in five to eight areas of the total knowledge area of the intelligent system, with 69.9 percent of universities with the highest average ratio of areas involving the subject of teaching subjects and 46.3 percent of universities with the lowest.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fact that prior to enter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graduate school, we were able to grasp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artificial intelligence at the undergraduate level.